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인력 양성과 대학의 역할

김효겸 전 대원대 총장
김효겸 전 대원대 총장

기업의 반도체 인력 양성과 대학의 역할은 불가분의 관계라고 볼 수 있다. 기업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대학에서 우수인재를 공급받도록 협조 요청해야 하고 대학은 적극 협력해야 한다. 기업은 최신 개발된 신진 기자재를 대학에 무상 기증하여 학생들이 실험실습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해야 한다.

기업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대학에서 우량의 인재를 공급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그렇게 해야 한다고 하면서도 이를 이행하지 않고 30~40년 끌어오면서 작금에 이른 것이 우량의 인력공급의 난맥상을 보인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뒤늦은 감이 있지만 이번의 반도체 인력 양성은 긴밀한 산학협력 속에서 제대로 된 인력양성으로 이루어지길 소망한다.

향후 10년간 3만여 명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되는 반도체 인력 양성이 가장 시급한 과제로 꼽힌다.

박재근 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장은 "국내 기업에서 매년 뽑는 반도체 인력 1만 명 중 1400명 정도만 반도체 전공자"라며 "반면, 대만은 10년째 매해 전문 인력 1만 명을 육성하고 있고, 중국은 한해 20만 명씩 배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수도권 규제 완화 등을 통해 대학 반도체학과 정원을 확충하고, 석‧박사 배출을 위해 반도체 대학원도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소영 성균관대 반도체시스템공학과 교수 역시 "기업에선 더 많은 인력을 보내 달라고 하는데 학생 자체가 부족하다"며 "특히 박사 과정 학생들에게 좀 더 혜택을 주고 안정적인 지원이 제공되면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서울대 반도체 연구소 같은 학교별 중점 연구 시설을 확충하고, 정부 지원을 받는 국가 반도체 연구소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차세대 반도체 시장 선점을 위해 소부장 자립화를 지원하는 정책도 시급하다.

안기현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전무는 "미국을 필두로 각국이 자국 중심의 반도체 팹과 공급망을 구축하고 있다"며 "한국도 차세대 반도체 생산에 필요한 소부장 업체의 자립화에 속도를 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달 20일 바이든 대통령과 윤 대통령은 경기도 평택시 삼성전자 반도체공장을 방문해 이재용 부회장 안내로 반도체 공장을 둘러봤다. 약 22분간 시찰 동안 바이든 대통령은 공정 과정에 깊은 관심을 표하며 양손 엄지를 치켜세우기도 했다. 이어 삼성 임직원 등 500여명 앞에 섰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것은 내 방문에 있어서 상서로운 출발"이라면서 "우리 두 나라가 함께 건설할 수 있고 반드시 건설해야 하는 협력과 혁신의 미래를 상징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삼성이 만드는 최첨단 반도체 칩은 놀라운 성과"라면서 "단 몇 나노미터 두께의 이 작은 칩이 우리를 다음 세대 인류의 기술 발전으로 이끄는 열쇠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인공지능, 양자 기술, 5G를 예로 들었다.

바이든 대통령은 삼성이 지난해 5월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170억 달러(약 20조원) 규모 투자를 발표한 데 감사를 표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세계에서 가장 발전된 칩을 만드는 이 같은 시설이 테일러시에 들어선다"면서 "이 투자로 텍사스에 첨단기술 일자리 3000개가 창출된다"고 말했다. 삼성이 미국에서 만든 일자리 2만 개에 추가되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미국은 세계 1위 투자국이고 고급 노동력, 혁신과 기업가 정신, 투명하고 예측 가능한 법 제도를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삼성이 칩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많은 기술과 설비는 미국에서 설계되고 생산된다는 점을 지적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우리 두 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우수하고 발전된 기술을 만들기 위해 협력한다"면서 "이 공장은 그 증거"라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반도체 동맹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반도체는 미래의 먹거리임에 틀림이 없다. 반도체를 통해서 국격을 한 단계 업그레드해야 한다. 산학협력을 통한 반도체인력양성이 체계 있게 진행되길 바란다. 이참에 세계 제1수준인 독일의 산학협력을 반면교사로 삼아 흐지부진한 우리나라 산학협력을 국가차원에서 실질적인 산학협력체계로 끌어올리길 촉구한다. 기업 측에서도 산업협력에 인색했던 과거를 반성하고 적극적 지원과 투자를 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싶다. 이것이 이정부가 해야 할 책무라고 본다.

이참에 13년 동안 대학등록금 동결로 어려운 재정난에서 허덕이는 대학을 구출해내야 한다. 대학등록금 동결만이 능사가 아니라고 강조하고 싶다. 대학경쟁력도 살리고 기업도 살리는 계기가 되길 촉구한다.

[에듀인뉴스(EduinNews) = 인터넷뉴스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