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듀인뉴스] 우리 사회에 화두로 등장한 제4차 산업혁명은 사회경제적, 기술적, 교육적 측면에서 급속한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우리는 전반적인 교육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장애아동을 다시 돌아봐야 한다. 장애 여부와 상관없이 모든 아동이 존중받고 차별 없는 양질의 교육을 누리도록 구체적으로 논의해야 할 시점이다. <에듀인뉴스>는 최지은(신한대 특수교육전공 박사과정) 필자를 통해 장애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얻고 4차 산업혁명과 함께 다가올 교육 현장의 변화와 특수교육의 방향성 등에 대한 이야기를 꺼내고자 한다.

(이미지=https://blog.naver.com/faith7191/222124683100)
(이미지=https://blog.naver.com/faith7191/222124683100)

매년 10월 17일은 UN에서 제정한 ‘세계 빈곤퇴치의 날(International Day for the Eradication of Poverty)’이다.

이 날은 세계의 빈곤과 기아를 퇴치하고, 인권 신장을 도모하기 위해 생겨난 세계 기념일이다.

빈곤 퇴치 전략은 교육권의 실현에 주의를 기울이고 빈곤 계층이 교육에 대한 접근 개선의 이익을 누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하지만 아직까지 전 세계 약 124만 명의 어린이들은 학교에 다니지 못하고 있으며 장애아동과 같은 취약계층 아동을 비롯한 가난한 지역에 거주하는 어린이들은 특히 교육으로의 접근이 매우 어렵다.

특히, 장애와 빈곤이라는 이중위험의 상황에 놓인 저소득층 장애아동 및 가족은 교육, 재활 기회 그리고 아동의 교육에 부모가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여력이 제한되는 등 다양한 측면에서 어려움을 경험하게 된다.

저소득층 가정의 장애 유아의 경우 언어, 사회성 및 신체 발달을 위해 요구되는 놀잇감 또는 교육, 보건의료, 돌봄 서비스 등 사회서비스로의 접근제한으로 인하여 발달 지연을 경험하게 되며 이는 생애 전반에 걸쳐 지속될 위험을 높인다. 뿐만 아니라 빈곤 밀집 지역 내에 위치한 학교의 경우 장애 청소년에 대한 충분한 교육 경험을 제공하지 않으며, 자기 주도적인 교육 참여기회 역시 더 제한적이다.

이러한 어려움 해소를 지원하기 위한 일환으로 저소득층 가정을 위해 이미 시행되고 있는 다양한 제도는 이 가정들에게 직접적인 혜택을 주고 있으나 신청과정, 수급 대상 선정기준 등에 있어서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장애아를 둔 저소득층 가정이 필요한 도움을 충분히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장애아를 둔 저소득층 가정에게 방문 지원, 교구 지원, 방과 후 및 일시보호 지원, 부모교육 및 부모 모임 지원, 형제자매 지원 등 실질적이고 다양한 도움이 필요하다.

또한, 장애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이 무관심이나 외면으로 일관되고 있음을 지적하면서 실제적으로 장애인의 삶의 질이 증진되기 위해서는 제도적인 지원체계 뿐 아니라 장애에 대한 사회 전반적인 이해가 증진되어야 한다.

한편, 해외에서는 장애, 빈곤 문제의 가중된 위험에 노출된 중도장애인들의 일상생활, 교육, 사회적 활동 참여 등과 같은 삶의 다양한 측면에 대한 사회 인식개선을 위하여 미디어 활용, 옹호 활동 확대, 법제도 안건 상정, 장애와 빈곤 각각 영역에서의 연구결과 상호학습하기 등의 구체적인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는 그들을 위한 구체적인 지원 방안이 부족하다.

따라서 빈곤과 장애라는 이중위험에 놓여있는 아동들이 일반 아동들과 동등한 교육권을 향유하기 위해 물리적, 태도적 장애 요인을 제거하고 장애아동 대상의 학업지원 및 취약계층의 문화적 소외 해소 지원, 정보격차 해소 지원 등 다양한 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제도적 변화 및 학교 차원의 변화가 필요하다.

최지은 신한대학교 특수교육전공 박사과정
최지은 신한대학교 특수교육전공 박사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