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윤희 부산 금성고 교사

교실이 무너지고 교권이 흔들린다. 그러나 하늘이 무너지고 지구의 종말이 와도 사과나무를 심는 사람들이 있다. 교육 현장에 사과나무를 심는 교사들의 이야기. ‘조윤희쌤의 교실 돋보기’를 통해 들여다 본다.

이화여대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1990년 교직생활을 시작한 조윤희 교사는 현재 부산 금성고에서 사회교사로 재직하고 있다. 전국 학력평가를 출제 위원을 지냈으며 교과서 검정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교육부 주관, 제작하는 심화선택교과서 ‘비교문화’를 공동집필하기도 했으며 부산시교원연수원, 경남교육청 1정 자격 연수 및 직무연수 강사, KDI 주관 전국 사회과 교사 연수 강사, 언론재단 주관 NIE 강사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화여대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1990년 교직생활을 시작한 조윤희 교사는 현재 부산 금성고에서 사회교사로 재직하고 있다. 전국 학력평가 출제위원을 지냈으며 교과서 검정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교육부 주관, 제작하는 심화선택교과서 ‘비교문화’를 공동 집필하기도 했으며 부산시교원연수원, 경남교육청 1정 자격 연수 및 직무연수 강사, KDI 주관 전국 사회과 교사 연수 강사, 언론재단 주관 NIE 강사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교사들의 ‘成長期’, 방학에 대한 단상

방학. ‘그날’ 만 기다린다, 애나 어른이나. 자고로 방학은 기다림에 묘미가 있을지도 모른다. 학생들은 쉬고 있을 텅 빈 학교의 정적은 오롯이 교사들의 몫이다. 생각을 정리하고 밀린 책을 읽기엔 더없이 좋은 공간에서 즐기는 여유로운 시간이다.

학기중에 부대끼며, 선생님에게 혼나며 성장하는 아이들

작년 이맘때의 일이었다. 역대급(?) 학생들을 맡아 정말 뻐근하게 한 해를 보내고 방학식을 하는 날이었다.

“자, 이제 눈감고. 내가 이번 1년 동안 조금이라도 큰 것 같은 사람, 성숙해진 것 같은 사람, 자신이 변화했다고 느껴진 사람 손들어보기!”

침묵... 1학기 동안 악명 높은 활약(?)으로 전 선생님의 미움(?)을 한 몸에 받았던 아이들. 2학기에 놀라운 속도로 선회를 했다지만 2학기에 되찾은 양심만으로는 선뜻 그 질문에 답하기 어려웠던 모양이었다. 한동안 침묵이 이어졌다.

“...”

그러더니 조용히 한두 명씩 손을 들었다. 한 열 명 쯤. 가슴까지만 쭈뼛거리며 손을 든 아이까지 다 합하면 열 서너 명. 열 명 가까이는 점점 고개가 땅속까지 파고들 기세였다. 일말의 양심이 작동 중이었던 듯했다.

“○○이, 손들자. 너 올해 변한 거 맞다. ◇◇이, 손들자. 너 올해 큰 거 맞아. △△이, 손들자. 너 올해 많이 성숙해진 거 맞는데. ◉◉이도 손드세요. 아주 많이 성숙해졌는데? ◎◎이도 손! 샘이 인정!! □□이도 손! 샘이 인정합니다! 그리고 마지막까지 손을 들지 않던 도띵이! 도띵이! 너도 많이 변한 거 맞다 손들어야지?”

그렇게 그날 우리 학급 아이들은 전원 손을 들었고, 환경미화심사 결과로 받은 문화상품권을 한 장씩 받아들고는 의기양양하게 방학식을 했던 기억이 난다.

빗자루질을 어떻게 하는 건지, ‘청소가 뭐에요’ 하는 수준에, 선생님이 수업 중인 교실에서도 싸움질을 서슴지 않았던 아이들이 보낸 1년이었다. 학년이 끝날 때쯤 자기가 맡은 구역의 청소를 얼마나 책임감 있게 잘하던지 한 학기 결산하는 환경 미화 심사에서는 1등을 해 상품권을 거머쥔 채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얼굴로 방학식을 했다. 가로세로 줄을 예쁘게 맞춘 자기 책상 옆에서 문화상품권 상을 받아 인사를 꾸벅하고는.

아이들은 학기 중에 그렇게 열심히 부딪히고 꾸중도 듣고 찾고 헤매고 탐구하며 그렇게 지지고 볶으며

1년을 잘 살아냈고, 그렇게 한 뼘씩, 한 마디씩 몸과 마음이 자라 2학년이 되었더랬다.

학생들이 시나브로 자라는 시간은 방학 기간도 빼놓을 수 없겠지만 ‘학기 중’에 더 성큼성큼 자라는 것이 아닐까 싶다. 아이들끼리 부대끼며, 선생님에게 치대며 사랑을 먹고 혼쭐도 나면서 그렇게 크는 것이 아닐까 싶다.

방학 기간의 경험을 수업에 녹이는 선생님

교사들은 방학이 있어 좋겠다고 부러워하시는 분들을 종종 만나게 된다.

“제일 추울 때, 제일 더울 때 출근 안 하고, 놀면서도 월급 받고 진짜 좋겠다.”

그런 부러움을 한 몸에 받을 때면 사실 할 말이 별로 없다. 아이들을 맡아 부담감에 가슴이 뻑적지근할 때가 많다고 이야기해 봐야, 1년이 멀다하고 바뀌는 입시제도에 맞춰 학교 현장의 평가나 교수학습 활동이 하루가 다르게 변하고 있어서 그것에 적응하자면 교사들도 똥줄이 탄다고 이야기해 봐야, 간혹 부모도 포기한 아이들이 교사들에게 던져(?)지지만 아이들을 포기할 수 없어 씨름하며 속을 태우는 일이 하루 이틀이 아니라고 말해봐야, 인문계 고교 교사들은 끊임없이 Update 되는 지식을 충전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에 방학 마다 연수를 받으러 쫓아다니지 않으면 안 되고, 그래서 보충수업 아니면 연수로 별로 선택지가 많지 않다고 말해봐야, 과연 얼마나 공감을 얻을 수 있을지 모르기 때문이다.

혹은 그런 말씀을 하시기도 한다.

“방학이 있으니 그렇게 놀러도 다니고 그러지 않느냐.”

그거야 직장인들도 ‘휴가’를 받으면 연월차 내고 여행을 다니기도 하는데 굳이 그걸 교사의 방학에 빗대어 뭐라 하시는 건 불공평할 수도 있다. 도리어 교사들은 학생들이 놀지 않으면 움직일 수 없는 직업이라 단 한 번도 비수기 요금의 교통수단을 이용하기가 쉽지 않다.

이런 것 저런 것 다 떠나 교사 중 상당수는 방학이면 자기 연찬에 바쁘고 평소 하고 싶었으나 할 수 없었던 배움에 몰입하는 경우가 많은 것이 진실이다. 취미로부터 전공 영역의 심화까지! 여행이면 또 어떤가. 여행을 다녀와 견문이 넓어지고 안목이 깊어지면 그것이 수업에 녹아들고 아이들에게 해줄 이야기가 확장되는데, 그야말로 교사의 ‘퀄리티’가 높아지는 순간이 아닌가. 

교사들은 방학이 지나고 나면 한 뼘, 한 자씩 자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방학이라고 환호성을 지른 게 엊그제 같은데 벌써 열흘이 지나고 말았다. 벌써 방학 중 ‘방과 후 학교(보충수업)’는 시작되었고, 2주 남짓의 수업을 마무리하고 나면 1주일의 휴식시간 이후 개학이다. 하루가 모여 1주일이 되고 또 한 달이 되고 그날들이 모여 1년이 될 테지만 학생들은 학기 중에 성장기를 보내고, 교사들은 ‘방학 중’에 성장기를 보낸다는 내 생각은 변함이 없다.

결국 언제 성장기를 맞느냐보다 하루하루를 어떻게 사느냐가 더 중요할 테다. 29년 차 교직생활을 맞는 이 교사도 특별연수와 전공심화 연수가 기다리고 있다. 성장이 기대되는 대목이다. 텅 빈 학교에 나와 이것저것 차분히 준비하는 시간. 연수를 다 마치고 나면 그 다음날이 바로 개학이지만 교사가 성장한 만큼 그 시간은 새로운 학기에 맞을 아이들을 위한 거름이 되어 줄 것이기에 휴일의 고단함을 기대감으로 바꾸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