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듀인뉴스=권호영 기자] 교육부는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와 ‘학령인구 감소와 학교의 대응’을 주제로 오는 21일 오후 2시 국회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포럼을 개최한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포럼에서는 학생 수 감소를 교육발전의 기회로 활용하고 교육혁신을 통해 저출산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선순환 체계 구축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특히, 현 정부의 저출산 정책 패러다임에 맞게 학생·학부모 개개인의 삶을 존중하는 교육정책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포럼의 발제는 박남기 교수(광주교대)가 맡았다.

박 교수는 교육의 질 관점에서 저출산에 따른 학생 수 감소로 학교에서 개인 맞춤형 교육 제공이 용이해질 것으로 전망하고, 고급화된 교육수요에 맞게 학급당 학생 수 감축은 필수적이며 학교와 공공시설이 공존하는 시설복합화가 불가피하다는 주문을 한다.

이에 토론자들은 학생 수 감소에 따른 교육혁신을 위해서는 교사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하면서, 교사가 교육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교육과 직접 관련성이 낮은 업무를 경감하고, 교사 개개인의 전문성 향상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할 것으로 보인다.

송수경 장학사(강원도교육청)는 학교 놀이시간을 100분 확보내 하교 시간을 오후 3시로 연장해 돌봄공백을 해소하는 ‘놀이밥 공감학교’ 시범운영’(18년 40교) 사례를 발표하며 학생이 행복한 학교교육 필요성을 강조한다.

김희삼 교수(광주과기원)는 신뢰, 협력, 연대 등 사회자본의 회복을 위해 초등교육 혁신의 중요성을 언급하면서, 독일 전일제학교와 같은 긴 안목의 교육정책 대전환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장덕호 교수(상명대)는 표준화된 교육과정, 일방향의 강의식 수업 등 산업화 시대의 교육 유산을 개별화된 맞춤형 교육으로 만드는 노력이 바로 저출산 해법임을 강조한다.

구정화 교수(경인교대)는 학생 수가 감소해도 고려인4세, 역이민자 등 새로운 배경의 학생들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바, 사회통합과 차별해소를 위해 다문화 교육과정의 정교한 설계를 주문한다.

이 현 소장(우리교육연구소)은 선행학습과 사교육 의존 심화를 해결하기 위해 학교공간을 정규학교와 방과후센터로 2원적으로 운영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김상희 위원회 부위원장은 “출생자수가 지난해 처음 30만 명 수준으로 감소했다”며 “이들이 취학하는 2020년대를 혁명적 교육개혁의 기회로 활용하기 위해 교육계가 주도적으로 비전을 설정하고 적극적 연구와 정책개발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춘란 교육부 차관은 “이번 포럼이 사회 각계각층의 논의를 선도적으로 이끌 소중한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기탄없는 논의를 통해 우리 아이들의 행복을 위한 교육 여건 개선과 도약의 기회를 만들어 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