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은숙 충남 청양중학교 과학 교사

[에듀인뉴스] 학교현장 곳곳에서 수업 혁신을 추구하는 교사들이 늘면서 프로젝트 수업이 각광받고 있다. 주입식 수업에서 벗어나 학생들이 직접 체험하고 토론하면서 답을 찾아가는 프로젝트 수업은 아이들의 창의성을 길러줄 뿐만 아니라 자발성과 적극성을 높이는 데 큰 몫을 하고 있다. <에듀인뉴스>에서는 학교현장에서 프로젝트 수업을 실천하고 있는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의 일체화 연구회 교사들과 함께 '수업 혁신을 꿈꾸는, 또 프로젝트 수업을 시도하고자 하는' 교사들에게 경험을 공유하는 기획을 마련했다.

소은숙 충남 청양중학교 과학교사.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의 일체화 연구회 연구위원. '수업이 즐거운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의 일체화'(2018년) 공저자
소은숙 충남 청양중학교 과학교사.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의 일체화 연구회 연구위원. '수업이 즐거운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의 일체화'(2018년) 공저자

◆연재 순서

1. "프로젝트 수업,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을 만들어라" - 고영애 경기 관양고 수석교사
2. 문답으로 푸는 프로젝트 수업 '오해'와 '진실' – 유희선 경기 양오중 수석교사
3. 학생과 교사 진일보에 최적 '프로젝트 수업' - 양혜인 경기 민락중 영어과
4. 세상과 소통하는 '수학', "뭐 그게 어려운가?" -이보라 경기 능동고 수학과
5. 삶의 방향을 제시하는 프로젝트 수업 - 진연자 경기 신곡중 과학과
6. 프로젝트 수업, 한걸음 내딛기 - 이영옥 경기 신곡중 도덕과
7. 프로젝트 액츄얼리 “Project actually is all around” - 임성은 경기 늘푸른중 영어과
8.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프로젝트 수업' - 이지영 대구 화원중 국어과
9. 미래를 준비하는 수업! 프로젝트 수업 – 소은숙 충남 청양중 과학과
10. 지식도 꿰어야 보배! 프로젝트 수업 - 신윤기 경기 분당고 영어교사

'성취감'과 '아쉬움' 동시에 남는 프로젝트 수업

프로젝트 수업을 마치고 나면 언제나 그랬듯이 성취감과 아쉬움이 함께 몰려오곤 한다. 아이들이 자신의 세상을 만난 듯이 즐거워하고, 성장하는 모습을 보면 뿌듯한 성취감이 있지만, 한편으로는 ‘이렇게 했더라면 더 많은 배움이 일어났을 텐데’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아쉬움을 줄이는 성공적인 프로젝트 수업! 그것을 위한 중요한 요소들을 몇 가지 살펴보기로 하자.

수업 설계는 아이들 교육 환경에 맞게

학교를 이동하고, 이전 학교에서 했던 프로젝트 수업의 부족했던 점을 충분히 보충했다고 생각하고 의욕적으로 첫 수업을 해보지만, 곧바로 수정해야만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 이유는 아이들의 교육 환경이나 교육 수준, 그리고 관심사와 흥미 등 아이들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였기 때문이었다.

프로젝트 수업은 교사의 안내에 따라 아이들이 중심이 되어 운영되기 때문에 아이들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아주 중요하다. 너무 어렵다거나 너무 쉬워서 흥미를 잃을 수도 있고, 학교급, 성별, 지역 특성 등이 맞지 않으면, 아이들에게 배움이 잘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프로젝트 수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아이들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하여 설계할 필요가 있다.

주제 선정의 중요성..."어떤 성취기준으로 어떤 세상을 만나게 할 것인가"

프로젝트 수업을 통해 아이들은 자신의 생각이 담긴 지식을 만들어 내고, 이런 과정을 통해 미래에 필요한 핵심 역량을 성취하는 데 많은 도움을 받는다. 따라서 교사는 프로젝트 수업을 위해 어떤 성취기준을 토대로 아이들에게 어떤 세상을 만나게 할지를 주제로 선정하는 일은 아주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학기별 또는 학년별 진행할 교육과정을 펼쳐놓고, 아이들이 자신의 세상처럼 즐겁게 참여할 수 있는 주제를 교육과정 성취기준에서 찾아야 한다. 그리고 성취기준 분석을 통해 프로젝트 수업과 평가를 설계할 수 있어야 한다.

중학교 1학년 과학을 예로 들면 ‘생물의 다양성’ 단원에 ‘생물 다양성 보전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생물 다양성 유지를 위한 활동 사례를 조사하여 발표할 수 있다’라는 성취기준이 있다. 이 성취기준은 아이들 자신들이 맞이할 미래 세상의 환경과 지속가능발전을 위해서 환경교육과 세계시민교육 차원에서의 메가트랜드로 프로젝트 수업의 주제로 활용하기에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성취기준을 분석하여 ‘생물 다양성 보전의 필요성 이해’를 특성요인도 분석(어골도)와 5Why 등 활동중심수업으로 운영하고, 이 수업에서의 배움을 기초로 하여 ‘생물 다양성 유지를 위한 활동 사례 조사를 해보고, 모둠별로 학생들이 할 수 있는 활동 방법 발표하기’로 프로젝트 수업을 운영할 수 있다. 이는 교육과정에 충실하면서도 즐겁고 의미 있는 프로젝트 수업 주제의 좋은 예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상황에 따라서는 다양한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융합하여 프로젝트 수업의 주제를 정하는 것도 좋다.

(이미지=소은숙 교사)
(이미지=소은숙 교사)

수업 목적과 의도를 공유하는 수업 안내

학생들은 대체로 프로젝트 수업에 익숙하지는 않다. 따라서 교사의 세심한 안내는 중요할 수밖에 없다. 프로젝트 주제에 대한 안내, 차시 운영에 대한 안내, 평가 계획에 대한 안내, 조사 자료에 대한 안내, 산출물 제작에 대한 안내, 발표에 대한 안내 등 어느 하나도 소홀히 할 수 없이 중요하다.

먼저 주제에 대한 안내이다. 주제에 대한 안내는 프로젝트에 대한 철학이 담겨 있고, 목적이 무엇인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즉, 교사의 수업 의도와 목적을 정확하게 알고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미지=소은숙 교사)
(이미지=소은숙 교사)

다음으로 차시 운영 안내는 전체적인 수업의 흐름이 어떻게 진행되는가를 알 수 있게 한다. 뿐만 아니라 수업 전체 과정을 숙지하고 준비할 수 있으며, 차시별로 어떤 내용의 수업이 일어나는지를 미리 알 수 있다. 또한 필요할 때마다 언제, 무엇을 수행해야 하는지를 살펴볼 수 있다.

(이미지=소은숙 교사)
(이미지=소은숙 교사)

평가 계획의 안내는 수행 과정에서 언제 어떤 평가 내용으로 어떻게 평가가 이루어지는 가를 알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학생들은 수행의 전체 과정에서 신중을 기하게 될 것이고, 그에 따라 무임승차자가 줄어드는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이 밖에도 조사 자료 안내를 통해서 다양한 매체를 이용하여 조사를 가능하게 하고, 산출물 제작에 대한 안내는 산출물을 다양하고 창의적으로 제작하게 되며, 발표에 대한 안내는 성숙하고 성취감을 느끼도록 발표가 이루어질 수 있다.

프로젝트 수업의 성패는?..."과정중심평가"

프로젝트 수업의 평가는 특정한 내용을 탐구하는 과제나 산출물을 만드는 과제 등을 수행하도록 하고, 전 과정과 결과물(탐구보고서, 산출물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한다. 즉, 프로젝트 계획서 작성에서부터 수행, 그리고 결과물 발표까지 학습의 전체 과정을 중시하여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프로젝트 수업의 평가는 과정중심평가이어야 하고, 평가 과정에서 즉시, 또는 사후 피드백이 이루어져야 한다.

프로젝트 수업의 과정중심평가는 ▲프로젝트 계획, 수행, 발표 등 다양한 학습과정을 평가 ▲인지적 능력, 정의적 능력, 교과 역량 및 창의-인성 계발 등 다양한 영역에 대해 평가 ▲자기평가, 동료평가, 교사 관찰평가 등 다양한 평가 주체에 따른 방법으로 평가 ▲평가에 따른 피드백을 실시하여야 한다.

프로젝트 발표 후 인증샷을 찍은 아이들.(사진=소은숙 교사)
프로젝트 발표 후 인증샷을 찍은 아이들.(사진=소은숙 교사)

학생들에게 프로젝트 수업은?..."기다려져요"

지금까지 프로젝트 수업에 대한 아이들의 반응은 대부분 재미와 즐거움, 그리고 열정이었다.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프로젝트 수업을 하였을 때 첫 반응은 약간 걱정이 앞서는 듯 보였다. 아마도 대입을 준비해야 한다는 마음이 앞서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안내에 따라 프로젝트 수업을 준비하고 실행하고 발표하면서 대부분 아이는 즐거워하면서 열정적으로 참여하였다. 아마도 수업 속에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고 친구들과 나누는 즐거움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또한 ‘과학’이라는 교과의 특성상 아이들의 내면에 잠재되어 있던 과학 개념과 현상이 삶, 그리고 실생활과 연결되는 것을 발견하는 수업이 프로젝트 수업이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젝트 수업 역시 마찬가지였다. 복도에서 마주친 아이들이 인사 대신에 과학 시간이 기다려진다는 이야기를 하곤 하였는데, 이는 프로젝트 수업이 재미있고 즐겁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아이들의 반응은 프로젝트 수업을 꾸준히 하는 힘이 되기도 한다. 특히, 개념위주의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큰 학생들이 프로젝트 수업과 평가에서 자신감과 자존감이 무척 높아진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프로젝트 수업의 평가가 대부분 지식보다는 자신의 생각을 담은 탐구 과정의 평가이기 때문일 것이다.

프로젝트 수업은 아이들이 자신의 세상과 만나고, 미래를 준비하도록 도와주는 수업이다. 따라서 미래를 준비하는 학교교육에서 프로젝트 수업은 반드시 제공되어야 한다는 것을 다시 한 번 생각해 본다.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의 일체화 연구회는 전국적인 학교 밖 전문적 학습공동체 모임으로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의 일체화를 위한 프로젝트 수업을 실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