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돈희 에듀인뉴스 발행인/ 서울대 명예교수

[에듀인뉴스] 교육계와 교육학계에는 말할 것도 없고 일반학계에서도 존 듀이(John Dewey)는 누구에게나 이미 잘 알려진 이름이다. 그러나 그의 이름이 알려진 만큼 그의 이론이 잘 이해되고 소개되어 있다고 하기는 어렵다. 그의 사상은 ‘실용주의’, ‘실험주의’, ‘진보주의 교육’, ‘새교육’이라는 명칭으로 소개되어 왔고, 우리의 교육계와 교육학계는 그를 현대적 교육사상의 근원인양 평가하기도 한다. 그러나 그의 사상은 교육계에서 심도 있게 평가된 수준은 아니었다. 에듀인뉴스는 정치와 교육의 이념적 갈등이 극심하고 특히 자유주의적 전통과 강령적 기조에 대한 이해의 혼란이 심각한 수준에 있는 이 때, 존듀이의 실험주의적 자유주의와 이에 관련한 교육사상을 검토해 보는 ‘왜, 지금 존 듀이를 읽어야 하나’를 연재한다.

존 듀이(John Dewey, 1859.10~1952.06), 미국의 철학자이자 교육학자로 미네소타·미시간·시카고·컬럼비아 각 대학에서 교수를 역임하였고 '전국교육협회' 명예회장을 지냈다. 서민의 경험을 프래그머티즘(Pragmatism)에 의해 소화해 보편적 교육학설을 창출해 세계 사상계에 기여했다. 대표적 저서로는 '논리학-탐구의 이론', '경험으로서의 예술' 등이 있다.(출처=두산백과)
존 듀이(John Dewey, 1859.10~1952.06), 미국의 철학자이자 교육학자로 미네소타·미시간·시카고·컬럼비아 각 대학에서 교수를 역임하였고 '전국교육협회' 명예회장을 지냈다. 서민의 경험을 프래그머티즘(Pragmatism)에 의해 소화해 보편적 교육학설을 창출해 세계 사상계에 기여했다. 대표적 저서로는 '논리학-탐구의 이론', '경험으로서의 예술' 등이 있다.(출처=두산백과)

◆연재 예정 순서= [듀이의 지력의 개념] ①문제해결의 장치/ ②창의적, 비판적, 그리고 도덕적 지력/ ③방법적 사고와 지력의 역할/ ④반성적 사고의 모형/ ⑤관조적 지력과 생산적 지력

듀이는 지력을 어떻게 설명하였나

듀이는 이성의 개념을 가끔 사용하기는 하지만 논의적 표현의 주어로 사용하기보다는 지나가는 길에 잠깐 관습적 표현으로 수식적 기능을 하는 언급 정도에 머무는 것이 보통이다. 말하자면 이성이라는 능력의 기관이 존재한다는 전제로 사용하지는 않은 편이다.

오히려 지식을 생산하고 사고를 주도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은 '지력'(Intelligence)의 개념으로 설명하였다.

단순한 어휘의 선택이 아니라 개념의 기능적 의미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전통적 개념의 이성은 지식을 생산하는 능력 혹은 기관임을 기본적으로 상정하고 있음에 비하여, 듀이의 지력의 개념도 지식의 생산과정에서 작용하는 능력의 체제를 함의하고 있다.

그러나 전통적 이성의 개념은 세계를 인식하는, 즉 세계를 설명하고 이해하며 진리를 찾는 능력으로 이해되지만, 지력의 개념은 우리가 경험하는 세계에서 대결하는 크고 작은 문제들의 해결을 위한 방법을 탐색하는 마음의 다원적 구조와 그 작용을 의미한다.

전통적 이성의 개념은 일차적으로 진리로 보장받는 관조적 지식의 인식에 작용하지만, 지력의 개념은 문제해결의 방법적 원리를 통합하는 사고의 성향으로 탐색적 지식의 생산에 작용한다.

이성의 개념은 마음의 자유를 추구하고 지력의 개념은 인간의 성장을 주도하며, 그런 점에서 이성의 개념은 일차적으로 철학적 관심의 대상이며 지력은 교육적 관심의 대상이다.

듀이에 의하면, 지력은 자연의 수준에서 활동하는 하나의 활성적인 요소이며, 세계를 능동적으로, 그리고 효율적으로 바꾸는 데 작용한다. 그러나 듀이는 '절대주의'를 철저하게 배격하였다. 절대주의가 지배하는 곳에서는 인간의 지력이 제대로 유의미한 작용을 한다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존 듀이(John Dewey)의 저서 'Essays in Experimental Logic' 표지
존 듀이(John Dewey)의 저서 'Essays in Experimental Logic' 표지

왜냐하면, 모든 것은 진실한 것이고 영원한 것이며, 가장 이상적이고 가장 합리적이라고 선언하는 사상이나 이론이 지배한다고 철저히 믿고 있는 상황에서는 지력이 특별하게 요구되지 않으며 그것이 작용하는 맥을 차단해 버리기 때문이다.1)

1) John Dewey, Essays in Experimental Logic (New York: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18), p. 23.

거기서는 이방적이라고 여겨지는 특정한 생각은 타도되어야 한다는 풍토를 조성한다.

지력이 효율적으로 작용하기 위해서 세계는 유연하여야 한다. 듀이의 개념으로는 자연은 넓게 개방된 세계이며, 이러한 세계에서는 실제로 갈등과 불안, 불안전성과 불확실성이 존재할 수밖에 없고, 이러한 현상은 세계 그 자체의 특색이기도 하다.

우리가 사는 세계는 바로 이러한 문제의 상황이 본질적으로 주어진 세계이고, 그런 고로 지력의 작용을 요청하는 세계이기도 하다.

새로운 개념의 자연이 전통적 이론의 자연과 차이를 나타내는 것은 바로 불안정성이라는 객관적 특성을 인정한다는 데 있다. 그것이 바로 자연의 상태에서 존재하는 것들의 특성에 속한다.

듀이의 관념으로는 현실적 세계란 일시적으로 존재하는 과정의 순간이며 모든 것이 시기에 따라서 변한다. 절대적인 시작도 없고 자연 속에 있는 모든 것에는 미리 결정된 결과도 없다.

인간도 실제로 당면한 상황에 본질적으로 존재하는 불안정성을 해소하면서 환경에 선택적으로 적응하면서 살아간다. 그러므로 이러한 상황에서 지력이 겨냥하는 목표도 어떤 고정된 목적에 의해서 미리 결정된 것이 아니다.

일시적이고 유연하며 변덕스러운 세계에 살면서, 인간은 자신의 환경과 더불어 서로 작용하고, 지력을 발휘하는 사고를 통하여 독특한 삶을 영위하고 자신의 미래를 주도적으로 형성한다.

그러면 지력이란 어떤 것인가? 듀이는 그의 초기 저작물에서 보면 다윈(Charles Darwin)의 사고의 틀에 가까운 생각을 하였다.

“모든 (생명체의) 독특한 기관, 구조, 혹은 조직, 그리고 모든 부류의 세포나 요소들은 특정한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도구라고 생각할 필요가 있다. 그 각각의 의미와 특성과 위세는 어떤 특정한 상황이 요구하는 조건의 충족을 위한 것이라고 보면 이해가 간다.”2)

2) 위의 책, p.93. 혹은 pp. 9-11.

이러한 진화론적 특징은 인식론과 논리학의 문제에 관한 이론에서도 보여주고 있으며, 지력의 원천적 기원과 기능도 순수하게 생물학적 언어로 서술할 수 있다고 보고, 지력을 특정한 상황에 대한 생물학적 적응의 도구로 읽혀진다.

후기에 접어들면서도 상당한 정도의 일관성을 유지하고는 있다. 그러나 듀이는 지력을 단지 생물학적 설명에만 한정하지 않고 '새로움'(Novelty)을 지력의 중요한 특징으로 서술하면서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데 창의성을 발휘하는 특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다소 확장적인 설명을 덧붙였다.

지력에 관한 프래그마티즘의 이론은, 마음의 기능으로 새롭고 더욱 복잡한 목적을 구상하는 것, 즉 경험을 고정된 타성과 변덕에 고착하지 않고 자유롭게 하는 것이다.

신체의 구조적 특징에서나 사회적 현상으로서 이미 주어진 목적의 실현을 위하여 사고를 하는 것이 아니라, 지력의 사용으로 우리의 행위를 자유롭게 하고 무엇인가를 실현케 하려는 것이다.3)

3) Dewey, “The Need for a Recovery of Philosophy” in John Dewey, et al., Creative Intelligence (New York: Henry Holt and Co., 1917), p. 63.

(이미지=픽사베이)
(이미지=픽사베이)

인간 삶의 방향타, '지력'

'창의성'으로서의 지력의 개념은 듀이의 후기 저술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보이는 경향이다. 특히 더욱 나은 세계를 만들기 위한 필요에 의해서, 철학의 목적과 기능에 관하여, 교육에 관하여, 이지적, 도덕적, 사회적 재구성에 관하여 논의할 때 더욱 빈번하게 중요한 관심사로 자리를 잡았다.

듀이의 경우에 지력은 정태적이고 정돈된 상태에서보다는 혼란스럽고 충동적인 상태에서 더욱 절실하게 요청되는 것이다. 욕구와 충동은 사실상 그야말로 그냥 동물적인 것이어서 방치상태에 있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방식으로든지 방향잡고 조절하고 유지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거역하기도 하는 통제를 필요로 한다.

말하자면 지력에 의한 방향잡기와 조정기능이 요구된다. 즉, 충동에만 맡기지 않는다는 것이다.

충동은 발생하면 그것이 어디로 나아갈지 알 수가 없는 경우도 있다. 충동은 어떤 길이 열리면 분별없이 돌진한다. 지력이 그러한 충동에 봉사하는 것은 충동에의 복종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충동을 밝게 분별하게 하고 자유롭게 인도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 지력은 욕망을 체계적인 힘과 계획으로 전환시키는 기능을 한다.

새로운 목적을 향하여 건설적으로 나아가는 과정의 특징을 언급할 때, 흔히 사람들은 지력이 작용한다는 뜻으로 "머리를 쓴다"고 표현한다. 지력은 사람들을 무지로 인하여, 그리고 우연한 관습에 깊이 빠져버린 탓으로 과거의 속박에 매여 있을 때 거기에서 벗어날 수 있게 한다.

더욱 나은 미래를 보여주고 그것을 실현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자연 안에서 진행되는 상호작용의 과정에서 차지하는 지력의 위치와 역할을 설명하여 듀이는 이렇게 말하였다.

여러 가지 모양으로 상호작용이 계속되면 여러 가지의 변화를 생산한다. 지력의 작용에서 멀어지면 이러한 변화들은 방향을 잃게 된다.

지력에 의한 상호작용이 개입하여 그러한 변화의 진행에 방향을 잡아주면, 자연적으로 일어나는 상호작용의 현장에는 하나의 새로운 질성과 새로운 차원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지력은 상호작용이 지닌 또 하나의 특징적 기능이기도 하다.4)

4) The Quest for Certainty (New York: Minton, Balch Co., 1929), p. 214.

'적응하는 방법'과 '창의성'으로서의 '지력'

듀이는 지력의 개념을 매우 광범하게 사용하고 있다. 적어도 두 가지의 범주를 언급한다면, 하나는 지력이란 특정한 상황에 주어진 역량과 조건으로써 '적응하는 방법'이라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새로운 목적을 구상하고 실현하는 과정에 작용하는 '창의성'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두 가지를 서로 다른 개념으로 분리시키면, 철학적으로 서로 갈등하는 요소들을 포함하게 되고 교육학적으로도 서로 다른 결과를 가져 올 수가 있다.

전자는 기존하는 것에의 적응을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에 소극적이고 '순응적' 특징을 보인다. 그러한 적응은 생물학적 적응과 같이 자아의 객체화를 가져 온다. 즉 나의 의지, 습관, 의미, 가치 등의 본질적 정체성을 등한히 하는 경향을 보이게 된다.

그리고 후자는 항시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변화의 삶을 추구하는 어떤 의미의 '진보적' 특징을 보이기는 하지만, 그러한 변화는 자칫 정체적 가변성 혹은 상실을 가져 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듀이는 자신의 사상적 구조의 중요한 특징으로 자리 잡고 있는 독특한 자연주의적 원리인 '이원론과의 투쟁'이라는 원리에 충실하고자 하였다.

...탐구적 조작, 생물학적 조작, 그리고 물리적 조작의 사이에 연속성의 단절이라는 것은 없다. 살아있는 생명체의 활동에서 수단은 비록 의도적으로 조종하지 않아도 결과에 자연스럽게 부응하고자 한다.

인간은 삶의 일상적 혹은 '자연적' 과정에서 목적에 맞게 적응하고자 하고, 목적 그 자체도 애초에는 당시의 지엽적 상황에 한정되는 것이 보통이지만 ... 의도하는 바가 일반화되면서 탐구적 조작은 특정한 환경에 매이지 않게 된다.5)

5) Dewey, Logic. p. 19.

(이미지=픽사베이)
(이미지=픽사베이)

새로운 질성을 창조하는 '지력'

지력의 개념에서 적응성과 창의성이라는 두 가지는 서로 배타적인 것도 아니고 화합이 불가능한 것도 아니다. 주어진 것에 적응하면서도 어떤 창의적 발상을 할 수도 있고, 여건을 수용하면서도 상상력을 발휘해 볼 수도 있다. 이 말은 과학적인 방법도 특정한 문제해결의 과정에서 철학적 사유와 유사한 상상적인 방법에 몰두 한다는 것이다.

'적응'(Adjustment)이라는 말은 환경적 여건을 적극적으로 사용한다는 것이지 단순히 소극적으로 동화되어 버린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적응은 단순이 객관적 대상이 요구한 바에 응대하는 것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추구하는 바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환경을 수단의 범주에 두고 바로 그 수단을 목적의 실현에 맞게 활용한다는 적극적 의미를 내포하기도 한다.

마치 방안에 온갖 잡다한 물건들이 흩어져 있으면 그 자체로서 아무런 의미가 없을 수 있으나 어떤 목적으로 지력이 작용하여 그것들을 정리하면, 그 상황에서 작용한 지력은 추구하는 목적에 따라서 하나의 '새로운 질성'을 창조하기도 한다.

예컨대, 어린 아기들이 놀 수 있는 훌륭한 공간이 된다. 지력은 생명체의 특징에 따라서 여러 가지의 형태를 취하기도 하고 다양한 작용을 한다. 물론 상대적으로 덜 복잡한(다소 하등의) 것이 있고 더 복잡한(다소 고등한) 것이 있지만 그 사이에는 연속성의 특징이 있다.

지력이 처음 작용할 때는 대개 예상하기가 어려운 가변적인 모양을 보이지만, 조건이 조금씩 충족되고 새로운 질성들이 합세하면, 유사한 것은 유사한 대로 이질적인 것은 이질적인 대로 어떤 '제일성'(Uniformity, 齊一性)에 따라서 일반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장차 어떤 질성들이 출현할 것인가에 대한 예측도 가능하게 된다. 날씨가 흐려지고 짙은 구름이 모이면 우리의 지력은 그 상황의 질성적 특징에 따라서 비가 올 것을 예상한다.

이와 같이 인간이 지닌 지력의 형태와 기능에 관한 일반화가 가능해지면, 그것의 발달에 따른 어떤 제안도 가능해진다. 기다렸던 비가 온다고 예상되면 앞뜰에 나무를 심을 준비를 한다. 이러한 자연적-사회적 변화에 일반화의 원리가 발견된다면 적어도 교육적으로 매우 중요한 상황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돈희 에듀인뉴스 발행인, 서울대 명예교수
이돈희 에듀인뉴스 발행인, 서울대 명예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