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력수준 높을수록 생활전반 만족도 높아

김영철 교수논문," ‘학력(학벌)의 비경제적 효과추정“


학력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학벌에 따라 자존감과 가정생활 등에서 삶의 만족도도 바례해 높아지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잖아요’란 절규와는 달리 ‘행복은 성적순’이라는 인식이 높다는 사실을 반증하는 것이다.

상명대 김영철(금융경제학과) 교수는 15일 이 같은 조사결과를 담은 논문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잖아요?: ‘학력(학벌)’의 비경제적 효과 추정”을 공개했다.

김 교수는 한국노동패널조사(KLIPS) 7차년도 자료 중 9997명을 대상으로 ‘전반적인 삶에 대한 만족도’ 등을 설문한 자료를 토대로 출신 대학 수준과 학력에 따라 생활 만족도가 달라지는지 를 분석했다.

그 결과, 학력 수준이 높을수록 생활 전반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인다는 사실을 알수 있었다. 김 교수는 대학별 입학생의 평균 대입성적을 추정해 학력 수준을 ▲상위권대(10개) ▲중·상위권대(30개) ▲중위권대(40개) ▲기타 4년제대 ▲전문대 ▲고졸 ▲중졸 이하로 나눴다.

이를 바탕으로 조사한 결과, 유효 응답자 9천948명중 ‘생활에 만족한다’는 응답자의 비율은 30.2%(3천95명)에 불과했다.
그러나 상위권대 출신 중에서 만족한다는 응답 비율은 54.0%에 달했다. 이어서 중·상위권대 출신이 46.4%, 중위권대는 42.4%로 낮아졌다. 기타 4년제대학 졸업자는 46.2%였다. 전문대졸은 35.1%, 고졸은 28.8%, 중졸 이하는 23.1%로 생활만족도가 더욱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학력수준별 전반적인 생활만족 및 일자리 만족비율

이러한 경향은 ‘월평균 소득’과 ‘종사하는 직업의 지위가 같다’고 가정하고 분석했을 때도 같은 결과가 나왔다.

김 교수는 “학벌 차가 소득 차로 이어져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효과를 배제해 보면 소득 외에 일자리의 질적 수준이나 결혼 및 가정생활, 자존감이나 차별의식 등 다양한 요소들이 학벌 효과에 포함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분석했다.

또 학력수준이 높을수록 차별받은 경험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질문항목의 유효 응답자 7400명 중 '취업시 차별 대우를 경험했다'고 답한 비율은 중졸 이하 23.0%, 고졸 18.7%, 전문대졸은 19.1%였다. 이에 반해 중·상위권대, 상위권대 출신은 각 8.3%, 7.3%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사회생활을 하면서 ‘차별대우를 받았다’는 인식도 '학력 수준이 높을수록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항목에서 ‘중졸 이하’와 ‘고졸’ 출신이 각각 11.0%와 7.1%가 사회적 차별을 받았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데 비해 ‘중·상위권’과 ‘상위권 대학 출신’은 각각 4.4%와 1.8%에 불과했다.

김 교수는 "과도한 고학력·학벌 추구 성향은 마냥 '허세'로만 치부할 수 없다"며 "과열 입시경쟁을 해소하려면 사회구조적으로 경직된 대학간 서열 문화를 완화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논문은 이달 17일 서울대에서 열리는 경제학 공동학술대회에서 발표된 뒤 '경제학연구' 3월호에 발표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