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연 전 평택교육지원청교육장
김기연 전 평택교육지원청교육장

[에듀인뉴스(EduinNews) = 국중길 기자]

차기 윤석열 정부는 취약 계층별 맞춤형 사회안전망의 일환으로 초등전일제학교를 도입한다고 인수위가 밝혔다.

초등학생을 둔 맞벌이 부모의 경우 초등학교 정규수업이 끝나면 아이들을 돌봐 줄 사람이 마땅치 않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현재 도입되어 운영하고 있는 제도가 방과 후 학교초등돌봄교실이다.

방과 후 학교는 정규 수업 후 프로그램대로 미술, 종이접기, 동화구연, 난타, 축구와 농구교실 등을 운영하는데 학교마다 여건이 다르기에 수업 내용이 상이하다.

돌봄교실은 맞벌이 부부를 위한 초등학생의 정규수업 이후 보육기능의 교육복지서비스다.

전술한 초등돌봄교실방과 후 학교의 기능이 교육 수요자인 일반 학부모와 맞벌이 부모의 만족도가 없다 보니 정확히 말해 정책실패 사례 중 하나다실패 원인으로 여러 요인이 있지만 당초 취지와 달리 외면 받는 이유는 프로그램의 질과 보육기능에 불만족스럽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이렇다 보니 맞벌이 부모의 경우 정규수업이 끝난 자녀들을 사교육(학원) 또는 시댁이나 친정 부모님들에게 보육의 도움을 받고 있다국회 입법조사처 자료에 따르면 지난 해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367천원으로 전체 23조원을 지출하였다.

아마 전체 학부모를 대상으로 전수 조사한다면 이보다 훨씬 높게 나올 것이라는 것이 학부모와 교사들의 공동된 견해다.

합계 출산율은 0.84명으로 작년 인구가 첫 자연감소 하였다경단녀(경력단절여성)는 공식 통계조차 알 수가 없다.

초등학생 손자녀의 육아 및 돌봄 때문에 노후 시댁과 친정 부모들의 삶도 만족스럽지 못 하다는 여론 또한 비등하다. 국가가 책임져야 할 교육·복지서비스의 정책 오류가 심각한 수준이다.

학부모 개인의 문제를 넘어 사회문제화 된 초등생의 정규수업 후 여가 시간의 교육과 보육의 문제는 어느 한개 부처만의 정책으로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그래서 차기 윤석열 정부가 맞벌이 부부를 위해 내 놓은 정책이 초등 전일제 학교.

동 제도가 학부모들이 만족하는 정책으로 안착되기 위해서는 범 정부 부처 차원의 정책협조가 전제 되어야 성공할 수 있다는 학부모와 교사들의 여론이자 평가다.

등하교길, 방과 후 누구나 할 것 없이 같이 놀자며 다가오는 친구들, 마음이 쓰이는 상황이면 들여다 봐주는 이웃집, 흐뭇하게 웃어주시는 마을 어르신들, 아이들을 위해 애써 주시는 선생님, 이장님 등 온 마을이 학생들을 돌봐주신다’. 이러한 모습은 과거 우리나라 농촌 및 중·소도시에서 흔히 보았던 풍경이다

요약하면 한 아이를 키우기 위해 온 마을이 필요하다함을 시사한다.

지금은 시대가 바뀌었다상기 기능을 국가 기능에 치환해 보면 아래와 같다교육부는 주무부처로서 보건복지부, 여가부, 고용노동부, 행안부 등 범 부처 차원에서 머리를 맞대고 정교한 정책조율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를테면 알로마더링(Allomothering·‘온 마을이 나선다’)이다.

따라서 동 제도가 성공해 안착된다면 사교육비는 획기적으로 감소할 것이며, 맞벌이 부부 출산율은 자연적으로 점증(漸增)할 것이다학부모가 부담하는 한 해 사교육비 23, 합계 출산율 0.84명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국가 주요정책을 그간 역대 정부가 과소평가하고 정책의 경중과 예산집행의 완급조절에 실패한 대표적 사례다.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 15년 간 집행한 예산이 225조원인데 출산율 0.84명이다. 225조의 50%초등전일제 학교에 배정하여 우리나라 인재 5% 안에 든다는 교사들의 전문가적 원형을 믿고 맡겨 보자.

학교 교육환경에 따라 공교육에 사교육의 보완재 디지털시대의 에듀테크를 접목한 교육과 보육기능의 완결성은 학부모의 신뢰를 얻어 초등전일제학교의 질은 한 단계 업그레이드 되는 전환기를 맞이 할 것이다.

필자는 용의 씨는 고르게 뿌려진다는 가설을 믿는다.

초등전일제학교의 성공은 차기 윤석열 정부의 국정 기조인 공정과 상식에도 부합할 뿐만 아니라 초등학생들의 마음을 잿빛이 아닌 온통 초록빛으로 물들게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