글. 이돈희 서울대 명예교수/ 에듀인뉴스 발행인

교육계와 교육학계에는 말할 것도 없고 일반학계에서도 존 듀이(John Dewey)는 누구에게나 이미 잘 알려진 이름이다. 그러나 그의 이름이 알려진 만큼 그의 이론이 잘 이해되고 소개되어 있다고 하기는 어렵다. 그의 사상은 ‘실용주의’, ‘실험주의’, ‘진보주의 교육’, ‘새교육’이라는 명칭으로 소개되어 왔고, 우리의 교육계와 교육학계는 그를 현대적 교육사상의 근원인양 평가하기도 한다. 그러나 그의 사상은 교육계에서 심도 있게 평가된 수준은 아니었다. 에듀인뉴스는 정치와 교육의 이념적 갈등이 극심하고 특히 자유주의적 전통과 강령적 기조에 대한 이해의 혼란이 심각한 수준에 있는 이 때, 존듀이의 실험주의적 자유주의와 이에 일관된 교육사상을 검토해 보는 ‘왜, 지금 존 듀이를 읽어야 하나’를 연재한다.

존 듀이(John Dewey, 1859.10~1952.06), 미국의 철학자이자 교육학자로 미네소타·미시간·시카고·컬럼비아 각 대학에서 교수를 역임하였고 '전국교육협회' 명예회장을 지냈다. 서민의 경험을 프래그머티즘(Pragmatism)에 의해 소화해 보편적 교육학설을 창출해 세계 사상계에 기여했다. 대표적 저서로는'논리학-탐구의 이론', '경험으로서의 예술' 등이 있다.(출처=두산백과)
존 듀이(John Dewey, 1859.10~1952.06), 미국의 철학자이자 교육학자로 미네소타·미시간·시카고·컬럼비아 각 대학에서 교수를 역임하였고 '전국교육협회' 명예회장을 지냈다. 서민의 경험을 프래그머티즘(Pragmatism)에 의해 소화해 보편적 교육학설을 창출해 세계 사상계에 기여했다. 대표적 저서로는 '논리학-탐구의 이론', '경험으로서의 예술' 등이 있다.(출처=두산백과)

이념적 혼란의 시대

듀이의 교육이론은 철학과 사회의 문제에 대한 관심의 연장선상에서 당연히 요구된 한 부분이다. 그가 일본, 중국, 터키, 멕시코, 러시아 등을 방문하였을 때 당시 현지에서 전개되고 있던 사회적-정치적 문제와 갈등을 관찰하면서 많은 것을 생각할 기회를 가진 바 있다. 특히 중국 방문의 경험은 그로 하여금 교육의 힘이 사회적 진보를 위해 필요한 수단이라는 확신을 가지게 하였다.

또한 러시아를 방문하였을 때는 보다 나은 세계를 만들기 위해 열렬히 노력하고 있던 교육자들과 학생들을 만났고, 그들은 정치적-경제적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개인들의 삶에 해방을 가져 온다고 믿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듀이는 후에 그들의 입장에 동조하는 글을 쓴 적이 있고 그것으로 인하여 보수적인 사람들로부터는 ‘볼쉐비키’(Bolsheviki) 혹은 ‘적색분자’라는 비난을 받기도 했다.

그가 러시아를 방문한 것은 1928년이었다. 이때는 아직 새로운 학교제도가 정착되지 않아 교사나 교육당국에 학생들의 의사를 공식적으로 전달하기는 어려운 때였지만, 학교에는 많은 정치적 슬로건이 외쳐졌고 그 중에는 개인적 판단과 자발적 협동을 수용하는 것도 포함되어 있었다. 그러나 강압적인 5개년 계획이 끝난 후에 학교에 대한 통제 그리고 특정한 정치적 목적을 위해 교육과 학교를 수단화하는 일이 강제되고 있었다.

이러한 풍토를 목도한 듀이는 커다란 실망을 하였다. 이미 구체제가 된 볼쉐비키 당원들에 대해 불공정한 재판이 이뤄지는 것을 보고, 그는 민주적인 자유주의와는 다른 독단적 사회이론의 영향이 어떤 결과를 가져 올 것인가를 실감하였다.

트로츠키(Leon Trotsky)에 대한 소련의 재판을 조사하는 위원회의 위원장으로 활동한 적이 있는 듀이는 그 조사 결과를 두 권의 책으로 발간하였다. 이것을 보고 좌익진에서는 그를 트로츠키주의자 혹은 반동으로 비난했고 우익진에서는 그를 환영하기도 하였다.

듀이는 1859년에 태어나서 1952년에 세상을 떠났다. 비록 그가 70세를 넘긴 나이에서도 새로운 관심 부문의 저술을 했지만, 그는 이미 길게는 한 세기, 짧게 보아도 반세기 전의 인물이므로 그의 사상, 특히 그의 ‘자유주의’에 대한 생각을 검토하는 것이 무슨 큰 의미가 있을 것인가라고 말할 수도 있다.

그러나 놀랍게도 나는 듀이가 오늘의 사회, 특히 ‘자유주의의 위기’라고까지 말할 수 있는 사상적 혼란과 격동의 한 가운데에 그가 당당히 서서 큰 소리로 외칠 수 있는, 외쳐야 하는 매우 중요한 메시지가 있다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

고전적 자유주의의 비판과 실험적 자유주의

전통적 자유주의자들, 주로 중산계급의 전문적인 사상가들은 사회주의적 노선의 사람들이 문제 삼는 사회계급의 근원에 관해서 무관심해 왔던 것은 사실이다. 그들이 할 수 있는 역할은 분화된 사회계급을 당연시하고 현실적으로 기정사실이라고 수용하면서 편견 없는 객관주의적 이론을 생산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다.

물론, 이러한 사고의 노선 자체에 문제가 있었던 것은 아니다. 오히려 문제는 그들이 그것을 성공적으로 성취할 수 있고 이미 성취하고 있다고 과신하는 데에 있었다.

그러나 19세기 후반부터 영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이미 진보적 사상가들은 정책결정자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빈곤, 실업, 질병 등의 사회적 문제를 다루며, 자유주의의 전통 속에서 여러 가지의 사회적-정치적 문제들을 응축시키는 작업을 하여 왔다.

고전적 자유주의가 지닌 한계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움직임은 주로 사회주의적 사고에서 거론된 문제들을 기술적으로 해결하는 정책의 개발을 위한 이론이었다. 그러한 과제를 위하여 그들은 자연권의 사상, 사유재산권의 원리, 원자론적 개인주의, 고전적 실증주의 등을 대신하는 새로운 사고의 틀을 구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그리하여 영국의 전통 속에서 자생한 공리주의의 이론, 대륙에서 도입된 헤겔(Hegel) 학파의 관념주의적 사고, 그리고 새로이 등장한 진화론적 과학 등에서 그들의 과제를 해결할 원리를 구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인간의 행위를 쾌락주의적 관점에서 설명하고 고전적 실증주의의 특징인 계량적 사고와 연결해 논의하는 공리주의 이론으로써는 고전적 자유주의가 지닌 원자론적 개인주의의 특징에서 벗어날 수가 없었다. 또한 관념주의는 당시의 실증주의적 전통과 진화론적 사고가 지배하는 분위기 속에서 견지되기 어려웠다.

그리고 그들의 사상적 전통 속에서 성장해 온 고전적 자유주의가 지닌 개인주의의 긍정적 가치를 희생해 가면서까지 진화론이 함의하는 바의 유기체적 사회를 전면적으로 수용하기도 어려웠다. 이러한 배경과 함께 고전적 자유주의와 온건한 사회주의를 기술적으로 조화하는 정책적 원리를 찾는 것 이상의 것을 기대하기가 어려웠다.

그들에게 있어서 교육의 문제는 그러한 사회정책적 과제의 내용은 될 수 있으나, 새로운 자유주의의 이념을 실현하는 적극적 수단이나 힘의 원천으로 생각되지는 않았다. 중요한 관심사는, 주로 교육의 혜택을 받기에 불리한 위치에 있는 빈민층이나 하류층에 대하여 그 기회를 증대시켜 준다든가, 자유와 평등과 평화 등의 자유주의적 질서를 그 사회에 유지시키기 위한 시민적 자질을 형성케 하는 것 등이었다. 교육은 새로운 자유주의의 사회를 위한 하나의 보조적 수단이었다.

그러나 ‘실험주의’를 표방한 미국의 듀이 등은 사회적 과제를 그러한 정태적 만족성보다는 개선과 발전과 통합 등의 동태적 능률성을 더 중시하는 경향을 보이면서 교육을 그러한 과제의 수행을 위한 중심부에 두고자 하였다. 교육은 자유주의의 실현을 위한 정책적 대상만이 아니라 자유주의의 실천을 위한 원리 그 자체라는 생각이었다. 이러한 사고의 틀은 자유주의를 제도적 형식이나 체제로 보기보다는 오히려 사회운영의 원리로 본 데서 가능한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