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학년도 학업중단 학생이 전년대비 4,836명 감소했다. 2010학년도부터 6년 연속 감소 추세에 있다.

교육부는 28일 밝힌 자료에 의하면 2015학년도 전체 학업중단 학생은 47,070명으로 전년대비 4,836명 감소했으며 재적학생 대비 0.77%에 해당한다.

학교급별 학업중단 학생 수 현황을 살펴보면, 초등학교는 14,555명(-331명,↓2.2%), 중학교는 9,961명(-1,741명,↓14.9%), 고등학교는 22,554명(-2,764명,↓10.9%)으로 모든 학교급에서 전년대비 학업중단 학생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매년 다수의 학업중단 학생이 있는 중·고등학교에서 각각 10% 이상 감소한 것은 학교현장에서 충동적인 학업중단을 예방하기 위한 노력의 성과로 해석된다.

한편, 부적응 등의 사유(질병, 해외출국 제외)로 인한 학업중단 학생은 24,959명(전체 학업중단 학생의 53%)으로 전년대비 3,543명(↓12%)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학교급 별로 살펴보면 초등학교는 2,733명(-44명,↓1.6%), 중학교는 4,376명(-1,100명,↓20.1%), 고등학교는 17,850명(-2,399명,↓11.8%)로 나타났다.이를 ‘15학년도 재적학생 대비 부적응 사유의 학업중단율로 환산하여 살펴보면, 부적응 사유의 학업중단율은 0.41%로 전년대비 0.04%p 감소하였으며, 학교 급별로는 다음 표의 내용과 같다.

초등학교의 경우, 정규교육 외 진로선택(대안교육 등)을 사유로 학업을 중단한 학생이 1,520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학교 부적응(학업, 대인관계 등)을 사유로 학업을 중단한 학생이 135명으로 그 뒤를 이었다.

이와 달리 중학생과 고등학생은 학교 부적응(학업, 대인관계 등)으로 각각 2,090명, 7,963명이 학업을 중단해 상급학교로 올라갈수록 학교부적응 요인이 학업중단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시도별 부적응 등 사유의 학업중단 학생 현황을 살펴보면 세종을 제외한 16개 시도에서 전년대비 학업중단 학생이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대비 부적응 등 사유로 인한 학업중단 학생 수가 가장 많이 감소한 곳은 울산(↓27%)이며, 전남(↓12%)과 제주(↓19.5%)가 그 뒤를 이었다.

또한 재적학생과 비교하였을 때 부적응 등 사유로 인한 학업중단율이 가장 높은 곳은 강원(0.49%)이며, 가장 낮은 곳은 울산(0.25%)으로 조사됐다.

교육부는 위기학생의 충동적인 학업중단을 사전에 예방하고, 단위학교의 학업중단 예방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으로, 학업중단 숙려제 의무화(‘14년)를 통해 위기학생에게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해 학업을 지속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으며,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제54조에 따라 학교의 장은 위기학생에게 학업중단에 대해 숙려할 기회를 주어야하며, 이 기간동안 출석으로 인정할 수 있다.

또한 공교육 내에서 학생들의 교육수요가 충족될 수 있도록 학교 내 대안교실(1,454교), 대안교육 위탁교육 기관(289기관) 프로그램 운영·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이번 조사결과에 대해 교육부 오승걸 학생복지정책관은 “위기학생의 학교 적응을 돕고 학교 중도탈락을 최소화하기 위한 학업중단 예방정책 추진과 학교현장의 노력의 결실”이라고 평가했다.

또한, “학업중단은 학생 개인의 성장과 자립을 방해하고, 국가 차원의 인적자원 손실 등 큰 비용을 초래한다"며 "앞으로도 학업중단 숙려제 내실화, 학업중단 예방 집중지원학교 지원 강화, 민간위탁형 공립대안학교 설립·운영 추진 등 적극적인 정책대응을 통해 학생 개인의 적성과 소질에 맞는 행복교육을 실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