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휘력은 국어뿐만 아니라 수학, 영어, 사회, 과학 등 모든 교과 성취도에 영향을 미침. 국어사전 보급 및 상시활용을 통한 어휘력 향상과 자기주도 학습력 신장 방안 검토 필요

에듀인뉴스(EduinNews)

《기본학력보장을 위한 국어사전 보급 및 활용 방안》

 김승호 (세한대 초빙교수, 전 전남함평교육지원청 교육장)

1. 추진 목적

가. 한글은 쉽지만 한국어는 어려움. 그 이유는 한국어의 70% 정도가 한자어이기 때문에 학생들이 글을 읽어도 의미를 파악하지 못한 결과임.

나. 문해력은 어휘력 확보가 기본인데, 어휘력 증진 방안으로서 가장 유용한 국어사전 활용에 대해 교사나 학생 모두 무관심하고 독서만 강조하는 상황

다. 초등학교 3학년 1학기(6월), 4학년 1학기(6월)에 국어사전 활용방법을 배우지만 고가(약 5만원)인 관계로 개별 구입하는 학생이 적고, 보유 학생도 활용방법 미숙한 실정임

라. 어휘력은 국어뿐만 아니라 수학, 영어, 사회, 과학 등 모든 교과 성취도에 영향을 미침. 국어사전 보급 및 상시활용을 통한 어휘력 향상과 자기주도 학습력 신장 방안 검토 필요

2. 추진 배경 : 국어사전 보급 필요성

가. 기초학력보장법 시행에서

ㅇ 시·도교육청 단위에서 학력진단과 함께 체계적인 학력 지원 방안 필요

ㅇ 기초학력지원센터를 통한 기초학력보장 업무 충실화와 상시 수업 연계

- 학습·심리·정서 측면의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나 심리·정서 지원 중심

- 일부 소수의 기초 문해력과 수해력 부진 학생 대상이 아닌 전체 학생의 기본 문해력 증진 대책 필요

ㅇ 현재는 기초 문해력 단계인 초등 1~2학년을 대상으로 한글 익힘 시간 확대(448시간→482시간)와 이에 따른 담임교사 책임지도 중심임

- 문해력의 변곡점인 초등 3~4학년 시기에 학습 어휘는 급격히 증가하며, 이를 성공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학생에게 문해력 문제는 누적 심화됨

- 초 1-2 이외에 중학교와 고등학교 학생 대상, 국어과 뿐만 아니라 수학, 영어, 사회, 과학 등 모든 교과 관련 문해력 향상 대책 추진 필요

ㅇ 특히, 가정의 교육지원 역량이 취약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주도 학습방법 지도 및 자료 활용을 통한 학력향상 기반 구축 필요

- 중국에서는 국어사전을 ‘조용한 선생님’으로 인식하며,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가장 중요한 자료로서 국어사전을 선정하여 국비로 보급

나. 독서교육에서 어휘력 지도 강화

ㅇ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초등학교 국어사전 수업 2배로 확대

- 국어사전 활용 수업을 기존 4-1학기 9차시에 3-1학기 10차시를 추가함

- 낮은 학업성취의 주 원인은 어휘력 부진이라는 점에서 사전활용 교육을 강화하였으나, 수업 중에만 도서관에서 대여하여 사용후 반납함

- 개인별 사전을 확보하여 수업이나 개인 독서활동에서 지속 사용 필요

- 학교내 읽기 및 독해교육 강화 필요성 제기 : 엄훈 <학교 속의 문맹자들>(2012년. 우리교육 펴냄) * 글자를 읽지만 글의 의미를 이해하지 못하는 학생들이 학교교육에서 소외되고 있음

ㅇ 2015 개정 교육과정부터 국어과 ‘독서 단원’ 신설

- 초3부터 고3까지 ‘한 학기 한 권 읽기’ 신설하여 10차시 이상 배분

- 기존의 교과관련 도서 중심의 ‘다독’에서 단어 하나 하나의 뜻을 음미하고 이해가 안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국어사전에서 의미를 확인하는 ‘꼼꼼하게 읽기(slow reading)'로 지도 전략 전환

ㅇ 읽기학습에서 국어사전 활용은 필수적이나 사전 필요성 인식 미흡

- 읽기를 통한 어휘습득에서 주된 방법은 ’문맥 추론‘과 ’국어사전 활용‘

- 초등학생 단계에서 문맥 추론 방식은 이론적으로 실천 불가능하나 일반적인 독서 방법인 ’문맥 추론‘을 적용하고 있는 실정임. 초등 단계에서는 이론적으로 교사의 어휘설명과 국어사전 활용 중심이어야 함

- 중학교와 고등학교 단계의 어휘학습에서 모르는 단어에 대해 먼저 ’문맥 추론‘한 후, 다음 단계로 ’국어사전‘에서 의미를 확인하여야 하지만 국어는 쉽다는 인식 때문에 ’국어사전 활용‘ 단계가 생략되고 있음

ㅇ 학생들의 독서 흥미력 약화로 독서활동 활성화 곤란

- 글을 이해하려면 모르는 단어가 ‘10% 이하’ 정도이어야 하나, 교과서나 교양도서를 읽을 때 너무 많은 어휘를 몰라 흥미 저하 초래

- ‘한 학기 한 권 읽기’ 추진이 곤란한 이유로 초등학생들은 ‘책에 어려운 단어가 많이 나와 내용을 이해하기 어려워서’라고 응답(이경화, 한 학기 한 권 읽기의 오적용 양상과 개선 방안, 한국초등교육 제30권, 2019: 95)

- 고등학교 ‘한 한기 한 권 읽기’ 적용 곤란 이유에 대해 학생들은 ‘책을 읽어도 책 내용이 잘 이해가 되지 않아 더 읽기 싫어짐’으로 응답(성윤재, 한 학기 한 권 읽기 수업이 고등학생 읽기 테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고려대 교육대학원 석논, 2020: 76)

다. 국가수준 학력실태 분석에서 문해력 심각성 대두

ㅇ 가정의 교육지원 역량이 취약한 가정의 학생들을 위해서는 학교 수업 이외에 초등학교 단계부터 자기주도 학습방법 지도를 통한 학력향상 기반 구축 필요하며, 국어사전이 기본적인 자기주도 학습 자료임

ㅇ 특히,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 결과 초등 보통학력 미도달(2007년 기준 약 10%) 학생 대상 기본학력 확보 시급

ㅇ 중학교 단계에서 보통학력 이하 학생 비율이 30 - 40%로 급증하며, 특히, 어휘력을 기반으로 하는 사회와 과학에서 보통학력 이상 수준에 도달하지 못한 학생 비율이 40%-50%에 이름(2017년 이전 전집형 평가 결과)

* 2021학년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 결과(2022.6.13 발표)에서 중3 학생의 국어 보통학력 이하 25.6%(남 33.8%, 여 16.9%), 기초학력 미달 6.0%(남 9.3%, 여 2.6%). 수학과 영어의 미흡 비율은 더 증가함

라. 국어사전 활용 국내외 성공 사례

ㅇ 미국 : 초3 학생 대상 국어사전 보급 운동(Dictionary Project)이 1992년부터 전개되고 있음

ㅇ 일본 : 2009년부터 학력저하 대책으로 문부성에서 국어사전 활용 강조

* 초등학교 1학년부터 국어사전으로 공부하기 운동 전개

후카야 케이스케 <7歳から『辞書』を引いて頭をきたえる>(2006년)

* 사가현카라츠시(佐賀県唐津市) : 2009년부터 초3학생 전체 보급

ㅇ 중국 : 2013년 17억 위안(한화 3조원)으로 농촌지역 초·중학생 1억명에게 신화자전 보급, 2014년부터 매년 초등 1학년 대상 2,000만부씩 보급

* 2015년 PISA 평가 결과 이후 계속 세계 1위 성적의 배경으로 인정 가능

ㅇ 핀란드 : 교사와 학생간 교과서 용어 중심 독해토론 교육 활발

ㅇ 함평교육지원청 : 2012년 초3-중3 학생 전체 대상 국어사전 보급

* 2013년 9월 시행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 결과 급격한 성적향상으로 교육부 취재 (행복한 교육. 2013년 12월호 특집: 한 권의 사전이 함평교육을 바꾼다)

* 별도 자료 첨부

- 국어사전과 함께한 나의 교직생활 일부분 : 함평 성공사례 관련

- 교육부 학력향상 관련 인터뷰 요청서

- 교육부 행복한 교육(2013.12월) : 함평 국어사전 활용 성공 사례ㅅ

- 김천교육청 특강 자료(2020.9월) : 기초문해력과 국어사전

3. 세부 추진 방안 (예시)

가. 보급 사전 선정 기본 원칙

ㅇ 초등학생 대상(3학년 이상) : 종이 국어사전 권장

- 초등학생 시기에는 인지학습 방법 면에서 종이사전 필요

(시각을 이용한 반복 확인이 장기기억에 저장 유리)

* 2015 개정 교육과정부터 초3-초4 국어 10시간씩 국어사전 활용 교육 편성

* 대부분 초교에서 학교비치용 사전으로 해당 시간에만 활용하여 지속 불가

* 개인 지급하여 가정과 학교에서 항상 참고할 수 있는 휴대용 사전 권장

- 교육과정의 학습어휘 수준을 포괄하고, 자기주도 학습용으로 적합한 것 권장

- 한국어의 특성상 사전활용을 통하여 한자를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도록 한자가 수록된 사전 권장

ㅇ 중학생 이상 대상 : 웹 국어사전 권장

- 중학교 이후 급격한 어휘 확장으로 종이사전에 수록 한계

- 상시 휴대하는 휴대폰에 웹사전을 저장하여 가정과 학교에서 상시 활용

- 1인 1 태블릿 PC 지원 시 활용의 충실을 기하기 위해 기본 자료로 제공

* 국어사전 : 표준국어대사전앱(무료)을 제공하되, 동 사전이 한자어 설명이 미흡하므로 이를 보완해 줄 수 있는 국어사전앱을 추가 지원 필요

* 수학, 영어, 사회, 과학, 예술 관련 무료 및 유료 자료 제공 가능

나. 보급 방법 및 예산 소요

ㅇ 종이 국어사전 : 초 3학년 이상 (2년차부터 초3만 보급 해당)

- 학교별 필요 부수(학생용, 교사용) 및 구입 예산 신청서 제출

- 학교에서 신청한 구입 예산을 학교회계로 교부

- 학교에서 배부 및 활용 교육 실시

- 교육청 단위에서 학부모 및 교원 대상 교육 실시 가능

ㅇ 웹 국어사전 : 중학생, 고등학생 (태블릿 보급하는 초등학생 포함 가능)

- 웹 국어사전 검토위원회 구성 및 종류 선정

- 교육청 또는 학교 단위로 구입하여 테블릿 PC에 저장 후 보급

4. 기대 효과

가. 국어사전 활용으로 개념학습 및 자기주도 학습력 제고

나. 독해능력 향상으로 기초·기본학력 향상 도모

다. 기초·기본학력 보장을 위한 교육청의 적극적인 대응 및 효과에 대하여 학부모들이 직접 확인 가능함으로써 교육행정 신뢰도 증진

<끝>

[ 인터넷뉴스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