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혁신적 포용국가 실현 방안’ 교육 분야 보고서에서 주장
서울·경인 76개 대학입학처장협의회도 유사 제안...평가원서 출제, 채점은 대학 

[에듀인뉴스=한치원 기자] 역량 기반 학교교육 정책과 연계되는 대학입시제도 구현을 위해 수능시험에 서술형·논술형을 신설, 수능시험을Ⅰ·Ⅱ로 이원화 하자는 주장이 한국교육개발원에서 나와 주목된다.

교육계에서 그동안 주장됐던 수능 폐지 또는 자격고사 전환이 아닌 입시 공정성을 위해 수능의 필요성을 인정하고, 이원화를 통해 수능 영향력을 높이자는 주장이어서 눈길을 끈다. 

국무총리실 산하 경제인문사회연구회가 최근 발간한 ‘혁신적 포용국가 실현 방안’ 교육 분야(김태준 한국교육개발원 선임연구위원 외) 보고서는 수능시험을 학생들이 기본적으로 치르는 수능Ⅰ(선택형 단답형)과 고차원 사고능력을 평가하는 수능Ⅱ(서술형 논술형)로 이원화하는 방안을 정책 제안했다. 

보고서는 입시에서 신뢰성과 공정성을 중시하는 국민 정서를 고려할 때 앞으로 수능의 비중은 더 커질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따라 현행 선택형 수능의 단점을 보완하는 서·논술형 수능 도입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연구진은 “단답형 지필평가가 객관적이라는 장점에 기대 현행 수능중심 체제를 고수한다면 미래 사회에 필요하지 않은 역량을 기르는데 사회‧개인적 자원을 소모하는 상황이 지속될 것”이라면서 “현재 중간・기말고사 성적을 중심으로 평정하는 학생부 교과 성적만으로 역량을 파악하는 것도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학생부 중심전형 및 학생부 종합전형으로도 사고력과 역량을 평가할 수 있지만 객관적이고 투명한 평가체제가 중요하다”면서 수능Ⅱ 필요성을 강조했다.

앞서 지난 2018년 김현 서울·경인지역 입학처장협의회장(경희대 입학처장)도 교육부 주최 '대입제도 개편안 마련을 위한 대입정책 포럼' 발제자로 나서 이와 유사한 주장을 한 바 있다. 이 제안은 서울·경인지역 76개 대학 입학처장협의회 내부 논의를 거쳐 발표됐다. 

김 회장은 "미래사회 변화에 대비해 대학별 논술고사 대신 국가 단위 논술·서술형 수능(수능II)을 도입해야 한다"며 "채점은 법학적성시험(LEET)과 같이 대학이 직접 담당하면 된다"고 밝혔다. 

논술형 수능에 대한 사교육 시장 팽창 우려에 대해서는 ”초중고에서 논술형(IB:International Baccalaureate) 교육과정이 확대되면 공교육에서 대비가 가능하기 때문에 사교육 문제는 해소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그는 수능 일부과목 절대평가에 대해서는 "상대평가와 절대평가가 혼용돼 점수 왜곡 현상 등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수험생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며 반대했다. 이는 수능Ⅰ을 유지하자는 보고서 제안과 같은 맥락으로 풀이된다. 

보고서 역시 수능Ⅰ·Ⅱ는 모두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문항을 출제하되 채점은 수능Ⅰ은 지금처럼 평가원에서 맡고 수능Ⅱ는 학생이 지원한 해당 대학에서 채점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연구진은 “서술형, 논술형으로 수능Ⅱ를 실시한다면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등에서 공통 서술, 논술 문항을 제시해 시험을 시행한 후 대학별 채점을 하는 방법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렇게 하면 대학의 학생 선발 자율권도 보장하고 평가원은 채점 부담을 덜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한편 교육부는 2028학년도 대입제도 개선 연구에 착수했다. 2022 개정 교육과정 시행과 고교학점제 실시에 맞춰 새로운 방식의 대입제도를 선보일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