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성은 경기 늘푸른중 영어 교사

프로젝트 액츄얼리 "Project actually is all around"

[에듀인뉴스] 학교현장 곳곳에서 수업 혁신을 추구하는 교사들이 늘면서 프로젝트 수업이 각광받고 있다. 주입식 수업에서 벗어나 학생들이 직접 체험하고 토론하면서 답을 찾아가는 프로젝트 수업은 아이들의 창의성을 길러줄 뿐만 아니라 자발성과 적극성을 높이는 데 큰 몫을 하고 있다. <에듀인뉴스>에서는 학교현장에서 프로젝트 수업을 실천하고 있는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의 일체화 연구회 교사들과 함께 '수업 혁신을 꿈꾸는, 또 프로젝트 수업을 시도하고자 하는' 교사들에게 경험을 공유하는 기획을 마련했다.

◆연재 순서

1. "프로젝트 수업,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을 만들어라" - 고영애 경기 관양고 수석교사
2. 문답으로 푸는 프로젝트 수업 '오해'와 '진실' – 유희선 경기 양오중 수석교사
3. 학생과 교사 진일보에 최적 '프로젝트 수업' - 양혜인 경기 민락중 영어과
4. 세상과 소통하는 '수학', "뭐 그게 어려운가?" -이보라 경기 능동고 수학과
5. 삶의 방향을 제시하는 프로젝트 수업 - 진연자 경기 신곡중 과학과
6. 프로젝트 수업, 한걸음 내딛기 - 이영옥 경기 신곡중 도덕과
7. 프로젝트 액츄얼리 “Project actually is all around” - 임성은 경기 늘푸른중 영어과
8.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프로젝트 수업' - 이지영 대구 화원중 국어과
9. 미래를 준비하는 수업! 프로젝트 수업 – 소은숙 충남 청양중 과학과
10. 지식도 꿰어야 보배! 프로젝트 수업 - 신윤기 경기 분당고 영어교사

임성은 경기 늘푸른중 영어 교사
임성은 경기 늘푸른중 영어 교사

첫 경험 프로젝트 수업, 어떤 어려움 있나

첫 번째 미션 "동료교사와의 협의"

같은 학년 동료 교사와 프로젝트 수업의 운영 및 절차, 평가 등을 공유하고 협의해야 하는데 학기가 시작되면 각자 일상 업무에 치여서 만나기조차 어려워져 협의하는 데 어려움이 많다.

또한 각자의 교육 철학과 수업 방식이 다르기때문에 프로젝트 수업의 방향을 정하는 데 의견 조율이 쉽지 않을 때도 많다. 같은 학년 같은 교과 교사와의 합의가 첫 번째 해결해야 할 문제이다.

"주제 선정은 언제나 어려워요"

프로젝트의 주제를 선정하는 것이 수업의 첫 단계인데 어떤 기준으로 선정해야 할지 판단이 서지 않을 때가 많다. 아이들의 흥미와 동기를 유발할 수 있으면서도 교과의 내용과 관련된 주제를 선정하는 첫 단계부터 교사들은 부담스러움을 느끼게 된다.

"진도 나가야 하는데..."

중·고등학교에서는 대학 입시라는 현실적인 장벽이 있어 교과 진도에 대한 부담감이 큰 편이다. 학생과 학부모의 요구를 수렴하여 교과 교육과정을 운영하다 보면, 여러 차시에 걸쳐 장시간 진행되는 프로젝트 활동을 기피하기 마련이다.

(사진=임성은 교사)
(사진=임성은 교사)

중도 포기 1순위 '불만 투성이 모둠 편성'

대부분 프로젝트 수업은 모둠활동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협력보다 경쟁이 익숙한 우리 아이들은 모둠활동보다 개별활동을 선호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모둠 편성의 단계에서부터 교사와 학생들 간의 불협화음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고충 끝에 간신히 모둠활동을 시작하게 되더라도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무임승차가 빈번하게 발생하며, 의견 충돌 및 갈등으로 협업이 잘 되지 않거나 자기주도적으로 실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다수 생기기 마련이다. 그러다 보면 교사의 피로도도 함께 증가하게 됨으로써 활동을 중도에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

"평가는 언제나 공정하고 타당하게"

프로젝트 수업 시, 교사의 관찰 평가뿐만 아니라, 자기 평가 및 동료평가를 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과정중심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지려면 활동에 열심히 참여한 학생들과 그렇지 못한 학생들을 분별하여 평가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동료평가를 할 경우 평가의 공정성과 객관성을 확보하기 어려울 때가 많다. 아이들의 개인적인 친분 관계 또는 지극히 주관적인 판단으로 공정한 평가를 하지 못할 때가 많기 때문이다.

예측 안 되는 돌발상황 "걱정돼요"

교사가 처음 의도한 대로 프로젝트 수업 활동이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거나 갑작스럽게 예측하지 못한 돌발 상황이 수시로 생긴다. 이때 문제가 적시에 잘 해결되지 않으면 아이들은 우왕좌왕하게 되고, 예정된 계획보다 시간을 낭비하게 된다.

"결과물 형태를 어떻게 할까"

아이들은 Gardner의 다중지능 이론에서처럼 각자 다른 모습의 인지능력을 지니고 있어서 그에 따라 선호하는 학습 방식도 모두 다르다.

사실 프로젝트 수업 결과물의 형태는 다양하게 제시되고 아이들이 직접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고서 쓰기처럼 한 가지의 형태로 제한할 경우, 교사의 수업 운영 및 공정한 평가를 위해서는 효율적일 수 있으나, 아이들 개인의 특성과 요구를 반영할 수 없다는 제한점이 있다.

프로젝트 활동 및 결과물 제작을 위해 모둠별로 협의하는 모습.(사진=임성은 교사)
프로젝트 활동 및 결과물 제작을 위해 모둠별로 협의하는 모습.(사진=임성은 교사)

"프로젝트 수업은 애물단지가 아니라 보물단지!"

프로젝트 수업을 처음 계획할 때에는 여러 가지 예상치 못한 장벽들 때문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지만,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추구하고 있는 학생의 주요 역량 ‘의사소통 역량, 자기관리 역량, 지식정보처리 역량, 공동체 역량’ 등을 함양하는 매우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임에는 틀림이 없다.

프로젝트 수업은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 간 활발한 상호작용을 유도할 수 있는 협동·협력학습 및 문제 해결 학습을 가능하게 하며, 학생들이 서로 협력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과업을 통해 타인에 대한 배려와 경청, 관용과 존중 등 인성 교육을 강화하는 교수학습방법이다.

이러한 프로젝트 수업의 효과 및 필요성에 대해 동료교사와 공감을 나누고, 수업 및 평가계획에 대한 사전 협의를 통해 적절히 역할 분담을 한다면 동료교사로부터 어렵지 않게 협조를 구할 수 있다.

가르쳐야 할 내용을 교과서에만 의존하지 않고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기반으로 재구성하며 수행평가를 통한 과정중심평가를 확대한다면, 진도에 대한 부담감 없이 프로젝트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

발표를 위한 ppt 제작 모습.(사진=임성은)
발표를 위한 PPT 제작 모습.(사진=임성은 교사)

모둠활동에서 오는 갈등상황은 골칫거리가 아니라, 그 자체로 아이들에게 자연스러운 배움의 과정이 될 수 있다. 모둠별 협력활동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틀림’이 아닌 ‘다름’에서 오는 생각의 다양성에 대해 이해시키고, 교사의 세심한 모니터링과 개별 피드백이 뒷받침된다면 ‘위기’로 생각했던 상황들은 금세 또 다른 ‘배움의 기회’로 거듭나게 된다.

프로젝트 활동 과정 중 발생하는 예측하지 못한 돌발 상황은 교사에게도 큰 성장의 밑거름이 될 수 있다. 문제를 피하지 않고 직면하면 해결하지 못할 것은 없다. 프로젝트 수업이 애물단지가 아닌 보물단지라는 것은 직접 경험해 본 자만이 깨닫게 될 것이다.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의 일체화 연구회는 전국적인 학교 밖 전문적 학습공동체 모임으로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의 일체화를 위한 프로젝트 수업을 실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