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을 사랑하는 자는
반드시 사랑을 받게 되고,
남을 미워하는 자는
반드시 미움을 받게 된다.”
愛人者必見愛也,
애인자필견애야
而惡人者必見惡也.
이오인자필견오야
- 墨子.

“뜻밖의 재물을 탐내지 말고,
양에 넘는 술잔은 들지를 말라!”
勿貪意外之財, 물탐의외지재
勿飮過量之酒. 물음과량지주
- ‘治家格言’

< 한자와 명언 > 

仙 女(선녀) /以 外 (이외)

                                                                                 전광진 (성균관대 명예교수)
                                                                                 전광진 (성균관대 명예교수)

 

仙 女 (선녀)

*신선 선(-5, 5)

*여자 녀(-3, 8)

 

선녀가 하강한 것처럼 어여쁘고 향기롭고 귀티 나는 저 처녀는’(박완서의 미망’)선녀? ①善女 ②仙女 ③先女 ④膳女. 답인 仙女란 두 한자를 샅샅이 훑어본다.

 

자는 신선’(mountain wizard)이란 뜻을 나타내기 위해서 뫼 산’()사람 인’()을 합쳐 놓은 것이다. 산에 살면 누구나 신선이 될 수 있을까? 어쨌든 앞에서 본 영어 단어도 그렇듯이, 신선과 산은 불가분의 관계다. 이 발음요소를 겸하는 것임은 (여자 이름 선)을 통하여 알 수 있다.

 

자의 가로획은 한 일’()자가 아니라 육체의 선 가운데, 머리에서 발끝까지의 선을 나타낸 것이다. 다리를 모으고 꿇어앉아 있는 것을 그린 곡선이었다.

 

仙女선경(仙境)에 산다는 여신(女神)’을 이른다. 예문: ‘그녀는 선녀처럼 아름다웠다.’

 

남에게 미움을 받지 않고, 사랑을 받게 되는 비결이 뭘까? 답은 의외로 대단히 간단하다. 겸애비공(兼愛非攻)을 주장한 묵자(기원전 476-390)가 남긴 명언을 아래에 옮겨 본다. 맹자도 이와 비슷한 말을 한 바 있다.

 

남을 사랑하는 자는

반드시 사랑을 받게 되고,

남을 미워하는 자는

반드시 미움을 받게 된다.”

愛人者必見愛也,

애인자필견애야

而惡人者必見惡也.

이오인자필견오야

- 墨子.

 

 

 

以 外 (이외)

*부터 이(-5, 5)

*밖 외(-5, 8)

 

땀 흘린 보답으로 얻은 재물은 아무런 문제가 따르지 않지만, ‘밖의 재물은 문제가 될 수도 있다. 주의하자! 먼저 以外란 두 한자를 속속들이 파헤쳐본 다음에 관련 명언을 소개해 본다.

 

자의 원형은 농기구인 쟁기의 보습’(plowshare)을 뜻하기 위하여 그 모양을 본뜬 것이었다. 후에 이것이 으로써’(with) ‘로부터’(from)같은 전치사적인 용법으로도 활용되자, 그 본뜻을 위해서 (보습 사)자를 따로 만들어냈다.

 

자는 저녁 석’()점 복’()이 합쳐진 것으로 저녁 점’(evening divination)이 본뜻이다. 옛날 사람들은 저녁에 친 점은 神明(신명)도 피곤한 탓으로 잘 맞지 않는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벗어나다’(not to hit the mark) ‘멀다’(be far off) ‘’(the outside) 등의 뜻도 이것으로 나타냈다.

 

以外(:)어떤 범위의 밖[]으로 부터[]’를 이른다. 예문: ‘그는 사임하는 것 이외에는 다른 방법이 없었다.’

 

다음 명언을 읽어보면 맨 앞의 공란에 들어갈 말을 금방 알 수 있다. 중국 명나라 저명 교육자 주백려(朱伯廬 1627-1698)가 쓴 책에 나오는 말이다.

 

뜻밖의 재물을 탐내지 말고,

양에 넘는 술잔은 들지를 말라!”

勿貪意外之財, 물탐의외지재

勿飮過量之酒. 물음과량지주

- ‘治家格言

 

전광진(성균관대 명예교수/속뜻사전 편저자).

 
[에듀인뉴스(EduinNews) = 인터넷뉴스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