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제원 전주 완산고 교사

전국 17개 시도교육청 중 상당수 교육청에서 '미래 학력'을 추진하고 있다. 미래 학력은 교육과정·수업·평가와 관련한 학력관으로 우리나라 교육은 기존의 학력관이 교육의 본질(학생의 성장)을 침해한다는 문제의식에 대응해 등장한 개념이다. 전통적 학력관과 대립하는 미래 학력관을 비판적으로 사유함으로써 국민과 더불어 공감하는 민주적 시민사회의 바람직한 교육관을 성찰하고자 '박제원의 미래 학력이란'을 연재한다.

박제원 전주 완산고 교사, 고려대 경제학과 및 동 대학원을 나와 전북대 교육대학원을 졸업했으며 한국예탁결제원을 거쳐 2003년부터 전북 완산고에서 사회교사로 재직하고 있다. 전북교육청 사회문화 교재 집필위원, 대입 사회문화 문제출제위원, KDI 경제교과서 집필위원, 중앙일보 공교육논술자문단 등을 역임했으며, 학생 및 교사 대상 글쓰기·논술·토론 등의 특강을 진행하고 있다.
박제원 전주 완산고 교사는 고려대 경제학과 및 동 대학원을 나와 전북대 교육대학원을 졸업했다. 한국예탁결제원을 거쳐 2003년부터 전북 완산고에서 사회교사로 재직하고 있다. 전북교육청 사회문화 교재 집필위원, 대입 사회문화 문제출제위원, KDI 경제교과서 집필위원, 중앙일보 공교육논술자문단 등을 역임했으며 학생 및 교사 대상 글쓰기·논술·토론 등 특강을 진행하고 있다.

교육청 추진 '미래 학력'..."대중 기만, 합리적 의심 지울 수 없어"

전국 17개 시도교육청, 특히 진보교육감은 몇 년 전부터 학력 프레임을 바꾸려고 애써왔다. 즉 기존에 보편적이라고 받아들인 학력관을 재구성하려고 했다. 서울은 ‘서울형 미래교육’, 경기도는‘ 참된 학력’, 충북은 ‘충북형 미래학력’, 충남과 전북은 ‘참 학력’, 경남은 ‘새로운 학력’ 등으로 지칭한다. 그 명칭, 내용, 형식은 약간씩은 다르고, 매년 바뀌기도 하지만 ‘핵심가치’는 거의 비슷하다. 그런 까닭에 지금 추진하는 학력관을 ‘미래 학력’이라고 통칭하겠다.

미래 학력에 대한 문제제기는 그것의 취지나 모든 가치를 부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단 한명의 아이라도 포기하지 않겠다'는 철학에 동의하지만 아주 많이 엉성하고 비상식적인 내용들이 많은데도 장밋빛 향기를 풍기면서 국민에게 속도전을 하듯이 계몽하지 말라는 것이다. 무지렁이에 가까운 국민이라도 기꺼이 받아들일 수 있도록 상식적이어야 하는 데 합리적인 의심을 지울 수 없다. 직선 교육감들은 '권력은 짧고 교육은 길다'라는 상식적인 격언을 잊지 말기를 바란다.

미래 학력의 프레임은 기존학력의 교육목표와 관련한 상위적 범주에서는 크게 다르지 않다. 학교교육으로 삶에 유용한 여러 능력을 키우고자 한다. 기존 학력관처럼 학력을 ‘인지적 영역(이성적인 지식과 연관된 사고력)’, ‘정의적 영역(경험적 자극에 대한 정서적이거나 감성적인 수용 및 반응 능력)’, ‘심동적 영역(신체적 발달 및 활용능력)’으로 구분한다.

“미래 학력이란 무엇인가?”를 말하기 전에 국민이 공감하려면 학력과 관련된 자명한 사실이나 가치로부터 출발하고 뒷받침되어야 한다. 그렇게 만들어진 지식을 이 땅의 학생들이 배우도록 해야만 국민 모두가 소외되지 않고 자고 일어날 때마다 더 나은 삶에 대한 꿈을 꿀 수 있다.

개인은 인지적이든, 정의적이든, 신체적이든 각 능력을 복합적이고 연속적으로 사용한다. 따라서 각 능력은 차이만 있지 차별성이 없다. 단지 어떤 상황에서 특정한 능력이 효과적으로 쓰이지만 그것마저 한시적이다.

하나의 교육철학으로 학력 갈등 메운다?...특정 목적 위한 '사실 조작', '대중 기만'

교육은 항상 가치지향적인 활동이나 상태를 가정하고, 학력은 학교라는 제도에서 습득한 교육적 능력이기 때문에 중립적이지 않다. 즉 편파적이다. 국가든, 교육청이든, 학교든 학생들에게 권력적으로 지배집단의 역사, 문화, 철학을 담은 지식과 기술을 옳다고 가르치고 배우게 한다. 물론 학생이 제도교육을 벗어나서 다른 형태의 학력을 축적할 수 있지만 소수적인 하위문화에 그친다.

학력에 대한 사회적 갈등은 필연적이다. 그렇다면 그 문제를 올바른 하나의 교육철학으로 해결할 수 있는가? 누구나 동의하는 교육적 가치는 없기 때문에 공적인 합의는 거의 불가능하다. 즉 갈등 당사자 간에 아무리 협상하고 화해한다고 해서 근본적으로는 해결할 수 없다. 그런데도 그처럼 해결할 수 있다고 말하거나 믿게 하려는 말과 행위는 비상식적이며 유해하다. 특정한 목적을 위해 사실을 조작함으로써 대중을 기만할 가능성이 높다. 역사는 인간의 유한한 삶과 불멸의 욕망 간에 끝나지 않는 충돌을 서사적인 파노라마로 보여준다.

비판적이고 실천적인 '이성'...교육과 학교에 끼워 맞춘 교육 풍경에서 벗어날 조건

그렇다면 개인이나 집단의 학력관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소모적인 경쟁, 갈등, 반목을 해결할 수는 없는가? 그렇지 않다. 신은 인간에게 불완전하지만 놀랍고도 특별한 무기를 줬다. '비판적이고 실천적인 이성'이다. 각자의 이성은 다르지만 그것에 기대지 않고서는 평화를 기대할 수 없다. 즉 개인은 존엄한 인간이기에 전체적인 ‘하나’로서 합의하거나 하나의 모습으로 살 수는 없지만, 공론의 장을 통해 합리적이고 민주적으로 공존할 수 있는 교육적 가치를 찾고 조정(조절)할 수는 있다. 더구나 다양하게 경험하고, 경험한 것에 대해 더 깊고, 넓게 비판적으로 사유하게 되면 서로의 차이를 크게 좁힐 수 있다. 개인적인 차이가 있어도 국가(사회, 폴리스)를 벗어나서 살 수 없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

이러한 자명한 것들을 수용해야만 교사와 학생, 학부모는 교육과 학교에 억지로 끼워 맞춘 기이한 교육적인 풍경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기득권에 집착하여 국민과 상식을 져버리는 수구보수는 말할 것도 없고,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이 말하듯이 지금의 시간인 현재의 잘못을 덮으려고 오지 않는 미래만을 쫓는 장밋빛 진보를 경계할 수 있다. '미래 학력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공적영역에서 평화적으로 토의함으로써 회자되는 여러 스토리에 대해 주권자인 국민과 시민으로서 사실과 허상, 진실과 거짓을 가릴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