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듀인뉴스] 이 세상에서 가장 힘든 일이 무엇일까? 일률적으로 이것이다, 라고 말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사람에 따라서 생각하는 것과 느끼는 것이 다르기 때문이다.

생계유지가 힘든 사람은 돈 벌기가 가장 힘들다고 할 것이고, 성적이 좋지 않은 학생은 공부 잘 하기가 가장 힘들다고 할 것이며, 이성 친구를 사귀지 못하는 사람은 남녀관계가 가장 힘들다고 할 것이고, 몸이 아파 병원에 자주 가는 사람은 건강관리가 가장 힘들다고 할 것이다. 

또 운전하기 등 기계 작동을 잘 못하는 사람은 기계 다루기가 가장 어렵다고 할 것이다. 비만해서 체중을 줄이려고 하지만 쉽게 빠지지 않는 사람은 살빼기가 가장 힘들다고 할 것이다. 그밖에 어떤 상황에서 어려움을 겪느냐에 따라서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면 그것이 가장 힘들다고 할 것이다.

하지만 자기 자신을 스스로 다스리고 통제하는 능력만큼 힘든 일이 있을까?

자신을 다스린다는 것은 정말로 어렵다. 타인은 규정대로 행동하지 많으면 당근과 채찍을 병행해서 다스리면 어느 정도 통하기도 한다. 그러나 스스로 자신을 다스리기는 많은 인내와 절제, 그리고 용기가 필요하다. 그래서 타인을 통제하기보다 훨씬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자신에게는 관대하고. 타인에게는 강한 것이 인간의 특성이다. 그래서 타인을 비판하기는 쉽지만 자기를 냉철하게 바라보고 비판하기는 어렵다. 스스로에게 관대하기 때문이다.

역사상 영웅으로 등극한 사람은 이를 극복한 ‘외유내강(外柔內剛)’형이 많다. 타인에게는 약하고 부드럽게 보이지만 자신을 한없이 채찍질하며 통제하기는 범인(凡人)으로서는 매우 어려운 일이기 때문이다.

수도원의 수도자들을 보자. 혼자 있을 때, 유혹을 받을 때는 가차 없이 쇠로 된 채찍으로 자신의 등을 내리치고 자신의 마음과 유혹을 물리치며 자신을 다스리려고 한다. 또 불가의 수도승들을 보자. 면벽수행을 하면서 끊임없는 시간을 명상하고 그렇게 가장 고독한 시간을 다스린다. 

가부좌를 틀고 앉아 깨달음을 얻을 때까지 인내하고 경전을 읽거나 참선을 하는 그 처절한 수행은 과연 어디서 오는 것일까. 스스로 마음을 다스리지 않으면 절대 불가능한 일이리다. 

필자는 평교사 시절에 아침에 학급조회에 들어가기 전에 일단 마음을 다스리곤 했다. 학생들의 일탈행동이나 잘못을 보거나 듣더라도 우선 야단치지 말고 그 연유를 알아본 후에 한 단계씩 과정을 밟아 지도하는 인내심을 가져야 한다고 스스로를 통제하려고 했다. 우발적인 행동으로 인한 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것이 청소년의 일상이다. 생각 없이 행동하기 때문이다. 

아직은 혈기가 왕성해서 무작정 행동부터 하고 생각은 나중에 하는 것이다. 각종 폭력행위가 바로 그러한 우발적인 행동에서 비롯된다. 그리고는 나중에 반성문이나 자술서를 쓰면서 뒤늦게 후회를 한다. 열이면 아홉 거의 그렇다. 아마도 전두엽의 성장과정이 아직도 끝나지 않은 청소년의 공통된 특징일 것이다. 개인에 따라서는 사춘기가 늦게 찾아오는 경우도 있다.

그럴 때는 강도(强度)가 세어진다. 뒤늦게 배운 무엇이 더 무섭다고 하지 않는가. 무언가 한번 터지면 제대로 일어나게 마련이다. 

(사진=sbs 캡처)

어쩌면 일생에 말썽을 부리는 양(量), 소위 ‘지랄 총량의 법칙’이 정해져 있다면 중학교를 거쳐서 고등학교까지 나타나는 학생과 그렇지 않고 조용히 지내다가 고등학교에 와서 폭발하듯이 터지는 학생이 있다. 이럴 때 지도하는 교사가 감정으로 대응하거나 섣불리 지도하다가는 그야말로 큰 코를 다친다. 

그래서 지도하는 교사가 마음을 다스리지 못하고 어설프게 접근해서는 걷잡을 수 없는 사건으로 확대되기도 한다. 따라서 호흡을 고르며 자신의 마음을 먼저 다스린 후에 접근하고 처리해야 한다. 우선 마음이 안정이 안 되면 주변 사람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규정에 따라 순차적으로 그리고 이성적으로 해결하는 지혜를 배워야 한다. 여기서도 먼저 자신의 마음부터 다스리는 훈련이 필요하다. 그 위에 실전 경험이 더해지면 금상첨화다. 학교에서 교사의 마음 다스리기는 이젠 필수적인 과정이요, 학습이 필요한 수행(修行)이 되었다. 

“어느 세계에서 일하건 가장 힘든 것은 나를 다스리는 일이다. 발레단을 책임지는 내가 나를 다스리지 못하면, 그 영향이 다른 단원과 직원에게 고스란히 전해진다. 내 안이 완전하지 않으면 일이나 관계에서 균열이 일어난다. 리더가 존경할 수 있는 모습을 보여야 조직이 하나로 똘똘 뭉쳐 발전한다. 그래서 이전보다 더 나를 돌보는 일이 중요해졌다.” 

발레리나 강수진의 《한 걸음을 걸어도 나답게》 책에서 인용한 글이다.

그녀는 세계적인 발레리나로 성장하기 위해서 어려서부터 이국땅에서 혼자서 온갖 고통과 시련의 과정을 거치면서 성공의 길을 차곡차곡 거쳐 온 자수성가의 산 증인이다. 그녀에게도 역시 자신을 다스리기가 제일 어려웠다는 고백이다.

우리는 누구에게나 공평하게 주어진 하루 24시간을 운영하기 위해서 시간을 얼마나 할애하고 있는가? 하지만 사실은 따로 시간을 내지 않아도 된다. 더 감사한 마음으로 음식을 먹는 것, 더 사랑하는 마음으로 다가가는 것, 더 즐거운 마음으로 일을 하는 것, 나의 감정과 정서와 기분을 약이나 술이 아닌 명상으로 조절하는 것, 그 모두 ‘나를 다스리는 시간’이기 때문이다. 

가장 쉬울 것 같아도 가장 어려운 일, 이것이 ‘나를 다스리는 시간’이다. ‘나를 다스리는 시간’ 이것이야말로 세상에서 가장 도전할만한 가치가 있지 않을까? 이를 자연스럽게 극복하는 사람이 가장 평범하지만 또한 가장 위대한 업적을 낳고 역사의 창조자로 자신의 업적에 커다란 발자취를 남길 것이다. 

전재학 인천 제물포고 교감
전재학 인천 세원고 교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