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광진 교수의 [한자와 명언] (1893) 商 標 (상표)

“밖에서도 상대방의 내부 사정을 잘 알아야 한다.”

2025-07-29     인터넷뉴스팀

 

 

◎ 商 標 (상표)

*장사 상(-11, 6)

*나타낼 표(-15, 4)

 

장사를 잘하는 비결은 뭘까? 오늘은 商標란 한자어에 쓰인 두 글자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본 다음에 사업 비결에 관한 명언을 찾아본다.

자의 갑골문은 어떤 건축물 형상인데 그 뜻풀이에 대하여는 정설이 없다. ‘헤아리다’(consider) ‘장사하다’(trade in) ‘의논하다’(consult with)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쓰인다.

자는 나무의 꼭대기 줄기, 우듬지’(treetop)를 뜻하기 위한 것이었으니 나무 목’()이 의미요소로 쓰였다. (불똥 튈 표)는 발음요소다. 후에 표적’(target) ‘표시’(mark) ‘나타내다’(appear) 등으로 확대 사용됐다.

商標사업자가 자기 상품(商品)에 붙인 표()’를 이른다. 경쟁 업체의 상품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호문자도형 따위로 일정하게 표시한다.

장사나 사업 비결은 참으로 많을 수 있다. 중국 한 나라 사람으로 한자학(漢字學)鼻祖(:)許愼(허신)이 말한 것을 참고삼아 아래에 옮겨 본다.

 

밖에서도

상대방의 내부 사정을

잘 알아야 한다.”

從外知內 종외지내

 

전광진, 성균관대 명예교수 /

<우리말 속뜻 논어> 편역자

(jeonkj@skku.edu).

 

[에듀인뉴스(EduinNews) = 인터넷뉴스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