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휴업으로 겨울방학 축소 늘어" 교총 설문조사 결과 발표
휴업(휴교)실시 여부에 대한 통일된 국가적 기준 마련 필요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회장 안양옥)의 설문조사 결과 메르스 휴업사태로 인해 10%에 가까운 학교가 겨울방학을 축소할 예정이라고 밝혀졌다.
교총은 지난달 27일 메르스 경보가 주의에서 관심 단계로 낮춰지고 12월을 맞아 각 급 학교에서 겨울방학을 실시함에 따라 지난 2일부터 4일까지 전국 유·초·중·고 교감 1864명을 대상으로 모바일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설문조사 결과 메르스 휴업(휴교) 여파로 겨울방학 축소 여부를 묻는 질문에 ▲‘부득이 겨울방학을 축소할 예정이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9.5%(177명)로 나타나 메르스 휴업으로 인한 수업일수 부족 등 후유증이 남아 있는 학교가 여전히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반면, ▲휴업(휴교)하지 않아 상관이 없다(74.7%) ▲여름방학 축소 및 학기 중 수업일수 조정 통해 겨울방학 축소 안한다(15.5%) ▲잘 모르겠다(0.3%)라고 응답했다.
이어 “교감선생님 학교에서 겨울방학을 줄인다면 기존보다 며칠 정도 줄인 것인가?”라는 질문에 ▲1-2일이 137개교 ▲3-4일이 97개교 ▲5-6일이 38개교 ▲7-8일이 12개교로 나타났고 ▲9일이상인 학교도 1개로 조사됐다.
이처럼 사상 초유의 메르스 휴업 사태로 수업일수(수업시수) 부족 등 후유증을 겪은 많은 학교에서는 내년도 학사일정 수립 시 단기방학(관광주간, 가족주간 등) 기간 및 활용에 고민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여타 지역보다 겨울방학을 축소하는 학교가 많은 지역은 메르스로 인한 휴업(휴교)이 많았던 경기, 서울, 대전, 충남, 충북 등으로 나타났고, 고등학교보다는 중학교, 중학교보다는 초등학교가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메르스 휴업사태를 통해 향후 신종감염병 등 발생 시 정부, 교육청 등 우리사회의 대처와 관련해 가장 개선되어야 할 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교감들은 휴업(휴교)실시 여부에 대한 통일된 국가적 기준 마련, 국가적 기준 없이 학교장 재량으로만 책임 가중 지양(42.4%)을 뽑았다.
그 외 ▲전염병 발생시 교육행정당국이 즉각 적용 가능한 대응 매뉴얼 보급, 학교혼란 최소화(24.9%) ▲전염병 발생 시 휴업(휴교)에만 의존하는 소극적 대처보다 학교 내 적극적 예방 보건교육 강화(18.1%) ▲의학적·교육적 판단보다 학부모 요구에 치우친 교육감의 휴업(휴교) 명령 자제(8.3%) ▲학교 단위에서 휴업(휴교)에 대해 자율적 판단 부여(6.3%) 순으로 답했다.
이번 메르스 사태로 인한 대처 및 기타 의견을 묻는 질문에는 약 100여 건의 의견을 제시해 학교감들의 높은 관심과 다양한 의견을 들어볼 수 있었다.
우선 전염병발생시 국가수준(시·도단위)의 대처가 필요하다며 학교장 단위 대처는 책임을 전가할 뿐 초기 대응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입을 모았다.
또한 "학부모의 민원성 휴업으로 인한 겨울방학 축소는 어쩔 수 없는 조치"라며 "만약 이를 완화한다면 앞으로 신종 전염병이 발생할 경우 전국의 모든 학교가 휴업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했다.
이어 "어떤 학교가 전염병 경로를 미리 알고 대처하겠습니까?"라고 반문하며 "지난번 서울의 무작위 휴업 조치는 이해하기 힘들다"고 지적했다.
계속해서 "범국가적인 재난이나 질병일 경우 교육부나 교육청의 일관성 있고 통일된 지시가 필요하다"며 정책적인 매뉴얼을 강조했고 "학교장 재량이라는 것은 정부가 학교에게 많은 책임을 전가하는 것으로 학부모들에게 시달리는 학교의 입장을 전혀 생각하지 않는 처사"라고 불만을 표시했다.
이번 실태조사 결과에 대해 안양옥 한국교총 회장은 “학교에서 중간관리자로서 학생교육과 학사일정을 실질적으로 책임지는 교감 선생님들이 제시한 의견들을 정부와 시·도 교육감은 물론 우리 사회가 귀담아 들을 필요가 있다”며 “막연한 불안감으로 학부모 요구에 의한 무조건적 메르스 휴업(휴교)은 결과적으로 수업일수와 수업시수의 부족을 가져와 무더운 여름과 추운 겨울에도 수업을 해야 하는 부작용을 낳고 있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또 안 회장은 “이번 사상 초유의 메르스 휴업 사태를 통해 신종 감염병 등 발생 시 인기영합적인 일률성 휴업명령 남발이나 학교에만 책임을 전가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보다 체계적인 예방 및 보건 교육을 강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