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교육회의 '국가교육과정, 시스템으로 혁신하다' 포럼

(사진=국가교육회의 유튜브 캡처)
(사진=국가교육회의 유튜브 캡처)

[에듀인뉴스=지성배 기자] 국가교육회의가 학습자 삶 중심의 교육체제 전환을 꾀하고 있는 가운데, 학습자 삶에 기반한 교육과정 개념 정의부터 시작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또 교육과정 재구성 권한은 문서상으로만 주어져 있어 교사에게 실질적 재구성 권한이 필요함이 제기됐다.

국가교육회의는 17일 ‘국가교육과정, 시스템으로 혁신하다’ 포럼을 열고 ‘학습자를 위한 국가교육과정 혁신은 무엇인지 현장 교사 및 교육청 관계자들의 생각을 듣는 시간을 마련했다.

최지윤 전라북도교육청 장학관은 학습자 삶에 기반한 교육과정이란 무엇인지 개념 정의가 우선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사진=국가교육회의 유튜브 캡처)
최지윤 전라북도교육청 장학관은 학습자 삶에 기반한 교육과정이란 무엇인지 개념 정의가 우선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사진=국가교육회의 유튜브 캡처)

학습자 삶에 기반한 교육과정=개인 특성 맞게 목표, 내용, 속도 맞게 교육과정 편성, 운영 평가하는 것


최지윤 전라북도교육청 장학관은 “우선 학습자 삶에 기반한 교육과정이란 무엇인지 개념 정리가 필요하다”며 “학습자 개인의 특성에 맞게 목표, 내용, 속도에 맞게 교육과정을 편성, 운영하고 평가해준다는 뜻이다. 학생 모두에게 의미 있는 학습 기회 제공, 실질적인 교육평등 완성하는 의미”라고 풀이했다.

즉 국가교육과정이 평균적인 수준의 학생을 대상으로 학습목표, 내용(교과서), 속도(진도), 평가(정답)을 요구하는 것과는 대조적이 되어야 한다는 것.

이어 “모두에게 의미 있는 배움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국가에서 권한을 부여한 전문가가 교육과정을 결정하고 평가하는 것이 아니다”라며 “학습자의 구체적인 삶의 맥락 속에서 학교가, 교사가, 학생이 직접 교육과정을 만들고 운영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말해 학교(교사)의 교육과정 편성 운영 자율권을 확대하고 지원하는 시스템으로의 전환을 요구했다.

그러면서도 “아래로부터의 교육과정 편성권이 절대적 대안이라고 말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단위 학교를 중심으로 교사의 민주적, 전문적 참여를 보장하면서 참여자의 범위를 확대해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황현정 경기도교육청 장학사는 학습자 삶 중심 교육과정 개편을 위해서는 행정기관의 명령 도달 종착지로 역할한 학교를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사진=국가교육회의 유튜브 캡처)
황현정 경기도교육청 장학사는 학습자 삶 중심 교육과정 개편을 위해서는 행정기관의 명령 도달 종착지로 역할한 학교를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사진=국가교육회의 유튜브 캡처)

학교, 시도교육청, 교육부가 협력체로 작동하는 것이 국가교육과정 시스템 혁신의 선제 조건


황현정 경기도교육청 장학사는 “학습자를 위한 국가 교육과정 시스템 혁신이란 학생을 둘러싼 동심원 확대 방향으로 학교, 시도교육청, 중앙이 교육과정 중심 체제로 전환되는 것을 의미 한다”며 “학교가, 시도교육청이, 교육부가 학습자를 위한 교육과정 체제로 전환되는 것이 국가교육과정 시스템 혁신”이라고 정의했다.

이어 “학교 교육과정은 학습자가 성장하고 배움을 일구는 학교에서의 삶의 경로 일체를 의미하는 것”이라며 “이제까지 학교는 행정기관의 명령 도달 종착지로 역할을 해 왔다. 이 것이 혁신의 대상”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학교, 시도교육청, 중앙이 교육과정 권한을 나누는 분권의 개념보다 총체적 작동을 지원하는 개념으로 가야 한다”며 “비율의 문제로 논의하는 게 아닌 3자가 협력체로 작동하는 것이 국가교육과정 시스템 혁신의 선제 조건”이라고 강조했다.

국가교육과정 발의에서 평가까지의 과정 투명화와 피드백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송영필 대구시교육청 장학사는 “국가교육과정 발의에서부터 평가에 이르는 일련의 개정 과정을 알 수 없는 것이 국가교육과정 시스템의 문제”라며 “국가교육과정 개정 절차 자체와 개정에 다양한 교육 주체들의 참여가 보장되지 않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발의에서부터 평가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이 실행 연구를 바탕으로 하고 있지 않다”며 “개정 고시하면 원래 취지와 목적에 맞게 구현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피드백을 해야 하는 데 일단 개정 고시하면 관리하지 않는다. 평가가 교육과정 개정 필요 요소에서 배제되고 있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그러면서 “교육과정 개정 과정이 개방되고 공유되어 교육 주체들의 참여가 실질적으로 보장되어야 한다”며 “국가교육과정 체제의 연계성이 강화되고 총론과 각론의 내용을 분명히 해야 한다. 이를 위해 발의에서 고시에 이르는 기간이 충분히 확보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교사들은 학교 현장에서 겪는 교육과정 재구성의 어려움을 토로했다.

문지연 서울 도선고 교사는 국가는 교육과정의 큰 틀을 제시하고 지역과 학교가 필요에 따라 교육과정을 재구성 할 수 있어야 학습자의 삶과 더 밀착한 교육과정 설계 및 운영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사진=국가교육회의 유튜브 캡처)
문지연 서울 도선고 교사는 국가는 교육과정의 큰 틀을 제시하고 지역과 학교가 필요에 따라 교육과정을 재구성 할 수 있어야 학습자의 삶과 더 밀착한 교육과정 설계 및 운영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사진=국가교육회의 유튜브 캡처)

교과 중심 분절적 교육과정이 문제...계획과 실제 다르게 운영, 교육과정 개발 포기하기도


문지연 서울도선고 교사는 “지역활동가들과 함께 마을 교육과정을 구성해 한 학기동안 운영해보니 시간표를 재구성하는 등 기술적인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많은 시간을 들였던 기억이 난다”며 “교과 중심의 분절적 교육과정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빡빡하게 짜인 시간표, 교과별 시수, 수업일수 등이 학습자의 삶과 필요를 바탕으로 한 새로운 시도를 위해 장애물로 작동한다는 것.

이어 “국가교육과정 경직된 틀이 학교와 학생들의 다양한 요구에 맞는 교육활동을 포괄할 수 없기 때문”이라며 “국가는 큰 틀을 제시하고, 지역과 학교가 필요에 따라 교육과정을 설계 운영할 수 있어야 학습자의 삶과 더 밀착한 교육과정 설계 운영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 “학교와 교사에게 더 많은 자율권이 주어질 때 창의적이고 다양한 교육과정 구성이 가능하다”며 “학생의 삶과 지역 특성을 살려 함께 만들어가는 교육과정과 실천의 과정 속에서 학교와 교사의 책무성도 강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유성열 세종 도담초 교사는 “국가교육과정 시스템은 여전히 교사가 재구성하거나 개발한 교육과정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며 “교사들은 계획과 실제를 다르게 운영하기도 하며 때로는 교육과정 개발을 포기하는 모습이 많이 나타난다”고 현실을 알렸다.

구체적으로 현장에서 코로나19로 애쓰는 분들에게 감사함을 표현하는 마음을 담아 편지나 포스터, 캠페인 영상을 만들어 공유했지만 국가교육과정 편제상 이러한 활동을 어느 교과로 구분할 수 있냐는 것.

그는 “교육과정 분권화는 학교 현장에서 학생의 삶이 담긴 교육과정이 개발되고 실행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며 “이러한 목적이 실현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춘 국가교육과정을 개발, 교육과정 안에 학생의 삶이 담길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