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충북은 연 298억, 광주·전남 복수형 478억
공유대학 모델 첫 도입…초·중등과 고등교육 연계
교육부 선정지역에 '규제샌드박스' 체제 도입키로

박백범 교육부 차관.(사진=교육부)
박백범 교육부 차관.(사진=교육부)

[에듀인뉴스=한치원 기자]  지방자치단체와 대학이 협력기반을 구축해 지역혁신에 나설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의 대상으로 경남과 충북, 광주·전남의 지역혁신 플랫폼이 선정됐다.

교육부는 16일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 선정 결과를 이 같이 발표했다. 대학과 지방단체가 협력해 지방대 위기를 극복하고 지역혁신을 견인토록 하자는 취지다.

이번 사업에는 비수도권 14개 모든 시도가 단독 또는 연합으로 총 10개 플랫폼을 구성해 지원했다. 교육부는 평가를 거쳐 지자체의 적극적인 의지와 대학-지역 간 신뢰·협업 체계를 구축한 3곳을 지원 대상으로 선정했다. 

박백범 교육부 차관은 “지역혁신사업은 지역혁신과 국가균형발전이라는 범부처 핵심정책의 일환”이라며 “대학과 지역이 협력관계를 형성, 우수 인재를 육성하고 청년의 지역 정주를 높이는데 핵심역할을 하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라고 설명했다.

개별 대학의 역량을 키우기 위해 추진했던 그간 재정지원사업과 달리 지자체·대학·기업 등이 협력해 지역혁신을 견인토록 하는데 방점을 뒀다는 것이다.

(자료=교육부)

올해 예산은 1540억원으로 국고로 1080억원을, 나머지 460억원은 지방비로 충당한다. 

1개 시·도가 참여하는 단일형에서 선정된 경남과 충북에는 국고 298억원이, 2개 이상 시·도가 참여하는 복수형에 선정된 광주·전남에는 국고 478억원이 지원된다.

경남지역에선 17개 대학 49개 유관기관이 플랫폼을 구성해 참여했다. 지역 특성화분야로는 △제조엔지니어링 △제조ICT △스마트공동체 등을 제시했다. 사업 총괄은 경상대가 맡으며 창원대·경남대 등 지역 대학 17곳이 참여한다.

충북에선 15개 대학, 44개 유관기관이 플랫폼을 꾸렸다. 제약바이오 분야를 비롯해 정밀의료·기기, 화장품·천연물 등 바이오산업 분야를 핵심 전략 과제로 선정했다. 15개 대학 중 충북대가 사업 총괄을 맡고 한국교통대 등이 참여한다.

광주·전남 지역에선 15개 대학, 32개 유관기관이 참여했다. 에너지산업과 미래형운송기기를 핵심 분야로 선정했다. 특히 초중등교육과 고등교육을 연계해 고급인재 육성의 체계성을 확보하고, 대학 역량을 지역사회로 확장하고자 했다. 전남대가 총괄하고 목포대 등이 참여한다. 한국전력공사 등 지역기관과도 긴밀히 협력할 예정이다.

(자료=교육부)

대학이 공동 LMS 시스템을 통해 고교학점제 선도지구 내 고교에 비대면 학습콘텐츠를 제공하고, 교원의 다과목 지도역량 강화를 지원해 핵심분야 산업의 생애주기적 인력양성체계를 공고화하는 계획을 마련했다. 

이들 대학은 공통적으로 지역대학들이 자율적으로 상생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지역대학이 가진 강점분야를 내세우는 '공유대학 모델'을 제시했다. 

공유대학 모델은 대학의 온라인 교육인프라 및 지역대학 간 협력체계를 바탕으로 운영하며, 이를 통해 공동 교육과정의 효율적 운영, 공동·복수학위 추진을 도모할 수 있다. 지역내 모든 학생이 대상이 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경남은 1~2학년 과정을 공통교양 플랫폼을 통해 이수하고 3~4학년 과정은 중심대학에서 개발한 학·석사연계과정과 융·복합전공, 자기설계전공으로 이수하는 방식이다.

(자료=교육부)

교육부는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에 관한 법률'을 연내 개정해 플랫폼 구축지역에 고등교육 규제샌드박스 체제를 도입할 계획이다.

이는 지역별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계획’에 포함된 규제개선 필요사항에 대해 규제적용을 완화 또는 배제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학과 개편 및 정원 조정 시 4대 요건 기준, 이동수업 기준, 계약학과 운영 기준 등이다. 

박백범 교육부차관은 “대학과 지자체 간 협업을 통해 다양한 지역혁신 모델이 구축될 것”이라며 “교육부는 규제혁신 등 전방위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다. 이들 지역의 성공모델을 바탕으로 지역혁신 플랫폼 사업을 확산시키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