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부 : 국내 도입 시 우려와 혼란에 대하여

Q. 우리도 수업 혁신의 모범 사례들이 있는데 꼭 IB가 필요한가
Q. 새로운 교육을 할 교사는 어떻게 양성하나

[에듀인뉴스] 지난 4월 IBO((International Baccalareaute Organization)와 대구교육청, 제주교육청은 서울에서 국제바칼로레아(IB) 한국어화 추진 확정 기자회견을 열고 국내 도입을 확정했다. 생각을 꺼내는 수업과 평가의 신뢰도 확보라는 도입 명분과 기존에 혁신을 추구해 온 교수 방법에 집중하는 게 낫다는 팽팽한 의견 대립 속에서 IB는 뜨거운 감자였다. <에듀인뉴스>에서는 IB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그간 쌓인 질문을 중심으로 한 Q&A 기획을 1부 평가시스템, 신뢰할만한가 2부 우리 교육과 무엇이 어떻게 다른가, 3부 국내 도입 시 우려와 혼란 등에 대하여 준비했다.

(이미지=픽사베이)
(이미지=픽사베이)

▲우리도 수업 혁신의 모범 사례들이 있는데 꼭 IB가 필요한가

여러 열정적인 교사와 교사단체에서 협력하여 수업혁신의 모범사례를 만들기도 한다. 제도권을 벗어나 대안학교에서 모범사례를 만들기도 하고 공교육 내에서 열정 있는 일부 교사들의 헌신으로 훌륭한 사례들이 나오기도 한다.

이렇게 자신의 교실 혹은 학교에서 수업 혁신 사례에 성공한 경우, 우리 힘으로 할 수 있는데 왜 IB를 도입해야 하느냐고 반문하기도 한다.

그런데 그런 사례는 그 열정과 노하우가 있는 교사가 떠나면 무너질 수 있다. 즉 시스템의 개혁 없이 한두 모범 사례만으로는 공교육 내에서 확산 및 지속 가능하기 어렵다.

대안학교의 경우는 별도의 검정고시를 봐야 하고, 공교육 내의 사례라 하더라도 몇몇 교사들의 치열한 열정과 헌신으로 떠받치고 있는 격이라, 이른바 ‘앞바퀴 교사’가 빠지면 자동차가 더 이상 예전처럼 가지 못하는 것처럼 문제적 현상이 종종 발견된다.

또한 그런 모범사례는 모두 한결 같이 대입을 해결하지 못했다. 교사들의 열정과 헌신이 지속 가능하려면 혁신된 수업이 대입까지 연결되어야 한다.

아무리 노력해도 결국 수능과 내신 상대 평가가 변화하지 않는 체제하에서는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혁신의 노력들이 무력화되는 경우를 우리는 이미 수없이 경험했다.

IB를 도입해서 궁극적으로 한국형 바칼로레아 체제를 구축하자는 것은 단순히 한 교실, 한 학교의 교육을 개혁하자는 것이 아니다. 대한민국 공교육 전체를 개혁하자는 아이디어다.

개별 교사의 수업 개혁 사례, 개별 학교의 혁신 성공 사례들은 한국형 바칼로레아KB 체제를 구축할 때 도움이 될 소중한 자산임은 분명하다. 그러나 그것만으로는 시스템적 생태계를 구축하는 수준의 개혁이 어렵다.

‘서울대에서는 누가 A+를 받는가’에 의하면, 학생 집단에서 길러지는 능력의 변화는 일부 교수들의 교수법이 변화하는 수준으로는 이룰 수 없다. 기관 전체에서 추구하는 교육 목표와 최종 평가되는 결과가 차이 나는 원인을 모니터링하고 개선하는 시스템 개혁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일부 수업 개혁은 몇몇 사례에 머무를 뿐 기관 전체로 확산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교육 개혁은 일부 수업을 넘어 시스템 개혁으로 구현해야 한다.

서울대의 교육이 바뀌려면 서울대 시스템이 바뀌어야 하지만, 대한민국 공교육은 대한민국의 시스템이기 때문에 대한민국 공교육 체제 전체와 대입까지 같이 바뀌어야만 지속 가능하다.

(이미지=픽사베이)
(이미지=픽사베이)

▲새로운 교육을 할 교사는 어떻게 양성하나

IB 교육을 한국어로 시작하고 지속 가능하게 하려면 무엇보다 IB 교육을 할 수 있는 교원과 IB 대입 시험을 엄정하게 평가할 수 있는 채점관을 한국 교사 중에서 육성하고 관리해야 한다.

IB 본부에서는 이를 위해 단계별 교원 연수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또 전 세계의 같은 교과 교사들끼리 네트워크를 형성하게 하여 고민과 경험을 공유하게 한다.

IB가 한국어화 되면 그러한 공식 연수들이 한국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초기에는 연수 강사를 구하는 것이 쉽지 않은 과제다. IB 워크숍의 연수 강사는 IB 교사 경력이 3년 이상이어야 하는 데다 한국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려면 영어와 한국어가 둘 다 가능해야 하기 때문이다.

강연 정도는 통역을 활용해서 연수를 할 수 있으나, 각 교과별 평가 기준 및 채점 결과에 대한 시범 등의 워크숍을 하려면 연수 강사가 반드시 한국어로 쓰인 답안을 읽을 수 있어야 하고 교사들의 채점에 대해 피드백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당연히 한국어에 익숙해야 한다.

현재 IB 본부와 한국 교육청들에서 추진하고 있는 IB 한국어화 프로젝트에 포함되는 교원 양성 정책은 다음과 같다.

IB 본부에서는 2019년 상반기부터 한국어 연수 강사 지원자를 모집했다. 우선 국내외 영어 IB 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한국어 가능 교사들 중에 지원을 받는다. 또 한국 교육청들에서는 교과별·영역별로 영어와 한국어가 모두 가능한 교사들을 IB 본부에 추천한다. 그러면 IB 본부에서 이들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연수 강사 교육을 한다.

특히 교육청에서 추천한 교사들은 아직 IB 교육 관련 경력이 없기 때문에 수차례에 걸쳐 더 밀도 있고 체계적인 훈련을 온라인·오프라인으로 집중 제공받는다. 연수가 어느 정도 완료되면 국내에 있는 영어 IB 학교에서 몇 개월 이상 파견 근무를 하는 과정까지 마쳐야 한다.

각 교육청들과 IB 본부는 이러한 한국어 연수 강사 양성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다. 이 연수 강사들은 추후 국내 IB 인증 학교의 현장 실사팀 심사 위원으로도 활동할 수 있다.

한편 고등학교 과정인 IB 디플로마 프로그램의 경우 한국어로 수업이 가능하려면 교과 내용과 교사용 지도서를 한국어로 번역해야 할 뿐만 아니라 각 과목의 평가를 점검하고 확인할 수 있는 한국어 채점관을 육성해야 한다.

이들은 개별 학교의 평가를 조정하는 작업에도 참여하므로 반드시 한국어로 의사소통이 가능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IB 과목을 지도해 본 교사가 반드시 필요하다.

IB 본부에서는 일단 영어와 한국어가 모두 가능한 연수 강사를 양성한 후 그중에서 채점관 후보를 선발하여 엄격한 추가 훈련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모두 통과한 이들을 영어 IB 시험 채점에 투입하고, 여기에서 검증된 채점관을 추후 한국어 IB 시험 채점에 투입할 계획이다.

이러한 연수는 단발성으로 그치지 않고 상시적이고 체계적으로 설계·운영될 필요가 있다. 또한 IB에서 하는 의무 연수로 충분치 않은 경우, 국내에서 추가로 연수를 할 수 있는 체제가 마련되어야 한다.

교육청 내 연수원 또는 사범 대학에 IB 교원 연수 과정을 만들어서 안정적으로 교원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일본에서는 쓰쿠바대학교가 공식 교원 연수기관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대학이나 교육 연수원이 IB와 제휴하여 공식 연수 기관이 된다면 지속 가능한 교원 연수 체제를 만들 수 있다.

* 출처=IB를 말한다(창비교육) By 이혜정, 이범, 김진우, 박하식, 송재범, 하화주, 홍영일

국내에 IB를 소개하고, IB 연구 프로젝트를 주도해 온 교육학자와 교사들이 IB에 관한 모든 것을 상세히 밝힌 책 'IB를 말한다' 표지.(이미지=창비)
국내에 IB를 소개하고, IB 연구 프로젝트를 주도해 온 교육학자와 교사들이 IB에 관한 모든 것을 상세히 밝힌 책 'IB를 말한다' 표지.(이미지=창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