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듀인뉴스] '과제탐구끝판왕'은 과제탐구의 모든 과정은 배경지식을 쌓는 과정과 '질문하는 법'을 알려준다. 또한 학생들 각자의 관심분야와 도전할 학문적 범위, 개념을 더 쉽게 찾도록 돕는다. 사전조사와 한 번 탐구한 내용을 요약하는 것에서 끝내지 않고, 그 주제로 과제탐구 계획서와 보고서를 왜 작성해야 하는지 과제탐구 끝판왕은 그 답을 제시해 자신의 진로분야에서 문제해결 능력을 기르고자 하는 학생, 전공지식의 심화학습에 도전하고자 하는 학생 모두에게 과제탐구의 다양한 방법을 전해주고자 한다. 학생부 속 다른 비교과 활동들의 원인, 근거가 되는 '지적호기심'은 어떻게 성장할 수 있을까? 이 물음의 답을 교과와 독서, 동아리 및 교내대회 등에서 과제탐구의 주제를 정하고 탐구과정을 설계함으로써 찾는 방법을 <과제탐구 끝판왕>에서 만나보자.

(왼쪽부터)이성훈 꿈구두 교육 플랫폼 특목자사/의치한 입시연구소장과 정동완 오늘과내일의학교 회장. 이성훈 소장은 학생부종합전형 준비에 대한 '실천 로드맵'을 제시해 학생들이 스스로 강점을 분석해 계열별로 융합적인 문제해결능력의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돕고 있다. '합격 사례로 분석한 특목/자사고 입시멘토링', '과제탐구 끝판왕' 등의 저서가 있으며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면접대비, 의대-면접 기본과 다중미니면접 등을 기고하고 있다. 정동완 회장은 EBS 파견교사 및 진학 대표강사로 활동했으며 10종의 끝판왕 베스트셀러 시리즈 총괄 기획, 나만의 맞춤 My Best 가이드 총괄 검토 등 60여종의 베스트셀러 저자이며 전국구 강사이다.
(왼쪽부터)이성훈 꿈구두 교육 플랫폼 특목자사/의치한 입시연구소장과 정동완 오늘과내일의학교 회장. 이성훈 소장은 학생부종합전형 준비에 대한 '실천 로드맵'을 제시해 학생들이 스스로 강점을 분석해 계열별로 융합적인 문제해결능력의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돕고 있다. '합격 사례로 분석한 특목/자사고 입시멘토링', '과제탐구 끝판왕' 등의 저서가 있으며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면접대비, 의대-면접 기본과 다중미니면접 등을 기고하고 있다. 정동완 회장은 EBS 파견교사 및 진학 대표강사로 활동했으며 10종의 끝판왕 베스트셀러 시리즈 총괄 기획, 나만의 맞춤 My Best 가이드 총괄 검토 등 60여종의 베스트셀러 저자이며 전국구 강사이다.

[에듀인뉴스] 여러분들은 지금까지 앞선 <과제탐구 끝판왕> 연재 기사 글들을 읽어보면서 과제탐구가 무엇인지, 왜 어렵지 않은 도전인지, 그리고 과제탐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것들은 무엇인지를 함께 살펴보았습니다.

밑의 글은 일선 고등학교 선생님이 ‘과제탐구 끝판왕’을 실제 교과 활동에 적용해보면서 느낀 점을 알려준 내용입니다.

학생들에게 과제탐구 과목에 대한 생각을 물어보면 으레 ‘무엇을 하란 건지 잘 모르겠다’, ‘내용이 너무 어렵다’, ‘솔직히 선생님도 뭘 가르쳐야 하는지 잘 모르시는 것 같다’는 대답이 돌아오곤 합니다.

암기 중심의 교육과정을 거쳐 온 이들에게 <탐구>라는 개념은 스스로 생각하기보다는 남들이 적어준 생각을 요약, 정리, 암기하여 읊을 수 있는 능력에 더 가까웠던 것이 사실입니다.

2015개정 교육과정이 본격적으로 시행되면서 우리 교육은 학생들에게 암기 대신 ‘생각하는 능력’, ‘탐구하는 능력’을 길러주고자 합니다.

<과제탐구>는 이러한 역량을 기르는 데 가장 적합한 과목이지만, 수업 방식의 난해함, 익숙하지 않음으로 인해 학생들이 쉬이 접하기 어려운 과목이자 활동이었습니다.

자, 그렇다면 여러분에게 물어볼 한 가지 질문이 있어요. 혹시 본인의 학교생활기록부에 기재된 전체 항목들 중에서, 스스로의 학업적 특징과 장점을 찾기 위해서 어느 항목부터 읽게 되나요?

교내대회의 결과를 기록한 수상실적, 창의적 체험활동 내용 중에 동아리활동, 아니면 교과별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중에 가장 인상 깊었던 교과 활동... 생각해보면 다양한 답변을 들을 수 있겠네요!

참고로 2022학년도 이후 학교생활기록부 기재 변경사항으로 인해 곧 폐지되는 진로희망사유 내용은, 진로활동 기재사항 중 일부로 본인의 관심분야에서 실천하고 도전한 활동이 기록될 수 있습니다.

이제 저의 답변을 전해드릴게요. 학교생활기록부의 마지막 장을 찾아 읽어봅시다. 독서활동기록사항 내용 중에 일부분과 학교의 담임 선생님이 기록해주는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 내용을 보게 될 거에요.

특히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을 자세히 읽어보길 바랍니다. 어떤 단어, 어떤 문장, 그리고 어떤 자신만의 특징들이 읽히는지 찾아보세요.

“평소 꾸준한 독서량, 창의적인 문제해결력, 수학이나 과학 교과에서 보여준 사고력, 배운 교과 개념들을 토대로 사회문제 현상을 분석하는 수행평가를 특히 좋아하며...”

이렇게 자신의 학업태도의 성장과 지적호기심에 대한 여러 실패와 성공, 그리고 실천했던 탐구활동과 토론 활동이 관찰되고, 평가 받게 되는 항목입니다.

앞에서 강조한 것처럼 학생부 속 몇 가지 항목들의 인과관계, 발전해가는 모습 등을 확인하다보면 무엇이 보일까요?

진지한 호기심으로 시작된 관찰하는 자세, 생각의 전환을 고등학교 3년 동안 자주 보여준 어느 학생의 사례를 보도록 할게요.

우선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과 과학 세부특기사항 내용에서 ‘미생물’이라는 탐구 주제가 여러 번 보였습니다.

평소 생명과학, 화학 관련 실험과 수행평가를 준비하며 탐구할 대상을 찾는 공부를 즐겨함.

좋아하는 미생물 중에, ‘슈도모나스 시린자이’가 인상적이었다고 발표함.

관련 정보나 기사를 찾아 읽다가, 스키장에서 인공 눈을 만들 때 식물에게 냉해를 불러일으키는 ‘슈도모나스 시린자이’를 활용하는 것에서 자연모사기술의 가능성을 배움.

이후 조핵단백질의 기능에 변화를 줄 수 있는 기법들 중에 연구하고 싶은 주제를 정하게 됨.

교과 세부특기사항과 동아리활동에 기재된 창의연구 논문 주제 : 인간 항체 라이브러리를 응용한 식물 바이러스 방제용 생물학적 농약 개발. 식물에게 해가 되는 대표적인 바이러스인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를 인간은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인간이 가지고 있는 항체를 식물에게 적용하여 생물학적 농약을 개발함.

여기서 우리가 기억해야 하는 부분이 있다면, 관심분야나 진로 또는 전공학과에 맞춘 활동들의 이름과 제목 등이 중요하지 않다는 점입니다.

어떤 주제와 이론을 학습하게 된 원인과 탐구동기, 그리고 어떤 교과목에서 배운 지식과 개념이건 그것으로부터 의문점을 품는 자세가 훨씬 더 중요해요.

다시 말해 생명과 화학 관련된 수행평가와 실험들, 발표수업 준비 등의 기회가 생길 때마다 무엇에 대해 진지하게 관찰하고 탐구하려면 자신이 좋아하는 미생물, 바이러스에서 이것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지식들로 생각의 범위가 넓어져야 합니다.

그래야 과제탐구의 과정 속에서 탐구하고 싶은 분야에 대해 더 구체적인 호기심과 문제 상황을 찾을 수 있는 질문을 하게 될 거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