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정화 홍익대 명예교수

서정화 홍익대 명예교수

교육감은 해당 지역의 교육을 이끌어 갈 수장으로, 그 권한과 책임이 막강하다. ‘교육소통령’으로 불리우는 이유이다.

그럼에도 훌륭하고 유능한 교육감을 잘 알지 못한다고들 이야기한다. 후보들 정보를 접할 기회가 적기 때문일 것이다. 누가 누구인지 알 수 없다는 것이다. 그래서 ‘교육감이나 교육위원 선거가 필요한가?’라는 근본적 질문을 제기하기도 한다.

교육감의 자질

교육감은 지역별로 특색 있고 창의적 교육을 경쟁적으로 운용, 지역 발전을 유도하고 견인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려면 미래의 주인공인 학생의 장래를 결정할 교육정책과 교육 내용을 결정해 추진하는 동시에 학교 현장의 교직원들을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데 주력하는 교육 리더십을 지닌 인물이어야 한다.

무엇보다도 교육에 관한 철학과 전문적 자질을 갖춘 사람이어야 한다. 교육에 대한 풍부하고도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이 없으면 교장·교감을 비롯한 교사들과 행정직원들을 장악하기 어렵다.

동시에 경영자로서의 능력도 요청된다. 교육 CEO로서의 경영 마인드로 행정력·정치력을 동시에 행사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야 교육 내·외적, 인적·물적 자원 및 정보 네트워킹을 총동원해 교육 목적을 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도덕적 권위(Moral Authority)’를 갖고 학생·학부모의 신뢰를 받아야 한다. 각종 교육 비리로 인해 법의 심판을 받고 있어 사회적 지탄을 받는 교육감도 있다.

비록 관행에 의한 가벼운 비리라 해도 정당화할 수 없다. 금품수수, 부동산 문제, 복잡한 사생활 등 도덕적으로 깨끗하지 않으면 일반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물론이고 특히 ‘교육 수장’으로는 더욱 곤란하다.

교육감 선출방식을 개선해야 한다

현재 교육 현장에서는 여러 가지 교육개혁 과제를 추진하고 있다. 혁신학교 문제를 비롯하여 자사고·외고 등 특목고 문제, 입시제도 운영 문제, 학력저하 문제 등으로 진통을 겪고 있다.

이번 6.13 교육감 선출을 앞두고 실시된 여론조사에서는 부동층이 절반이 넘는 것으로 보도된다. 유권자들의 무관심뿐만 아니라 후보를 제대로 모르는 소위 ‘깜깜이 선거’로 치러지고 있다는 우려가 크다.

이번 선거를 통해 해당 지역의 특색을 살리면서도 학교교육의 질적 수준을 최상으로 높이는 데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훌륭하고 유능한 교육감과 교육감이 선출되어야 한다.

인기 영합주의 공약이 아니라 학생·학부모가 만족하고, 묵묵히 교육 선진화 기수로서 헌신하는 학교 현장의 교육 영웅들이 교육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공약을 제시하고, 이를 반드시 실천할 수 있는 깨끗하고 유능한 교육지도자들이 선택되길 바라는 마음이 간절하다.

교육감 직선제는 교육문제에 주민의 의견을 직접 반영한다는 취지에서 2006년에 도입되었지만 교육감 선거에 드는 비용이 지나치게 많이 들뿐만 아니라 교육의 정치화, 진영 간 갈등 등의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다. 이제 교육감 선출방식 개선을 위한 연구와 공론화가 시작되어야할 때가 아닌가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