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은 아무리 잘해 봤자, 오래가지 못한다. 시간적 제약과 공간적 제한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글은 오래 가고 멀리 간다. 글을 잘 쓰자면 어떻게 해야할까? 먼저 ‘局量’이란 한자어의 속뜻을 알아본 다음에 답을 찾아보자.

[에듀인뉴스팀]

 한자와 명언 : 局 量 (국량)

전광진 (성균관대 명예교수)

말은 아무리 잘해 봤자, 오래가지 못한다. 시간적 제약과 공간적 제한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글은 오래 가고 멀리 간다. 글을 잘 쓰자면 어떻게 해야할까? 먼저 ‘局量’이란 한자어의 속뜻을 알아본 다음에 답을 찾아보자.

*局 판 국 (尸-7획, 5급)

*量 헤아릴 량 (里-12획, 5급)

局자는 ‘법도 측’(尺)과 ‘입 구’(口)가 조합된 것이었는데, 전체적인 배치와 균형감을 위해서 尺의 모양이 약간 달라졌다. ‘소견이 좁다’(narrow-minded)가 본뜻인데, ‘구획’(a section) ‘판국’(a situation) ‘재간’(ability) 등으로도 쓰인다.

量자를 ‘旦(단) + 里(리)’ 또는 ‘曰(왈) + 一(일) + 里(리)’의 구조로 보기 쉬운데 그렇게 해서는 바른 뜻을 구할 수 없다. 이 글자의 원형은 ‘재다’(measure)는 뜻을 나타내기 위해서 자루에 담아 분량을 재는 모습을 본뜬 것이었다. 후에 ‘헤아리다’(consider; think over) ‘분량’(a quantity; an amount) 같은 뜻으로도 확대 사용됐다.

局量은 ‘남의 형편[局]을 잘 헤아려[量] 줌’이 속뜻인데, ‘남의 잘못 따위를 잘 이해하고 감싸주며 일을 처리하는 능력’이라 정의한다. 속뜻을 알고 보면 어렵고 장황한 정의가 잘 이해되는 특성이 있다.

맨 앞 문제에 관련한 답을 찾아 보았다. 중국 송나라 때 글을 잘쓰기로 소문난 구양수(歐陽修 1007-1072)가 남긴 다음 명언이 있어 아래에 옮겨 본다. 글쓰기에 관한 천고에 불변하는 명언이다.

爲文有三多: 글을 잘 짓자면다음 세 가지를 많이해야 한다

看多 (간다) : 많이 보아야 하고,

做多 (주다) : 많이 지어야 하고,

商量多 (상량다) : 많이 여쭤야 한다."

歐陽修 -
 

 

● 전광진(성균관대 명예교수/속뜻사전 편저자).

첨언 : 당송팔대가의 한 사람인 구양수는 특히 산문에 능하여 한유(韓愈), 유종원(柳宗元), 소식(蘇軾)과 더불어 ‘천고문장사대가’(千古文章四大家)로 꼽히며, 그의 어머니는 중국 사대현모(四大賢母)로 꼽힙니다. 구양수가 어렸을 때 붓과 종이 살 돈이 없어 억새풀 줄기로 땅에 한자를 써가며 자식을 가르쳤다는 일화가 유명합니다. 그래서 요즘도 중국 사람들은 畫荻敎子(화적교자)란 사자성어를 즐겨 씁니다.

(EduinNews) = 인터넷뉴스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