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듀인뉴스] 중국, 가까운 듯하면서 이질감이 드는 곳이다. G2로 미국과 견주고 있는 중국이지만 한국 사람들은 여전히 중국을 비웃는다. 우리가 잘못 알고 있는 부분은 없을까. 지리상으로 가까워 문화적으로도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다는 중국. <에듀인뉴스>는 김현진 중국 대련한국국제학교 교사를 통해 중국의 도시에 살아가면서 느낀 문화 그리고 역사적 배경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현지에서 중국을 접하고 알아가는 우리의 이야기로 인해 중국의 현재 모습을 들여다보고 이를 통해 과거에 대한 이해와 미래를 예측해보는 작은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 알다가도 모를 중국!

김현진 중국 대련한국국제학교 교사
김현진 중국 대련한국국제학교 교사

"북한이 보인다"...신의주 건너편 단둥


코로나19 전염병으로 중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가 아우성이다. 코로나 블루라고 했던가? 올해는 주말 뿐 아니라 연휴를 이렇게 집에서 보내는 경우가 많다. 그러다 보니 사람들의 마음이 조금은 무겁고 작은 일에도 예민해 지는 경우가 있다.

코로나의 본거지인 중국은 다른 나라에 비해 안정세를 이루고 있으며 시진핑 주석이 대외적으로 코로나 사태 종식을 선언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염병의 특징상 사람들의 마음은 조심스럽다.

중국 특징상 확진자가 1명이라도 발생하면 그 지역을 봉쇄하고 통제하며 전 시민을 대상으로 핵산검사를 여러 번 실시한다. 다른 지역으로 이동할 때는 그 지역에서 요구하는 방역조치를 따르면 된다. 근래는 다소 안정세를 이루어 핵산검사를 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해당지역의 건강코드를 스캔하면 된다.

단둥행 고속열차.(사진=김현진 교사)
단둥행 고속열차.(사진=김현진 교사)

단둥은 요녕성 안에 있고 다롄에서 고속열차로 2시간 거리이기에 당일치기로 다녀오기가 쉽다.

단둥은 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성(辽宁省)에 있는 도시로, 압록강 가에 있으며 강 건너 북한 신의주시와 국경을 접하는 국경도시이기도 하다.

압록강에서 유람선을 타고 강 건너 북한 땅에 최대한 가까이 가볼 수 있다. 백두산과 함께 북한을 가까이서 접할 수 있는 곳이기에 한국 관광객들이 많이 오는 곳이다.

신의주가 바라 보이는 철교.(사진=김현진 교사)
신의주가 바라 보이는 철교.(사진=김현진 교사)

고구려 미천왕이 낙랑군과 중국 본토와의 연결고리가 되는 서안평을 공략하여 함락시켰는데, 이 서안평이 현대의 단둥시로 추정된다.

원래 작은 마을이었으나 1907년 개항장이 되었고, 3년 후 일본의 대륙진출 문호로서 발전하였다. 옛 이름은 안둥(安東)으로 경상북도 안동시와 한자, 로마자 표기(Andong)가 같다.

그런데 ‘동방을 편안하게 하다’라는 ‘安東’의 뜻이 제국주의를 형상화한다는 이유로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인 1965년 安을 공산주의를 상징하는 색인 붉을 단(丹)자로 바꾸어 개명하였다.

단둥은 북한과 중국을 연결하는 중요한 거점이다. 북한 주민들도 무역 등을 위해 이곳을 수시로 드나들기 때문에 북중 관계가 경색됐을 경우 압록강을 건너는 차량통행이 줄어드는 등의 영향을 받느다.

거기서 오고가는 상품, 물자의 종류를 보고 북한의 현재 경제흐름이 어떤지 알 수 있는 지역으로도 손꼽힌다.

그래서 이 지역엔 한국의 북한 전문가들이 항상 드나들며 교역물자들 종류와 거래량을 체크한다.

북한 장마당 내 상품들도 단둥을 거쳐서 수입되는 경우가 많으며, 북한주민들이 단둥에 머무르면서 남한 문물을 접하거나 남한 관광객들과 접촉하는 경우도 있다.

당연히 남북관계가 좋으면 단둥시도 큰 혜택을 보곤 한다. 2018년에 남북관계가 개선됨에 따라 남북정상회담과 북미정상회담이 잇따라 열리자 단둥 지역 부동산 값도 많이 올랐다고 한다.

동북 3성(랴오닝, 지린, 헤이룽장) 지역이 여행유의인 이유가 치안이 아닌 북한으로 납치될 위험성 때문이다. 납북 가능성을 제외하면 치안 걱정할 일은 없다.

단둥역 전경.(사진=김현진 교사)
단둥역 전경.(사진=김현진 교사)

단둥역과 압록강 단교


당일치기 일정이라 아침에 서둘러 출발을 해야 한다. 7시 30분 기차 출발 시간이라 한 시간 전쯤 도착해야지만 연휴가 낀 주말이 아니기에 보통 때 보다는 여유 있게 6시 10분쯤 진저우(金州)역으로 향하였다.

보통은 이곳에서 기차를 타게 될 때 1시간 거리의 다롄역이나 다롄북 역으로 가는 경우가 많은데 비교적 가까운 곳에 역이 있다는 것을 근래에 알고 이번에는 이곳을 이용하게 되었다.

주택가에 위치하고 있는 金州站은 공항과 흡사한 중국의 역 모습과는 다르게 외관적인 모습이 동네의 큰 성당 같은 모습이었다.

휴일 아침 일찍이라 사람들도 붐비지 않아 편하게 스마트 폰으로 예약한 티켓을 수령할 수 있었다. 중국에서 기차를 탈 때에 외국인은 실물표를 수령해서 소지해야 한다.

그런데 기차표를 예매하다 여권번호를 잘못 입력한 것 같다. 그래서 창구에서 기차표를 발행해주는 역무원이 번호가 잘못되었다고 이야기를 한다. 어째저째 설명을 하다 보니 바로 수정을 해주어서 발급을 해주었다.

사람들로 붐비는 상황에 또 다른 역무원이었다면 이런 경우에 다시 옆 창구에 줄을 서서 취소를 하고 다소 떨어진 곳에 표를 다시 끊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진저우역은 다른 역과는 다르게 작아서 편의시설이 많지가 않다. 드디어 기차 출발 시간이 다가온다. 코로나로 인해 중국에서는 1년 만에 다른 곳을 가본다. 아침 공기와 함께 나도 모르게 설렘을 느낀다.

중국에 처음 올 때부터 북한과 접경지역에 대한 궁금증이 많았다. 잘못해서 북한 사람들이 납북을 해가는 경우도 있다고 들어 무섭기도 하면서도 북한 땅을 가깝게 볼 수 있다는 점이 매력적이었다.

철책이나 군인들로 즐비한 강화나 휴전선 인근에서 바라보는 북한의 모습이 아닌 사람 사는 모습이 보이는 북한의 모습을 보고 싶었다.

아침 일찍 일어나 다소 피곤하기도 하고 열차에선 자려고 하였으나 옆에 있는 중국인 할머니께서 손자의 재롱을 보고 계셔서 잠을 자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어느덧 2시간이 흘렀고 단둥역에 도착할 수 있었다. 단둥역에 내리니 중국의 도시와는 다른 접경 지역임을 알 수 있는 한글들이 많이 보인다.

중국의 소수민족이 살고 있는 자치구 지역들에는 한자와 함께 민족어들을 병기하는 경우가 많다. 근래 내몽고지역이나 조선족이 사는 연길 지역에는 통일교과서를 통해 민족어보다는 중국어를 가르치게 하여 자치구 주민들에게 반감을 사고 있다.

개찰구를 통과할 때는 중국인들은 신분증을 스캔하여 통과할 수 있지만 외국인은 역무원이 있는 개찰구로 가서 여권과 함께 열차표를 보여줘야 들어가고 나올 수 있다.

역 밖으로 나와서 생각을 해보니 이곳에서 기차를 다시 타야하기에 미리 표를 받아 놓는 게 좋을 듯하다.

근데 또 다시 잘못된 여권번호로 인해 기차표를 받지 못할 상황이다. 진저우역의 친절한 승무원과는 다르게 원칙주의자인 듯한 단둥역 역무원은 취소창구로 가서 취소를 한 후 다시 티켓을 끊으라고 한다.

어쩔 수 없이 그 과정을 거쳤더니 자리가 바뀌었다. 그래도 역에 사람이 많지 않아서 금방 해결할 수 있으니 다행이라는 생각이 든다.

단둥역 앞 마오쩌둥 동상.(사진=김현진 교사)
단둥역 앞 마오쩌둥 동상.(사진=김현진 교사)

단둥역 광장에는 다른 도시에서는 볼 수 없는 거대한 마오쩌둥 동상이 서 있다. 중국 사람들은 신중국 건국에 영향을 끼친 마오쩌둥을 쑨원과 함께 국부로 모실 정도이다.

문화대혁명 과정에서 문화재와 주요 시설들이 파괴되고 많은 사람이 죽어 마오쩌둥에 대한 책임론이 나왔지만 덩샤오핑이 ‘마오쩌둥은 공이 과보다는 많다’라는 논리로 정리하여 논쟁을 마무리 지었다.

하지만 문화대혁명으로 인해 중국의 발전이 더뎠던 것은 분명한 일이다.

단둥역에서 나와 오른쪽으로 10~15분여 걸어가면 압록강 단교가 나온다. 그 중간에 고려거리가 있고 상점들이 있어 들러 보아도 괜찮을 것 같다.

사진으로만 보고 말로만 듣던 그곳을 와봤다는 것이 믿기지가 않는다. 압록강 철교와 단교 그리고 강 건너 북한의 신의주를 처음 보는 순간 신기하기도 하고 믿기지도 않고 말할 수 없는 이상한 느낌들이 들었다.

바로 휴대폰을 꺼내 사진을 찍었다. 모두들 한마디씩 감탄을 한다. 누구라 할 것 없이 이 광경을 놓칠 수 없다는 듯이 연신 사진을 찍고 찍어 주기에 바빴다.

정신없이 사진을 찍으며 주변 지역을 눈에 담았다. 말로만 듣던 압록강과 북한 땅이 눈앞에 펼쳐져 있다는 것이 신기하기만 하다.

압록강 철교는 최초에는 일본이 세운 다리였다. 6.25 전쟁 시 중공군의 참전을 저지하기 위해 미군이 폭격을 하여 북한 쪽 다리가 끊어지고 중국 쪽 다리만 절반 남아 있어 압록강 단교라 부른다.

압록강 단교 모습.(사진=김현진 교사)
압록강 단교 모습.(사진=김현진 교사)

중국은 압록강에 단교와 여러 조형물을 설치하여 국가 중점 관광구로 개발하여 관광 수입을 올리고 있다. 그 바로 옆에는 복선형 압록강 철교가 있는데 북한과 중국의 합의로 이름을 중조우의교로 바꾸어 부르고 있다.

이 다리는 중국과 북한의 교역을 위한 화물 트럭이 간간이 다니고, 평양과 베이징을 연결하는 국제열차가 하루에 한 번씩 다닌다고 한다. 하지만 우리는 아쉽게도 사람이나 차량은 전혀 볼 수 없었다. 입장권을 끊고 단교를 올라가 보았다.

한국 사람에게도 신기하고 의미 있는 장소이지만 중국 사람들로도 붐비는 것을 보면 꽤 의미 있는 장소인 것 같다.

1949년 10월 1일 중국 공산당은 국민당을 타이완으로 몰아내고 중화인민공화국을 건국하였다. 중국은 청나라 말기부터 여러 열강들의 침입과 간섭을 받다가 일본의 침략으로 중일 전쟁을 치러야 했고 오랫동안 국민당과의 국공내전으로 인해 국가적으로 안정이 필요한 때 였다.

국민당을 타이완으로 쫒아 냈긴 했지만 본토에 남은 국민당 잔당세력, 그리고 샤먼만(廈門灣, 하문만) 입구를 바라보는 진먼섬(金門島, 금문도)과의 꾸준한 포격전이 있었다.

1950년 6.25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공산당 내에서도 참전에 대한 찬반대 의견들이 많았지만 미국과 한국의 자유 민주주의 세력을 국경에서 직접 맞댈 수밖에 없는 상황들이 생기기에 마오쩌둥은 건국에 헌신했던 주더 장군과 함께 아들을 포함하여 많은 수의 군대를 보내어 참전할 수 밖에 없었다.

중국 사람들이 6.25 전쟁을 바라보는 시각은 우리와 다르다. 항미원조(抗美援朝)라고 하여 중국이 미국에 대항하여 혈맹인 조선을 지원하여 싸운 전쟁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중국이 참전하게 된 지역인 단둥과 단교는 중국으로서는 의미 있는 지역이며 건축물인 셈이다.

압록강 단교 비석에 새겨진 한자는 대충 6.25 전쟁 때 유엔군에 의해 폭파되었다는 이야기이다. 그리고 단교와 관련된 다양한 영상 자료들을 볼 수 있도록 해놓았다. 저 멀리 보이는 곳이 북한땅 신의주라는 것이 믿기지가 않는다. 이렇게 가까운데 말이야.

단교를 둘러 본 후 압록강변을 볼 수 있는 유람선을 타기 위하여 선착장으로 이동을 하였다. 시간에 따라 가격이 정해져 있었는데 20~30분 정도 걸리는 유람선을 타기로 하였다.

유람선을 타면 강건너 단둥에서 바라보는 것보다 더 가까이서 북한을 볼 수 있다. 뭐라도 좀 보고 싶었는데 전혀 사람의 움직임을 볼 수가 없었다.

가까운 곳에서 우리 땅인 북한을 바라보았다는 것으로 만족하기로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