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학력, 현장의 사례와 과제...현장교원 중심 교육과정 2차 포럼
"새로운 학력은 교과중심 아닌 지성·감성·시민성 조화로운 발달 결과"

[에듀인뉴스=지준호 기자] 6대 핵심역량을 명문화한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성찰하는 ‘현장교원 중심 교육과정 2차 포럼’이 지난 17일 서울고 강당에서 열렸다. 

‘새로운 학력, 현장의 사례와 과제’를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은 6대 핵심역량(자기관리역량, 지식정보처리역량, 창의적사고역량, 심미적 감성역량, 의사소통역량, 공동체역량)과 새로운 학력을 중심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심층적으로 논의해 지원 방안을 탐색·제안하기 위한 자리였다.

김두정 연구책임자(충남대 교수)는 “새로운 학력은 학교교육의 목표로서 지성 감성 시민성의 조화로운 발달의 결과를 의미한다”며 “지식 위주의 교과 중심 교육과정에서 벗어나 합리적으로 생각하는 힘과 공감하는 힘, 실천하는 힘을 통합한 개념”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새로운 학력의 성취는 한 두 사람의 교원이나 학교장의 힘만으로는 어렵다”며 “교원의 공동체적 노력과 학교, 지역사회가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왼쪽 위 김두정 교수, 이원주 장학사.  왼쪽 아래 김병철, 박제원 교사.
왼쪽 위 김두정 교수, 이원주 장학사. 왼쪽 아래 김병철, 박제원 교사.

각종 규제, 관행적 관리감독 철폐해야..."왜 '창체'는 '시체'로 불리는 가"

‘교육과정-수업-평가 체제의 일관성 현황과 과제’를 주제로 발제에 나선 이원주 안양과천교육지원청 장학사는 “전인교육을 실현할 교육으로 교과서 진도 나가기 식의 수업, 지식 중심의 암기식·주입식 수업으로는 한계가 있다”며 “교육과정 재구성, 학생 참여형 수업, 과정중심 평가의 일관성을 반드시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장학사는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능력과 구성·운영할 수 있는 자율성이 전제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교사가 국가교육과정을 편하게 접할 수 있는 실용성과 지나친 규제 해제 ▲교육행정기관의 관행적 관리감독 철폐 ▲교사가 교육 수행에 있어 필요에 의해 만들어가는 시스템으로 변화 등을 과제로 꼽았다.

특히 그는 “창의적 체험활동에는 교사가 창의적으로 구성할 부분이 없다”며 “창체가 아니라 시키는대로 하는 ‘시체’로 불리고 있음을 명심하라”고 지적해 참석한 현장 교사의 공감을 샀다.

EBS 연계 폐지해야 고교교육 정상화..."자소서는 대학 입시 현장에서 학생이 직접 작성하도록"

‘교육과정 일원화 및 지속 가능한 평가기록 방안’을 발표한 김병철 경기 군포고 교사는 EBS 연계를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EBS 연계 평가가 학교교육과정을 파행적으로 운영하게 하는 절대 요소로 폐지해야 한다”며 “수능을 절대평가로 전환하고 서술형 평가를 도입하는 등의 입시제도를 개선해야 실제 평가를 이룰 수 있다”고 말했다.

또 그는 “현행 학생부는 학생의 능력보다 외부의 능력이 개입될 여지가 많다”며 “자소서를 대학별로 현장에 학생을 불러 직접 작성하게 하는 것만으로도 학생부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고 제안했다.

교사 주도 수업=강의·주입식 수업?.."교육내용-교수·학습-평가 일치가 학생 성취 가져오진 않아"

‘혁신학교에서의 새로운 학력 실험, 그 성과와 과제’를 주제로 발제에 나선 박제원 전주 완산고 교사는 “교육내용-교수·학습-평가의 일관성이 학생의 성취수준을 이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에 절대적 요소는 아니다”라고 꼬집어 말했다.

그는 A 중학교의 국어 수업설계도를 예시로 들며 “13차시 수업 중 11차시가 활동중심으로 구성되어 있고 직접적인 지식을 배우는 수업은 2차시뿐”이라고 분석한 후 “이런 식의 수업은 뇌의 단기기억장치에만 저장될 뿐 장기기억장치로 옮겨지지 않아 교육내용-교수·학습-평가의 일치는 이뤘을지 몰라도 학생이 수업 성취를 이뤘다고 말하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모둠활동 위주로 수업을 구성하는 혁신학교의 수업 형태에 대해서도 강하게 비판했다.

박 교사는 “모둠활동은 학원에서 지식 수업을 사전에 받은 학생들에게만 효과적”이라며 “교실에서 교사 주도의 지식 수업을 하지 않으면 오히려 가난한 학생들에게 역차별하게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성공적인 교육내용-교수·학습-평가의 일관성을 이루려면 “교사 중심의 강의식 수업, 성취 기준에 해당하는 지식, 지식 일반에 대한 기억, 평가 방식의 정밀성을 낡음으로 규정하고 도외시하지 말아야 한다”며 “학생중심의 모둠활동, 지식일반을 경시하는 태도, 개방형 평가에 대한 일방적인 정당성, 학생의 지적 수준과 학제를 충분히 고려하진 않은 형식에 치우친 교과간 융합에 대한 지나친 추종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날 선 목소리를 냈다.

포럼을 주최한 한국교육연구소 이인규 소장은 “국가교육과정 문서와 현장은 상당히 다른 모습이라는 사실을 포럼을 하며 알게 됐다”며 “이 사실을 인정하면 많은 교육과정 문제들을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 이후 교육과정은 어떻게 개정해야 하는지 등에 대해 상당한 통찰력을 가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최저학력기준 이외에는 국가교육과정 문서를 대강화하고 교사들의 집단지성에 의한 목표 재구성 및 실천, 평가 재량성을 인정하는 방향으로 바뀌어야 한다는 주장에 공감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