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면 수업의 학생 개인화 교육, 어떻게 이루어질까

[에듀인뉴스] 2020년, 코로나19를 만난 인류는 삶의 방식을 바꾸기 시작했다. 많은 영역에서 비대면이 강조되면서 접촉은 금기시되다시피 했다. 학교 역시 교문이 닫히면서 수업 방식의 온라인화에 따라 온라인에 적합한 교수법과 수업 자료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정부가 온라인 학습 격차를 줄이겠다며 태블릿 등 정보화 기기 보급에 나서면서 디지털교과서의 활용 가능성에 무게가 더해졌다. 또 학습공유플랫폼 ‘위두랑’이 전면에 등장하며 교사들의 원격 수업을 돕기 시작했다. <에듀인뉴스>는 위두랑을 운영하고 디지털교과서 정책을 다루며 현장을 지원하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과 함께 지난 한해 디지털교과서가 현장에서 어떻게 활용되었는지 알아보는 시간을 마련, 2021학년도 수업 준비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김원준 전북 지평선중학교 교사
김원준 전북 지평선중학교 교사

‘코로나19’라는 전 세계적 전염병은 우리나라의 사회와 경제뿐만 아니라 교육계에도 많은 변화의 움직임을 요구하고 있다.

‘코로나19’로 학기의 대부분을 부분등교 해야 했고, 그로인한 학생들의 교육 참여 방법에 많은 관심이 쏠렸다.

많은 학교가 비대면 원격교육을 실시하였지만 대면교육에 비해 교육의 질과 학생의 참여도가 떨어진다는 질타를 받기도 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의 비대면 원격교육을 위한 플랫폼과 교육 콘텐츠 개발을 통해 원격교육의 질을 높여야한다는 필요성도 대두되었다.

지평선중학교 역시 비대면교육의 일환으로 거꾸로 교육을 실시하였다. 거꾸로 교육은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의 또 다른 이름이다.

기존 전통적인 수업 방식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수업에 앞서 학생들이 교사가 제공한 교육 영상을 미리 학습하고, 교실에서는 토론이나 과제 풀이를 진행하는 형태의 수업 방식이다.

1학년 거꾸로 학습을 위한 교육영상(영어).(사진=김원준 교사)
1학년 거꾸로 학습을 위한 교육영상(영어).(사진=김원준 교사)

거꾸로학습을 위한 교육 영상의 장점은 교사가 자신의 수업을 위한 교육계획을 통해 학생들에게 적합한 교육영상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또한, 학생들은 자신이 시청한 영상이 추후 수업에 어떻게 쓰일지 알고 있으므로 적극적으로 영상을 시청하며 학습할 수 있다.

하지만 거꾸로교육 영상 역시 교사와 학생들이 쌍방향적으로 소통하며 학습에 참여할 수 없다는 것과 거꾸로교육의 영상은 교실에서 교사와 함께하는 활동을 위한 영상이라는 점에서 비대면교육의 방법으로는 한계가 있다.


지평선중학교 영어과의 디지털교과서 활용 비대면 원격교육 소개합니다


학생들과 실시간으로 소통하며 학생들을 학습에 참여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지평선중학교 영어과에서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하여 실시한 비대면 원격교육에 관하여 이야기해보겠다.

실시간 학습을 위한 플랫폼은 ZOOM을 사용하였다.(디지털교과서 이외에 Padlet, 2dub, Metaverse, 위두랑, 유투브 거꾸로 영상 같은 추가적인 학습도구를 같이 사용하였지만 이번에는 디지털교과서의 내용만을 다루겠다.)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실시간 학습방법의 장점은 학생들에게 개인화된 교육(Personalized Learning)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영어는 크게 듣기, 쓰기, 말하기, 읽기의 네 영역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듣기, 쓰기, 말하기는 기존의 거꾸로 영상으로는 학생의 참여를 유도하기 힘든 영역이었다.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하여 학생 개개인에게 학생의 수준에 맞는 개인화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수준에 맞게 만들어진 학습지가 필요하다.

디지털교과서 듣기 영역 학습화면.(사진=김원준 교사)
디지털교과서 듣기 영역 학습화면.(사진=김원준 교사)

디지털교과서의 듣기 학습 장점은?


디지털교과서에는 학생들이 듣기활동을 할 수 있도록 듣기 파일이 수록되어있다.

기존의 서책수업에서는 교사가 듣기파일을 재생하고 학생이 빈칸의 내용을 들으며 채워 넣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디지털교과서를 통해 학생들은 자신의 학습속도에 맞게 듣기파일을 재생하고 들으며 학습지를 채워나갈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듣기파일 뿐만 아니라 화자들이 대화를 할 때 발생하는 문맥을 동영상을 통해 볼 수 있다.

언어학습에서 문맥은 학습자의 언어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비언어적 요소를 제공함으로써 상황을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요소이다.

디지털교과서 쓰기 학습화면.(사진=김원준 교사)
디지털교과서 쓰기 학습화면.(사진=김원준 교사)

실력차 드러나는 '쓰기', 디지털교과서 활용하면?


쓰기 영역은 학생들의 수준차이에 따라 결과물이 현저하게 다르기 때문에 Basic·Intermediate Level의 학생에게는 교사의 지시사항에 따라 글을 쓸 수 있도록 하는 Controlled Writing(제한적 글쓰기)을 통해 글을 쓰게 하고, Advanced Level의 학생에게는 자신의 의도에 따라 글을 쓸 수 있게 학습지를 제공한다.

영어 글쓰기를 위해 교사는 학생들에게 Model Writing을 제공하여 학생들에게 글쓰기의 목표와 함께 어떻게 글을 써야하는지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해야 한다.

디지털 교과서는 교과 내용에 맞는 쓰기 내용을 예시로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이자신의 수준에 맞는 학습지를 풀 수 있도록 기본적인 글쓰기 Model을 제공한다.


학생의 소통 수단이 바뀐다, 교사의 교육 활동 플랫폼도 바뀌어야 한다


최근 많은 뉴스에는 ‘위기를 기회로’라는 타이틀로 등교수업과 원격수업을 병행한 교육계가 비대면시기 미래교육의 발전을 위해 전문성을 신장시키고 학교와 학생의 자율성을 높여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2020년 학교는 많은 경험을 했다. 원격교육을 위해 학생들은 웹캠과 같은 기본 자제를 구입해야했으며 새로운 형태의 수업을 통해 지식을 쌓아야 했다. 더불어 교사들은 새로운 플랫폼에서 교육 컨텐츠를 만들며 학생들의 학습 참여와 질 높은 교육제공을 위해 노력했다.

하지만 ‘어떠한 방식과 형태로 학생들을 비대면 원격교육에 참여시키게 할 것인가?’에 대한 교사들의 고민도 필요한 시점이다.

학생들은 유튜브와 같은 다양한 시·청각 자료를 통해 정보를 받아들이며 사회와 소통하고 있다. 우리 교사들도 과거 서책과 같은 텍스트에서 벗어나 다양한 활동과 교육 플랫폼을 통해 학생들과 소통해야할 시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