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전체 과목 모델 개발 어렵다"··· 갈등 예상

학생평가지원포털(www.assess.kice.re.kr)-수행평가과제개발 웹페이지

교육부의 수행평가 확대방침에 대해 학교들이 수행평가의 객관적 기준이 확보되지 않으면 수행평가 확대가 어렵다고 강조하고 나섰다.

이에 대해 교육부는 수행평가 모델을 개발하고는 있지만 과목별 단원 전체를 제시하기는 어렵다는 입장이어서 향후 수행평가 확대를 둘러싼 갈등이 예상된다.

교육부는 최근 ‘학교생활기록 작성 및 관리지침’을 개정해 초중학교의 경우, 중간·기말고사 등 지필평가를 보지 않고 수행평가로만 교과 성적을 매길 수 있도록 했다. 또한 개정지침에서는 고등학교의 경우, 입시 부담 등을 고려해 현행 방식처럼 체육 등 실기 위주 교과에서만 수행평가만으로 성적을 매길 수 있도록 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관계자는 “학교현장에서 1학기 평가계획을 수립한 이후여서 1학기부터 확대하기는 어렵겠지만 향후 2학기에는 학교에 대한 인사권과 재정권을 가진 교육부나 교육청 차원에서 확대방침을 권고(강요)하면 학교에서도 수행평가를 확대하는 방안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현행 수행평가의 영역, 방법, 횟수, 기준, 반영 비율 등은 학교별 학교학업성적관리규정에 의해 결정된다.

많은 학교들이 수행평가 비중을 과목에 따라 적게는 20%에서 많게는 70%까지 두고 있다.국어·영어·수학 등 교과목은 수행평가 비중이 낮지만 음악·미술·체육 등 예체능 과목들은 수행평가를 높은 비중으로 반영하고 있는 추세다.

최근 전면시행된 자유학기제의 수행평가는 서술형평가가 가능하며 통과여부만 표시하게 돼 있고 성적이 고입에 반영되지 않지만 중학교 일반학기나 다른 학교급의 수행평가 결과는 여전히 점수화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러한 가운데 수행평가를 100% 반영하는 과목을 늘리게 되면 수행평가가 내신성적을 좌우하는 비중이 확대됨으로써 학부모들로부터 수행평가의 객관성 논란이 제기될 우려가 높다는 게 학교 현장의 지적이다.

한 교육계 관계자는 “지필평가 점수로 인해 고교나 대학입학에 당락이 좌우됐을 경우와 수행평가 점수로 인해 당락이 좌우됐을 경우, 학부모들은 전자에 대해서는 항의하지 않지만 후자에 대해서는 평가의 공정성, 객관성 문제를 제기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서울 영등포구 한 중학교 교사는 "수행평가 확대가 결과보다 학생 개개인이 활동한 과정 중심의 평가를 강화하기 위한 것이라는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도 분명히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제했다.

이어 이 교사는 “그러나 수행평가 확대와 관련, 학부모들의 항의문제가 학교에 부담으로 작용하는 만큼 우선적으로 수행평가 모델이나 평가기준을 객관화해야 한다는 게 학교 현장의 입장”이라고 강조했다.

동작구의 한 중학교 교감은 “교육부나 교육청 차원에서 모든 과목, 모든 단원에 걸쳐 수행평가의 모델을 제시해 주고 학교에서 그 사례를 응용해서 수행평가를 실시한다면 객관성 담보가 어려운 일은 아닐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교육부에 따르면 지난 해부터 학생평가지원포털(www.assess.kice.re.kr)-수행평가과제개발을 통해 수행평가 모델들을 제시하고 있으며 수행평가 가이드북도 4월 중 배포할 예정이다.
이 사이트에서는 초중고 10개 과목에 걸쳐 250여개 수행평가 모델과 평가기준 등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각 학년별·각 과목별로 평균 5개 정도의 모델밖에 제시가 안 돼 있으며 과정 중심의 구체적인 평가 가이드라인도 제시돼 있지 않아 현장에서 적용하기는 어렵다.

수행평가 가이드북 또한 수행평가 개념과 절차, 도구개발의 절차 등 다분히 이론적인 수준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각 학년별로 모든 과목, 모든 단원에 대해 수행평가 모델을 개발하기는 사실상 어렵다”며 “수행평가 예시나 개발절차 등을 지원하고 평가관련 연수를 확대해 교사들의 학생평가 전문성을 신장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학교 현장에서는 현재와 같은 성적 중심의 입시제도가 개편되지 않는다면 수행평가를 확대하는 것은 학부모-학교 현장의 갈등을 더욱 확대하고 교사의 부담을 늘리는 정책이 될 뿐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