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피라미드모형, 강의식 수업 부정 근거로 적절치 않아
교수학습 본질은 교육 목표 이루는 데 있어

전국 17개 시도교육청 중 상당수 교육청에서 '미래 학력'을 추진하고 있다. 미래 학력은 교육과정·수업·평가와 관련한 학력관으로 우리나라 교육은 기존의 학력관이 교육의 본질(학생의 성장)을 침해한다는 문제의식에 대응해 등장한 개념이다. 전통적 학력관과 대립하는 미래 학력관을 비판적으로 사유함으로써 국민과 더불어 공감하는 민주적 시민사회의 바람직한 교육관을 성찰하고자 '박제원의 미래 학력이란'을 연재한다.

박제원 전주 완산고 교사는 고려대 경제학과 및 동 대학원을 나와 전북대 교육대학원을 졸업했다. 한국예탁결제원을 거쳐 2003년부터 전북 완산고에서 사회교사로 재직하고 있다. 전북교육청 사회문화 교재 집필위원, 대입 사회문화 문제출제위원, KDI 경제교과서 집필위원, 중앙일보 공교육논술자문단 등을 역임했으며 학생 및 교사 대상 글쓰기·논술·토론 등 특강을 진행하고 있다.
박제원 전주 완산고 교사는 고려대 경제학과 및 동 대학원을 나와 전북대 교육대학원을 졸업했다. 한국예탁결제원을 거쳐 2003년부터 전북 완산고에서 사회교사로 재직하고 있다. 전북교육청 사회문화 교재 집필위원, 대입 사회문화 문제출제위원, KDI 경제교과서 집필위원, 중앙일보 공교육논술자문단 등을 역임했으며 학생 및 교사 대상 글쓰기·논술·토론 등 특강을 진행하고 있다.

학생중심수업이 효과적?...‘학습피라미드모형’은 설득력 없어

새로운 학력의 지지들에게 강의식 수업은 부정적이다. 그 효과는 크지 않다고 본다. 교사가 열정적으로 강의식 수업을 하지만 완전학습자는 교사 1인인 경우가 많다고 본다. 하지만 ‘거꾸로 수업’, ‘협동학습’ 같은 학생중심의 수업은 효과적이라고 본다. 교사의 가르침을 최소화하고 학습할 내용을 학생들에게 던져줌으로써 스스로 배움을 추구한다고 보기 때문이다.

그 근거로 미국의 비영리 교육기관인 NTL(National Training Lab)이 1950년대 발표한 ‘학습피라미드 모형’이라는 연구 결과를 제시한다.

미국행동과학연구소(NTL : the National Training Laboratories)에서 발표한 '학습피라미드'
미국행동과학연구소(NTL : the National Training Laboratories)에서 발표한 '학습피라미드'

이 피라미드 모형은 다양한 방식으로 학습한 후 24시간 뒤에 지식의 몇 %가 평균적으로 남아 있는 지를 연구한 자료인데, 자료에 의하면 교수학습방식에서 교사의 일방적 강의식 수업을 듣는 방식은 5%로 최저를 기록했다. 그 다음으로 독서는 10%, 영상자료는 20%, 시범 및 현장 견학은 30%, 토론은 50%, 체험 및 실습은 75%, 다른 사람을 가르치기는 90%였다.

하지만 이 자료는 강의식 교수법을 부정하는 근거로는 적절하지 않다. 도표는 자료수집방법으로 ‘실험법’을 사용했다. 실험법은 연구 대상을 둘 이상의 집단으로 나누어 실험 처치를 한 후에 그에 따른 변화를 관찰하여 자료를 수집하는 방식이다. 도표에 나타난 실험에서는 학습참여자의 적극성을 바탕으로 각기 다른 실험처치(강의식수업 듣기, 독서, 영상자료시청, 시범 및 현장견학, 토론, 체험 및 실습. 다른 사람 가르치기)를 하고 기억수준을 평가한 것이다. 이 때 각각의 학습방법은 독립변수이며 종속변수는 실험참여자가 지식을 기억하는 수준이다.

만약 연구자가 능동적인 학습활동이 학습효과를 크게 한다고 본다는 주장을 뒷받침하고자 하면 실험에서 독립변수의 효과를 추정하기 위해 실험처치를 하는 집단인 실험집단은 다른 사람을 가르친 집단, 체험 및 실습 집단, 토론, 시범 및 현장 견학 집단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실험요인을 적용한 집단과 비교하기 위해 실험처치를 하지 않는 비교집단인 통제집단은 영상자료시청, 독서, 강의식 듣기 집단이다.

다섯 가지 적합한 자료의 조건

자료가 타당하려면 갖춰야 할 조건이 있다.

▲첫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구성원이 동일한 조건이어야 한다. 즉 두 집단의 구성원이 전체를 대표할 수 있어야 한다. 그렇다고 볼 수 없다. 표본규모도 작고 무엇보다 반복적인 데이터가 아니다.

▲둘째, 각 집단으로 구분해 학습시킨 내용에 대한 학생들의 지식수준에 대한 검토가 없다. 즉 학습한 내용에 대한 학생 각자의 배경지식수준이 다르고 그것이 실험에서 정한 새로운 지식을 학습시키는 데 영향을 끼치는데 그에 대한 측정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가령 초등학교 6학년을 순위별로 구분해 평균치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구성했어도 배경지식수준이 동일하다고 할 수 없다. 강의식 수업으로 실험한 집단이었다고 해도 그 구성원이 가르친 내용에 대한 충분한 관련지식이나 배경지식을 갖고 있었다면 가장 성과가 좋았던 다른 사람을 가르쳤던 실험집단과 비교해 학습의 기억치가 낮다고 할 수 없다.

▲셋째, 각각의 교수학습방식이 실제적으로 어떤 절차를 통해 이루어졌는가에 대한 근거가 없다. 가령 교사가 강의식으로 수업을 했어도 교사가 학습목표와 성취기준을 정하고 학습목표를 명료하게 제시하고 예를 들어가면서 설명한 후에 수업을 마무리했을 수도 있고 그렇지 않고 수업과정을 체계화 하지 않고 수업을 강행했을 수도 있다. 학생들은 듣기라는 수동적 학습을 했지만 교사의 강의식수업과정에 대한 다양성을 고려하지 않았다.

▲넷째, 연구수행 기관인 NTL(National Training Lab)은 실제로는 국책연구기관이 아니라 성인들의 의사소통 훈련을 전문으로 하는 사설단체이다. 이와 관련하여 미국의 교육공학 저널인 ‘Educational Technology’ 2014년 11~12월 특집판에서 4명의 교수들은 ‘기억유지를 위한 미신과 데일의 경험의 원추 변’이라는 주제로 학습 피라미드 이론이 갖는 문제점을 조목조목 비판했다. 그 외에도 여러 연구자들이 문제점을 제기하고 있다.

▲다섯째, 실증적인 반례도 있다. 1960년대 미국 교육학자인 시그프리드 엥겔만이 개발한 ‘직접교수법’은 교육목표로 정한 성취기준을 달성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교수법, 학생따라 다양한 방법 적용해야

교실에서 가두리 양식을 하듯이 다양한 교수법에 의존하지 않고 하나의 패턴에 치우친 강의식만으로 이루어지는 교수학습법은 문제가 있다. 어떤 교사도 그것에 대해 이론을 제기하거나 부정하지 않는다. 그 핵심은 교육목표에 대한 성취가능성이다. 그렇다면 강의식이 좋거나 나쁘다고 규정할 것이 아니라 학생들의 수준과 심리에 따라 다양한 방법을 교차적으로 적용해야 한다.

교수학습의 본질은 특정한 방식이 목표에 기여할 수 있지만 전적이지 않으며 교수학습 방식 그 자체에 있지 않다. 즉 교육목표를 이루는 데 있다. 하지만 이처럼 근거가 의심스러운 실험 결과를 진리처럼 믿으라고 하는 것은 학교에 유령이 횡횡하게 만드는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