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고 싶은 것 못 하는 아이..."분노와 무기력 쌓여"
아이를 움직이는 힘..."잘 하는 것 잘 한다 인정해야"
"칭찬은 웃음을 만들고 웃음은 춤을 추게 만들어"

교실이 무너지고 교권이 흔들린다. 그러나 하늘이 무너지고 지구의 종말이 와도 사과나무를 심는 사람들이 있다. 교육 현장에 사과나무를 심는 교사들의 이야기. ‘조윤희쌤의 교실 돋보기’를 통해 들여다 본다.

이화여대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1990년 교직생활을 시작한 조윤희 교사는 현재 부산 금성고에서 사회교사로 재직하고 있다. 전국 학력평가를 출제 위원을 지냈으며 교과서 검정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교육부 주관, 제작하는 심화선택교과서 ‘비교문화’를 공동집필하기도 했으며 부산시교원연수원, 경남교육청 1정 자격 연수 및 직무연수 강사, KDI 주관 전국 사회과 교사 연수 강사, 언론재단 주관 NIE 강사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화여대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1990년 교직생활을 시작한 조윤희 교사는 현재 부산 금성고에서 사회교사로 재직하고 있다. 전국 학력평가를 출제 위원을 지냈으며 교과서 검정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교육부 주관, 제작하는 심화선택교과서 ‘비교문화’를 공동집필하기도 했으며 부산시교원연수원, 경남교육청 1정 자격 연수 및 직무연수 강사, KDI 주관 전국 사회과 교사 연수 강사, 언론재단 주관 NIE 강사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칭찬으로 더 친해지기

지난번 청소가 유독 싫었던 아이의 이야기가 이어진다.

빗자루질을 너무 싫어했고 또 못 하던 아이. 반항을 하며 거부하던 아이의 청소시간 순응은 ‘절반쯤’ 나아지고 있었다. 그러나 아이의 태도는 여전히 들쭉날쭉이었고, 수업시간의 무기력은 조금도 개선되지 않았다. 하루 종일을 거의 잠에 바치는 아이.

‘어디가 아픈가’, ‘대체 전 날은 무엇을 하길래!’

그런 염려와 의문이 든 이유는 아이의 하루 일과가 전혀 달라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수업시간엔 제발 좀 그만 자라고 잠을 깨우면 버럭 화를 내고 반항하기가 일쑤였기 때문에 ‘절반의 성공’으로 남아있었던 터였다.

그러던 차에 학교에서 진행하는 공식 프로그램인 진로체험활동이 다가왔다. 학교 자율활동이니 학생들은 의무적으로 참여해야 하는 것이고 각자에게는 그저 ‘선택’의 자유가 있을 뿐이었다. 한 댓 가지의 선택지가 있었지만 어떻든 ‘우리 반의 랭킹 1, 2, 3’은 모두 담임인 필자가 진행하는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되었다.

이른바 ‘원도심 스토리 투어’인데 ▲영도다리에 얽힌 애환과 영도다리 도개(跳開)의 이유와 원리 설명듣기 ▲조선소 발상지 및 수리조선소길과 도선소 및 영도의 흰여울 마을을 탐방하며 도시와 어우러진 자연환경의 아름다움을 보고 진로 탐색하기 등 아름다운 자연과 함께하고 생각하는 시간을 갖는 것이었다. 약속장소인 자갈치 시장에 모이는 시간에서부터 나의 ‘칭찬신공(?)’은 시작되었다.

그날 날씨는 32도 가량. 햇살은 뜨겁고 습도는 높았다. 그러나 바닷가를 걷기로 한 날이어서 그런지 아이들의 발걸음은 경쾌했고, 패션리더를 자처한 옷차림은 모델을 방불케 했다. 문제의(?) 그 아이는 길다란 다리에 어울리는 찢어진 청바지와 박시한 티셔츠를 입고 나타났다.

 

“와! 청바지 흰 티 만으로 이런 핏이 나오다니! 모델이네, 모델이야!”

흐드러진 칭찬에 아이는 으쓱했는지 얼굴이 밝아졌다. 넉넉한 기분으로 출발했다. 뜨겁고 습한 햇살 속을 걸으며 그렇게 멋진 자연과 함께 하는 시간을 보내고 우리는 함께 점심을 먹으러 갔다.

두 명의 인솔교사가 함께 그날 참석한 아이들에게 통 크게 ‘쏘기’로 한 날이었다. 17살 남자아이들의 먹성. 우리가 선택한 최선은 ‘무한리필 돼지고기집’. 아이들의 추천을 받아 가게 된 집은 두툼한 고기가 계속 원하는 대로 공급되는 집이었다.

평소 눈에 흰자위가 더 많이 보이고 수업시간에 무기력하던 아이들은 밖으로 나오자 딴사람이 되었다. 특히 고깃집에선 발군의 실력을 발휘하고 있었다. 그중 한 아이는 방학 때 고깃집 아르바이트를 했다고 했는데 고기 굽는 솜씨가 예술이었다.

쉬지 않고 고기를 연신 구우며 친구들과 선생님들에게도 맛있게 구워진 고기 조각을 건넸다. 싱글 벙글이었다.

“굽지만 말고 너희들도 먹어라, 어쩜 이리 고기를 잘 굽느냐, 많이 먹어라, 잘 먹어둬야 수업시간에도 좀 기운을 차리지 않겠냐”

그간 하고 싶었던 이야기도 슬쩍 풀어냈다. 평소 수업시간에 선생님들로부터 지적을 제일 많이 받는 두 아이. 종종 친구들과도 다투고 선생님들의 지도에 가장 잘 반항하는 두 아이. 그리고 수업시간에 가장 많이 자고 무기력한 두 아이. 그러나 그 자리에 그런 무기력하고 반항적인 아이는 없었다. 교실 밖에서 더 돋보이는 아이 둘이 있을 뿐이었다.

진로체험활동을 위해 영도 조선소를 거쳐 흰여울길을 걷다 찍은 필자반 아이들. 사진제공=조윤희 교사
진로체험활동을 위해 영도 조선소를 거쳐 흰여울길을 걷다 찍은 아이들. 사진제공=조윤희 교사

분노를 참기 힘들고 무기력한 아이의 '속사정'

유독 고기를 잘 구우며 거기 모인 친구들에게 서비스를 선보인 아이와 흰 티가 잘 어울렸던 두 아이는 공통점이 있었다. 화를 잘 참지 못한다는 점과 늘 무기력해 보인다는 점이었다.

흰 티가 잘 어울리던 아이는 본래 전문계고에 가고 싶었다 했다. 그러나 어머니가 보내주지 않으셔서 결국은 인문계에 왔지만 사실 수업 내용은 하나도 모르겠단다. 그러니 수업시간엔 잠이 오고 들어도 재미가 없으니 그냥 억지로 참을 청하기도 한다는 것이다.

좋아하는 것이 무엇이냐고 캐물으니 그림을 그리고 싶은데 본인이 잘하는 것 같진 않다고 했다. 그럼 2학기때부턴 미술을 배워보는 것은 어떠냐는 특히 그래픽과 접목을 시도해 볼 것을 제안했고 그러기 위해 기초를 다져야 하니 미술학원에서 데생부터 기본기를 잘 다져야 한다고 말해 주었다.

그날 그 대화 이후 나중에 아이의 부모님과도 전화로 상담을 했고 뭔가 앞으로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을 하게 될 것 같다는 생각에 아이는 그 이후 한층 표정이 밝아졌다. 해야 할 일을 찾은 성취감으로 인해 아이는 무기력에서도 서서히 탈출하는 모습을 보여 주었다.

고기를 잘 굽던 아이는 여러 선생님과 마찰이 있었지만 자신에 대한 부정적 시선은 이미 체념한 듯 내면화되어 있었다. 본인을 건드리지만 않으면 넘어가려고 한다는 이야기도 했다.

체육 시간에 공을 찰 때만 기분이 좋다고도 했다. 운동을 좋아하냐고 했더니 그렇다고 답하는 아이. 왜 자신이 여길 와있는지 모르겠다고 하는 아이. 전학 갈 생각이 혹시 있느냐니까 그러기엔 부모님께서 너무 큰 비용을 다시 내야 하니 그럴 수는 없다고도 하는 아이. 이 착한 아이들을 왜 이렇게 방황하게 만들었을까! 잠시 마음이 아파오기도 했다.

교사의 칭찬에 아이들이 웃고, 아이들의 웃음에 교사는 춤춘다

그날 이후 대화는 계속되었다. 지금 선택할 수 있는 최선을 찾아보자는 대화를 나누길 수차례. 건강한 체력과 체격을 위해 자신이 좋아하는 운동을 계속하면서 경호학과나 사회체육과를 목표로 해보자고 했다. 연신 고기를 구우며 다른 사람들이 맛있게 먹는 것을 보며 즐거워하던 것으로 보아 다른 사람에게 봉사하는 것도 잘할 것 같다고 했더니 아이는 배시시 웃기도 했다.

그렇게 칭찬과 격려를 듣자 아이는 비로소 자신도 뭔가 할 수 있을지 모르겠단 생각을 하기 시작하는 듯했고, 자신이 할 수 있는 것, 잘하는 것을 찾아 그것을 자신의 직업으로 만들어야겠다는 다짐도 하기 시작하는 것 같았다.

뭘 해야 할지 무엇을 할 수 있을지 함께 고민해 주기보다 왜 자느냐고, 왜 싸우느냐고, 왜 수업시간에 무기력하냐고 다그치기만 한 것은 아니었을까 반성이 되는 시간이었다.

칭찬하며 곁에서 함께 고민하자 스스로 터널을 빠져나올 노력을 시작하는 아이들. 결국 아이들의 무기력은 자신을 미처 들여다보지 못한 미숙함에서 출발한 것이었고, 안개 속 같은 불투명한 진로에 대한 무언의 두려움과 막막함 때문이었다. 불안 때문에 예민해진 아이들의 촉수에 누군가 걸리자 그것을 견디거나 제어하지 못하고 죽어라 들이받았던 것뿐이고.

하지만 함께 생각해주며 고민하고 칭찬하자, 칭찬에 춤추기 시작한 ‘반항 쟁이’, ‘무기력 쟁이’들이 웃기 시작했다. 그들이 웃기 시작하자 교사는 그 미소 덕에 또 춤추기 시작했다. 아이들의 미소는 세상에 둘도 없는 교사를 향한 칭찬이니까. 교실에서 모두를 춤추게 한 그 작은 시작은 결국 칭찬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