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훈 현직 교사

김태훈 교사

한유총이 백기 투항을 했다. 이렇게 된 원인에는 각종 언론에서도 지목하듯이 여론, 교육부와 지자체, 검찰 등 정부의 협공(?) 작전이 주효했다.

여기서 주목할 대상이 한 곳 더 있다. 각 시도교육청의 대응이다. 

애초에 한유총은 여론 지형이 나쁘다는 걸 모른 게 아니었다. 그들은 지난 2016년과 2017년의 경험(한유총이 집단 휴업을 말하자 정부가 무마하기에 급급했음), 멀리는 2005년의 사립학교법 개정이 당시 한나라당의 전래없는 수준의 반발로 인해 무산 된 것 등의 성공경험으로 인해 밀어붙이면 된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 

비상식적이지만 밀어붙여서 성공했을 때, '거봐 나 이정도야' 하면서 오히려 영향력이 커지는 효과,

그들은 그것을 의도했을 것이다.

하지만, 제동은 또 다른 곳에서 걸렸다. 

한유총의 집단행동이 가시화되자 서울교육청은 한유총에 대한 법인 해산 절차를 밟았고, 각 시도교육청은 긴급 보육 핫라인을 마련해서 미흡하긴 하지만 발 빠르게 대응했다.(서울교육청과 경기도교육청 등은 교육지원청 별로 긴급 전화를 마련하고 인근 국공립 시설에 안내 하는 등의 대응을 했다.) 

학부모들로서는 일대 혼란에 빠진 것은 사실이나, 버텨볼만한 희망의 끈을 갖게 된 샘이다. 여기서 한유총은 발을 뺄 수밖에 없었다. 소위 진보교육감들이 교육부와 발을 맞추지 않았다면 혼란은 몇 배 컸을 것이다.

그러나 한유총이(엄밀히 말하면 교육기관을 사적소유물로 보는 세력들이) 이대로 물러난다고 보면 오산이다. 그들은 시도교육청, 지자체, 교육부, 정치권의 지형이 달라지면 언제든 다시 집단 휴원 카드를 내어 들 것이다.

따지고 보면 문제의 근본 원인은 국가가 제공했다. 우리나라는 대학의 85%, 고등학교의 40%, 중학교의 20%, 유치원의 75%가 사립이다. 해방이후 국민들의 높아지는 교육열을 국가의 능력으로 국공립을 만들지 않고 사립학교들에 의존한 탓이다. 

문제는 경제 성장이 이루어진 뒤에도, 학교 설립에서 국공립 위주의 정책을 펴지 않고

여전히 사립에 의존하는 정책을 폈다. 그것이 근본원인이다.

그러므로 향후 필요한 대책은 지금이라도 체계적인 계획을 가지고 유치원을 포함한 교육기관의 국공립화, 혹은 정부책임형 준국공립화를 늘려나가야 한다. 또 교육부의 사립교육기관에 대한 상설화된 감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현재 정부의 관행 및 인력 부족으로 사립 교육기관의 재정에 대한 기본적인 감사도 제대로 안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