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듀인뉴스=인터넷뉴스팀 ]

 

謄 寫
*베낄 등(言-17, 2급) 
*베낄 사(宀-15, 5급)

‘원본을 등사하는 작업으로 밤을 새웠다’의 ‘등사’의 뜻이 가물가물하면 한자어 속뜻 인지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謄寫’라 써서 속에 담긴 뜻을 찾아내 보자. 


자는 말을 글로 ‘옮겨 쓰다’(make a copy of; transcribe)는 뜻을 위해서 고안된 것이었으니 ‘말씀 언’(言)이 의미요소로 쓰였다. 그 나머지가 발음요소로 쓰인 것임은 騰(오를 등)도 마찬가지다. 후에 ‘베끼다’(copy; transcribe)는 뜻으로 확대 사용됐다. 

자는 ‘집 면’(宀)이 부수이자 의미요소다. 舃(까치 작)은 발음요소였는데, 시대의 흐름에 따라 음이 크게 달라졌다. ‘(물건을 집안으로) 옮겨놓다’(move to)가 본뜻이다. 후에 ‘글로 적다’(write), ‘베끼다’(copy; transcribe),‘그리다’(draw)는 뜻도 이것으로 나타냈다. 

謄寫 ‘원본에서 베껴[謄=寫] 옮김’을 이른다. 남조(南朝) 때 주흥사(周興嗣)가 쓴 ‘천자문’에 있는 이런 구절도 새겨두자.

 

 

“참됨을 지키면 의지가 가득차고, 사물 좇다 보면 의지가 물러진다.”
 

守眞志滿, 逐物意移

            - ‘千字文’

● 글쓴이: 전광진, 성균관대 명예교수
▶[첨언] 
  한글 전용 표기는
  발음 정보를 주는 장점이 있지만 
  의미 정보를 숨기는 短點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