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준민 홍익대학교 교육학과 학생

겁에 질렸지만 '있어 보이고픈' 이 시대 아이들
잘 살게 하는 것은 결국 교육..."원하는 삶을 원하는 방식으로 살게 해줘야"

[에듀인뉴스] 군대에서 2년간 공군 헌병으로 복무했다. 헌병 중에서도 초소를 지키는 경비소대에 속했는데, 남정네 2명이 초소를 5시간씩 지켰다. 그 무료한 시간을 버티기 위해 꿈에 대한 20대의 생각과 그 근원에 있는 무의식적 욕망을 파헤쳐 보기로 마음먹었다. 내가 하고 싶은 일이 학습자로 하여금 ‘원하는 삶을 원하는 대로 살 수 있게 하는 것’이었다. 그래서 복무 기간 동안 초소에서 약 50명 정도의 초병들과 자신의 꿈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다. 그중에서 45~46명 정도의 초병의 답변 유형은 매우 유사했다. 그 대화의 얼개를 소개하며 교육에 대한 나의 고민을 2회로 나누어 대한민국이란 사회에서 겁에 질려 사회의 욕망을 제 욕망인 양 쫓고 있는 10~20대의 실태와 교육적 어려움과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법을 다룬다.

정준민 홍익대 교육학과 학생은 성남 구시가지에 있는 '함께여는청소년학교'에서 12명의 아이로 시작하여 11명의 고1 아이들과 10개월째 만나고 있다(wjd1wns2als3@naver.com). 사진=정준민 학생
정준민 홍익대 교육학과 학생은 성남 구시가지에 있는 '함께여는청소년학교'에서 12명의 아이로 시작해 11명의 고1 아이들과 10개월째 만나고 있다(wjd1wns2als3@naver.com). (사진=정준민 학생)
정준민 학생이 군대시절 동료 병사와 나눈 대화 재구성
정준민 학생이 군대시절 동료 병사와 나눈 대화 재구성

여기서 “그만하자”라고 대부분 ‘우리’들이 말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사람들은 이제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지고 싶어 하지 않는다. 누군가가 질문을 던지는 것도 싫어한다. 자신을 고민하게 하는 것을 참을 수 없기 때문이다. 워낙 겁에 질려 있기 때문에 도대체 ‘잘 사는 것’이 뭔지에 대해 고민하는 것조차 두렵다. 그렇게 고민해서 나오는 여러 선택을 끈질기게 밀고 나갈 용기도, 힘도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생각을 멈춘다. 지금의 불안하지만 안정적인 ‘무지’의 상태로부터 벗어나고 싶지 않기 때문이다.

먹고 살기 위한 당장의 선택보단 긴 안목 가져야

요즘 우리는 겁에 질려있다. 먹고 사는 것만으로도 너무 벅차다. 그런데 그렇게 벅찬 와중에도 소위 워라밸이란 걸 유지하고 싶다. 시간 내서 여행하면 자아실현도 하는 것 같고, 어쨌든 뭔가 ‘있어 보이고’ 싶다. 그런데 그게 뭔지는 모르겠으니, ‘일단’ 돈부터 버는 삶을 상상한다. 도대체 다른 삶을 상상할 수가 없다.

그래서 당장 눈앞에 먹고 사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 같은’ 선택을 한다. 좀 더 적나라하게 말하자면 일단 돈을 꽤 벌 수 있을 것 같은 선택을 한다. 별생각 없이 상경계를 노리거나 공대를 간다. 그나마 취업에 도움이 될 것 같아서. 50대라고 별거 있겠는가? 때론 어쩔 수 없이 치킨집을 차리기도 한다.

그런데 그런 선택들이 먹고 사는 문제를 해결하긴 하는가?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에서 지금 잘 나가는 직업을 선택하는 것은 실제 5년, 10년이 지나면 완전히 빗나간 선택이 될 수도 있다. 회계사 자격증을 따서 10년 후에 안정적으로 돈을 벌 수 있을 것 같은가? 알파고의 무서움을 봤다면 그런 말은 하지 못하리라.

좀 더 긴 안목을 가져야 한다.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 유일한 것이 미래를 예측할 수 없다는 것이라면 당장 유망한 직업을 고르는 것이 합리적 선택일까? 시대는 끊임없이 새로운 무언가를 시도할 것을 요구할 터이니, 우리는 계속 새로운 시도를 해야 할 것이다. 이때 용기있게 새로운 시도를 할 수 있게 하는 동력은 결국 우리가 어떤 삶을 살고 싶은지에 대한 진지한 물음과 탐색, 내면에서 샘솟는 욕구가 아닐까?

따라서 긴 안목을 갖는다는 것은 ‘잘 사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고민하는 것이 될 것이다. 그런데 겁에 질려 있으니, 그 고민의 회로마저 스스로 차단해 버린다.

누군가 질문을 던지려고 하면 그만할 것을 요구하고, 더 나아가 그 누군가를 진지충(?) 프레임에 가둔다. 게다가 속은 빈 강정인데, 있어 보이고 싶은 마음 때문에 사회의 욕망을 제 욕망인 양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여 본인을 과시하고 싶어 한다.

그러니 ‘잘 사는 것’이 무엇인지, 어떻게 고민해야 할지 알 도리가 없다. 정말 답이 보이지 않는다. 이런 ‘우리들’이 두려움에서 벗어나 잘 사는 것에 대해 고민할 수 있게 하려면 교육자는 과연 무엇을 해야 할까?

교육이 모든 문제 해결할 수 없어..."그래도 교육으로 해결해야 한다"

일각에선 여러 사회 문제가 뒤엉켜 있어 교육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기는 어렵다고 할 것이다. 저성장, 일자리 부족, 양극화, 주거확보의 어려움 등 때문에 우리들이 겁에 질린 것인데, 교육 만능주의를 주장하며 모든 책임을 교육에게 떠넘기는 것은 몰상식한 짓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맞는 말이다. 사실 위에서 언급한 것을 제외하고도 얼마나 많은 대한민국의 문제점이 우리를 겁에 질리게 만드는가?

그런데 교육하는 사람 입장에서 생각해보자. 아이들이 이렇게 겁에 질린 채로 있어 보이는 삶을 맹목적으로 쫓는 것을 손 놓고 보고만 있을 수 있는가?

대학생 때 한 친구를 열심히 학습 멘토링한 적이 있다. 성적도 꽤 올라 나름 원하는 대학에 간 그 친구는 ‘있어 보이는 삶’을 맹목적으로 쫓는 중이다. 물론 내가 그 친구 삶을 재단할 권리는 없다. 하지만 그러한 삶을 추구하라고 내가 그 친구 성적을 올리려 애쓴 것은 아니었다. 이렇게 닭 쫓다 지붕 쳐다보는 개가 된 기분을 씁쓸히 곱씹는 경험을 하신 분들 꽤 많으실 것이다. 교육자의 목표가 아이들 성적을 올리는 것은 아니니까.

이미지=픽사베이
(이미지=픽사베이)

원하는 삶을 원하는 방식으로 살게 하는 교육은 무엇일까

그 당시 함께 초소에 있던 친구들도 대한민국에서 공부 꽤나 하는 친구들이었다. 그런데 그런 친구들마저 별 고민 없이 '있어 보이는 삶'을 맹목적으로 쫓고 있다고 생각하니 답답했다. 그래서 미칠 듯이 이 문제를 해결해보고 싶었다. 많은 청소년과 청년이 사회가 원하는 삶이 아닌, 정말로 자신이 원하는 삶을 원하는 방식으로 살 수 있기를 더 강렬하게 욕망하게 됐다.

이전부터 나와 비슷한 욕망을 품은 선배 교육자가 매우 많으리라 생각한다. 그러나 도대체 원하는 삶을 원하는 방식으로 살 수 있게 만드는 교육이 뭘까? 이 거대하고도 막연한 문제에 많은 분이 지레 포기했거나, 간만 보고 도망쳤으리라. 하지만 도망치기엔 이게 교육의 근본적 목표가 아닌가 싶다. 그래서 나는 이 거대하고도 막연한 문제를 잘게 쪼개어 당장 시도할 수 있는 구체적인 문제로 만들기로 했다.

그렇게 4년이 지났다. 구체적인 문제들로 쪼갠 여러 단계를 해결하기 위한 방책을 성장의 단계로 엮어냈다. 물론 내가 구한 해법이 온전한 해법일 리 없다. 다만 여러모로 부족한 나의 해법을 디딤돌 삼아 다른 분들도 함께 묘안을 궁구했으면 좋겠다.

#정준민 학생이 찾아낸 성장의 단계는 2편에서 계속됩니다.
#이 글은 교육을바꾸는사람들(교바사)과 함께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