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우성 경기 대부중 교사(전국교육연합네트워크 공동대표)

(이미지=픽사베이)
(이미지=픽사베이)

학년별로 다른 입시, 누더기가 되다

[에듀인뉴스] 교육부가 지난 12일 발표한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기본계획’에 따르면, 현재 고교에 재학 중인 고1, 고2, 고3 학생들이 치르게 되는 대학입시는 매년 달라 입시를 준비하는 학생, 학부모, 교사들이 일대 혼란을 겪고 있다.

현재 고1 학생들은 수능에서 국어와 수학 영역 공동‧선택과목 간 문항 비율이 75% 대 25% 내외에서 출제, 제2외국어와 한문 영역 절대평가, 5점 간격 등급 분할, 4교시 한국사 영역 답안지 분리 등으로 변경된다.

이는 작년 8월 발표된 ‘2022학년도 대학입학제도 개편방안’에 따라 반영되었으며, 주요 내용으로는 2015 교육과정 취지(문‧이과 구분 폐지)에 따라 국어‧수학‧직업탐구에 공통+선택 구조, 사회‧과학탐구는 계열 구분 없이 최대 2과목 선택, 수학 및 과학 선택과목에 기하 및 과학Ⅱ 포함, 국어‧수학‧탐구는 상대평가, 영어‧한국사‧제2외국어/한문은 절대평가, 수능 EBS 연계율은 기존 70%에서 50%로 축소하고 과목 특성에 따라 간접연계로 전환하는 것이다.

▨ 2022학년도 대입제도 개편방안 주요 내용

▶ 2015 교육과정 취지(문·이과 폐지)에 따라 국어·수학·직업탐구공통+선택 구조, 사회·과학탐구계열 구분 없이 최대 2과목 선택

▶ 수학 및 과학 선택과목기하 및 과학Ⅱ 포함

 국어·수학·탐구상대평가, 영어·한국사·제2외국어/한문절대평가

▶ 수능 EBS 연계율은 기존 70%에서 50%로 축소하고 과목 특성에 따라 간접연계로 전환

현재 고2(2021학년도 대입) 학생들은 수능위주 모집 30% 이상 선발이 적용되기 전 정시 확대 반영된 학년으로 2015 개정교육과정으로 학습하나 예전 대입 제도를 유지하는 그야말로 과도기 학년이다.

국어 영역은 화법과작문, 문학, 독서, 언어에서 출제되며 현행 수능과 출제범위는 동일하다. 수학(가)는 수학Ⅰ, 확률과통계, 미적분에서, 수학(나)는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통계으로 출제범위가 조정됐다.

현재 고3(2020학년도 대입) 학생들은 수시확대, 정시축소로 확정된 계획으로 입시를 치르게 된다. 수시 77.3%, 정시 22.7%로 2009 교육과정으로 학습하며 입시를 준비하는 막차를 탄 학년으로 볼 수 있다.

2020학년도 대학입시를 준비 중인 고3 학생들은 수시 모집을 중요하게 여겨야 할 것으로 보인다. 수시 모집 제도가 도입된 후 가장 많은 인원을 선발하기 때문이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지난 7월 확정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전체 4년제 모집 정원의 77.3%(268,536명)를 수시로 선발한다. 이는 2019학년도 76.2%(265,862명), 2018학년도 73.7%(259,673명)보다 많은 수치이다.

이처럼, 현재 고1부터 고3 학생들은 수능 출제범위도 다르고, 서로 다른 대입수능을 치르게 된다. 무엇보다 현재 고3은 수시확대 정시축소의 정책을, 현재 고2는 낀 학년으로 개정된 교육과정에 따른 과거 수능체제로 보게 되며, 현재 고1은 수시축소 정시확대 정책 기조에 따라 정시 30% 적용을 받게 된다.

그동안 정부는 새로운 대학입학제도 개편방안을 공론화 결과 및 국가교육회의 권고안 등 국민의 뜻을 반영하여 마련했다고 밝혔다. 정권 교체, 교육과정 개편, 학생‧학부모 의견반영 등으로 매번 대입제도는 누더기처럼 기워 입던 옷이 되어버렸다.

물론, 대학입학시험 제도의 변경은 시대 흐름에 따라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말한다. 수시에서 실패한 학생들을 위한 재도전의 기회 제공이 필요하다는 여론 형성에 따라 정시확대로의 정책 기조 변경이 그렇다.

학생들의 교과목 선택권 확대와 더불어 수능 평가방법에서 절대평가로의 전환으로 학생 부담을 완화해 주는 것은 올바른 방법이다.

무엇보다 70%에 달해 수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학생부종합전형 등의 공정성과 투명성 강화가 급선무다. 그러기 위해서는 대학입학시험 손질보다 중요한 것은 고교교육 혁신이 추진돼야 한다.

다가오는 미래가 현실이 되는 시점에서 입시제도에 몰입하는 교육정책 추진은 모든 국민을 지치게 만들기 때문이다.

다양한 변수로 무장한 수시와 정시 전형은 학생, 학부모, 교사 모두에게 재앙으로 다가오고 있다. 수많은 전형과 매년 바뀌는 입시 제도로 인해 일선학교 교실은 수시 원서 접수 시즌만 되면 패닉 상태에 빠진다. 당장 입시를 치르는 학생조차 수시에 내가 어디에 지원할 수 있는지 알 수 없다.

그렇다 보니 학생과 학부모뿐만 아니라 지도하는 고3 담임교사, 진로진학교사 등은 사교육업체나 대학에서 진행하는 다양한 입시설명회에 위험을 무릅쓰고 아까운 시간을 쪼개어 찾아다니는 실정이다. 학생들의 입시를 지도해야 할 고3 담임교사마저 멘붕에 빠져버리게 만드는 입시 제도로 인해 수많은 학생과 학부모는 당장 기댈 수 있는 사교육에 노크하게 된다.

매년 재도전하는 수많은 재수생은 정시 수능시험에서 강세를 나타내고 있다. 문제는 재수생조차도 재수하면서 변경된 입시 제도로 사교육을 받아야 한다는 사실이다.

2020학년도 입시에서 학령인구수는 11%(62,636명) 감소했다. 2019학년도 입시는 불수능이라고 현재 고3 학생들이 치르게 되는 입시는 상당수 재수생이 재도전 할 것이다. 대학입학정원보다 학생 수가 감소하는 현실에서 입시생들은 치열한 경쟁에서 살아남아야 한다.

매년 바뀌는 입시제도, 자주 변경되는 교육과정, 학벌‧경쟁중심의 사회가 개선되지 않는 한 학생들의 스트레스와 고통은 지속한다.

교육은 100년지대계가 아닌 1년지대계가 된 것 같아 안타깝다. 대한민국을 이끌어갈 미래인재인 청소년들은 어른들이 만든 제도의 희생양이 아니다. 최대 피해자는 학생이다. 피해를 준 어른들은 모두 가해자인 셈이다.

최우성 경기 대부중 교사(전국교육연합네트워크 공동대표)
최우성 경기 대부중 교사(전국교육연합네트워크 공동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