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개강 결정, 시행 과정 사회 주류 중심적 시선에서
소수자 대한 고려 없이 진행된 것은 아니었나 돌아봐야

안창준 공주교육대학교 2학년

[에듀인뉴스]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인해 전국 대다수 교육대학교가 대면 강의 개강을 무기한 연장하고 비대면 강의 대체 방안을 마련했다. 하지만 지금의 상황이 말 그대로 초유의 사태라는 점을 감안 하더라도 교육부와 대학 본부 측의 대처에 대해서는 실망감이 크다. 

학생 학습권에 대한 고려 없이 단순히 과제로 대체된 강의, 열악한 강의 영상 제작 환경 및 시스템과 그로 인해 발생하는 강의의 질 하락, 그리고 학생과 충분한 논의 없이 일방적 통보 방식으로 진행되는 대학의 의사결정 과정 등...

어쩔 수 없었다는 말로 넘기기에는 너무나 아쉬운 점들이 많았던 것이 사실이다. 

대면 강의가 지속적으로 연기되고 몇 차례 의견 수렴 과정을 거치면서 지금 시점에서 어느 정도는 개선되었다고는 해도, 비대면 강의 실시 초기에는 강의의 질적 측면에 대한 문제가 매우 심각했다. 

영상 등 어떠한 강의 대체 방안도 없이 모든 수업을 과제물 제출로 일괄 대체한 강의가 매우 많았던 것. 

실제로 전국대학학생회네트워크에서 3월 18일부터 31일까지 실시한 <코로나19 대책 관련 피해 사례조사>에서 전국교육대학생연합 소속 응답을 분석하면, 온라인 강의 진행 형태의 48.3%가 과제대체이며, 실시간 강의는 12.2%, 동영상 강의는 39.5%로 과제대체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심지어 3월 수업 중 실시간·동영상 강의를 한 번도 수강하지 못한 경우도 존재했다. 

영상강의가 준비된 경우에도 열악한 강의 제작 환경과 이에 대한 지원 미비 등이 겹쳐 양질의 강의가 제공된다고 보기 힘든 경우가 상당했다. 일부 강의의 경우 영상이 아닌 음성 파일만 제공되어 원활한 학습을 진행하기 무리가 있는 경우도 있었다. 

또 사이버강의 플랫폼이 불안정해 영상강의 업로드가 제대로 진행되지 않았던 경우도 있었다. 강의 없이 쌓이는 과제물과 불안정한 사이버강의 시스템으로 인한 이중의 스트레스를 받아야만 했다는 것이다.

코로나19 사태 동안 대학 본부와 교육부의 의사결정 과정 역시 아쉬움이 많이 남는다. 다수 교육대학교가 사전에 학생의 의견을 수렴하려는 시도조차 하지 않은 채 재택수업 방식을 일방적으로 결정했다. 

의견수렴 절차를 거친 학교의 경우도 면담 수준에 그치거나 총학생회 설문조사 결과를 참고하는 등 재택수업 방식을 결정하는 의사결정 과정에 학생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지는 못했다. 

학생들이 들을 수업에 대해 교원들로만 구성된 회의에서 모든 것을 결정하고 학생들에게는 그저 통보만 하고 있는 셈이다. 

전국교육대학생연합(교대련)은 13일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코로나19 재난 시국선언'을 발표했다.2020.04.13.(사진=교대련)

교육부의 교육실습 방식 결정 과정도 이와 대동소이하다. 현장 실습을 나가야 하는 학생의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이 없는 일방적 통보 방식이었다. 

코로나19 사태 없이 올해가 예년과 같았다면 이번 학기에 실습을 나갔어야 하는 학생의 입장에서, 교육부가 실습 대책을 세우고 있다는 것, 학교 원격수업을 참관·보조·운영하는 방식의 교육실습을 허용하는 방안이 실습 대책으로 결정되었다는 사실을, 의견 수렴 및 소통 창구가 아닌 언론 보도를 보고 알게 되었다는 사실도 굉장히 당혹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이러한 ‘온라인실습’이 초등 교원에게 필요한 전문성을 길러주는 데 어떤 효과가 있을지도 의문스러울 뿐 아니라, 당장 졸업과 임용 준비가 걸려 있는 교대 4학년 학생의 경우 불안감이 앞설 수밖에 없는 것도 사실이지 싶다.

교육부가 적극적으로 교육대학교 학생의 의견을 수렴했다면, 더 좋은 대안이 나오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도 있다.

온라인 강의 실시로 인해 배제되는 학생이 있지는 않을지 우려되기도 한다. 

가정에 컴퓨터 등 전자기기를 활용하기 어려운 환경에 있는 학생, 시·청각장애가 있는 학생 등 현재 실시 중인 비대면 강의 방식에서 배제될 수밖에 없는 학생들에 대한 체계적이고 명확한 대안이 확실하게 마련되거나 논의되고 있다는 이야기는 잘 들리지 않는다. 

실제로 3월 20일 장애의 벽을 허무는 사람들과 한국농아대학생연합회 등이 온라인 강의의 장애 학생 배제에 대해 기자회견을 열고 인권위에 진정을 넣기도 했다. 

온라인 개강 결정과 시행 과정이 지나치게 사회 주류 중심적 시선에서, 소수자에 대한 고려 없이 진행된 것이 아니었나 돌아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비대면 강의에 대한 비판점들은 현재 각 초·중·고 학교에서 진행 중인 온라인 수업에 대한 비판점들과도 통하는 구석이 있다. 

첫 개학연기 발표부터 온라인 개학 실시 결정까지 교육부는 학교 현장과 소통하기보다는 일방적 통보 방식으로 계획을 발표해 왔다는 점에 더해 온라인 수업 플랫폼인 EBS 온라인 클래스, e-학습터, 위두랑의 경우 접속자 폭증을 이기지 못하고 접속 불능 현상이 발생하는 등 의사결정 과정 및 온라인 수업 인프라에 대한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은 3월 30일 보도자료를 내고 ▲온라인 개학 연기 및 철저한 준비와 대책 마련 ▲수업일수 감축을 통한 온라인 개학 연기 ▲온라인 수업 환경 구축 및 세부 대책 보완 ▲온라인 수업으로 야기될 수 있는 디지털 범죄 등 부작용 대책 마련 등을 요구했으나, 온라인 개학은 순차적으로 학교급별 연기가 있기는 했으나 여전히 충분한 준비 없이 급하게 시행됐다. 

온라인 수업 준비에 대한 지원은 아직도 열악하며, 지금 이 시점까지도 수업자료 저작권 대책, 교사 초상권 대책, 그리고 온라인 수업 플랫폼 접속 지연 대책 등은 일선 학교와 교사들이 떠맡게 되는 등 제대로 된 대책이 나왔다고 보기는 힘든 상황이다. 

교육부는 장애가 있는 학생, 취약계층 학생에 대한 원격수업 대책도 마련했다고는 하나 비장애 학생과 취약계층이 아닌 학생들에게 제공되는 학습 환경과 비교했을 때 역부족인 편이다.

분명 우리는 현재 코로나19 감염병 확산으로 인한 재난 상황에 처해 있다. 그러나 재난 상황이 누군가를 배제하는 일에 대한 정당성을 담보해줄 수는 없다. 

현재 교육대학교 학생에게서, 그리고 학교 현장에서 터져 나오는 불만들은 단순히 지금 현재 상황이 사회 전반적 비상사태기 때문에 발생한 어쩔 수 없는 현상이 아닌, 지금껏 정책적 의사결정과정 전반에서 학생, 교사, 소수자를 포괄한 당사자들이 배제되었기 때문에 발생한 우리 공동체의 위험 신호다. 

코로나19 감염병 확산으로 우리 사회와 교육의 민주적 결점들이 드러난 지금 이 순간이 반성과 개선의 기회가 되기를 간절히 소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