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득구 의원 “학교 넘어 마을교육공동체로 전환해야”

[에듀인뉴스=한치원 기자] 수십년 동안 창의적 체험활동의 중심 역할을 해온 청소년단체 활동이 담당교사의 업무부담 가중, 교육청마다 제각각인 승진가산점 등으로 교사들의 기피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강득구 의원(경기 안양만안)이 15일 서울/경기/인천/광주/대구 등 9개 지역교육청으로부터 받은 '청소년단체 담당교사 승진가산점 현황' 자료에 따르면, 각 지역 교육청별로 청소년단체 담당교사 승진가산점이 제각각인 것으로 확인됐다.

승진가산점 운영 현황을 살펴보면, 서울교육청/경기교육청의 경우 월 0.006점, 인천교육청은 년 0.06점, 울산교육청은 월 0.003점, 대구교육청은 월 0.002점, 경북교육청은 월 0.0001점 등인 반면 광주교육청, 강원교육청, 충북교육청 등은 가산점 자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자료=강득구 의원실)

교육청별로 12~17개에 달하는 청소년단체는 중앙연맹의 기본 원칙을 따르되, 학년 초에 학교별로 학생단원을 모집하고 일 년 계획을 학교의 담당교사가 작성하여 필요 예산을 수요자부담의 원칙으로 학생과 학부모가 부담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각 학교들은 해마다 학년 초 담당교사를 선정하는데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업무 외 시간인 주말에 학생들과 체험활동을 가거나 캠핑과 같은 야외 활동을 해야 하고 안전의 문제까지 온전히 떠맡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담당교사 선정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각 교육청 별로 담당교사들에게 가산점을 주는 궁여지책을 쓰고 있는 실정이다. 

개별 학생들도 불많이 높다. 반복적 활동 진행으로 어쩔 수 없이 3년 동안 활동을 하기 때문이다.

외국의 경우 거의 모든 스카우트 활동은 지역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마을과 연결고리를 가지며 활동하는 경우가 많다. 

강득구 의원은 “특별한 체험 활동이 없었던 시절에 학교마다 있었던 청소년 단체들은 학생들에게 로망이었다. 상황이 많이 달라진 지금까지 같은 규정과 방식으로 청소년단체를 운영하고 교사들에게 과중한 업무를 떠넘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면서 “혁신교육지구와 같은 마을교육공동체로 청소년단체 활동을 확장하는 것이 중장기적으로 더 바람직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