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일은 모두 어려움에서 생겨나니,
젊은이여 쉽고 가벼운 일만 고르지 마오!”
好事盡從難處得,
호사진종난처득
少年無向易中輕.
소년무향이중경
- 唐 · 李咸用.

“윗물이 맑으면 아랫물도 말갛고,
윗물이 흐리면 아랫물도 흐리다.”
源淸則流淸, 원청즉류청
源濁則流濁. 원탁즉류탁
-‘荀子’

< 한자와 명언 >

便 法 (편법) /  風 流 (풍류)

 

                                                                            전광진 (성균관대 명예교수)
                                                                            전광진 (성균관대 명예교수)

 

便 法 (편법)

*편할 편(-9, 7)

*방법 법(-8, 5)

 

온갖 편법을 다 동원해 봤자 모두 허사였다편법? ①篇法 ②編法 ③便法 ④偏法. ‘便法이 답이 되는 과정을 정상적으로 분석해 보자. 재미는 결과보다 과정에서 생긴다.

 

便자는 사람 인’()바꿀 경’()이 조합된 것이다. ‘편안하다’(comfortable)가 본뜻인데, ‘쉬다’(take a rest)는 뜻으로도 쓰인다. ‘똥오줌’(urine and feces)을 일컫기도 하는데, 이 경우는 []으로 읽는다.

 

자가 원래에는 ++의 복잡한 구조였는데, 쓰기 편함을 위해서 간략하게 고쳐졌다. 죄악을 제거[]함에 있어서는 수면[]같이 공평무사해야 함을 자를 통하여 추론하기도 한다. ‘형벌’(punishment) ‘법률’(law) ‘방법’(method) ‘가르침’(teaching) 등의 뜻으로 쓰인다.

 

便法편리(便利)한 방법(方法)’이 속뜻인데, ‘정상적인 절차를 따르지 않은 손쉬운 방법을 이른다.

 

편법을 쓰고 쉬운 일만 하다 망치는 수가 있으니, 모든 일을 정상적으로 처리하는 습관을 기르자. 그리고 당나라 때 한 시인이 시에 남긴 이런 당부도 귀담아들어 보자.

 

좋은 일은 모두 어려움에서 생겨나니,

젊은이여 쉽고 가벼운 일만 고르지 마오!”

好事盡從難處得,

호사진종난처득

少年無向易中輕.

소년무향이중경

- · 李咸用.

 
 

風 流 (풍류)

*모습 풍(-9, 6)

*흐를 류(-9, 5)

 

멋과 풍류의 고장/풍류를 알다/풍류를 즐기다풍류? ①風留 ②風琉 ③風硫 ④風流. ‘風流가 답인 줄 알자면 하나하나 분석하고 검토해 봐야 한다. 그런 가운데 생각이 깊어지고 기억력이 늘어난다.

 

자는 ()()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은 발음요소였다. ‘벌레 충’()이 의미 요소로 쓰인 것에 대하여는 구차한 설들이 많으나, 취할 만한 것이 없다. 주로 바람’(wind)을 뜻하는 것으로 쓰이며, ‘습속’(customs) ‘기세’(spirit) ‘경치’(scene) ‘모습’(looks)을 나타내기도 한다.

 

자의 원형은 아이[]가 물살에 휘말려 떠내려가는 모습으로, ‘떠내려가다’(be swept away)가 본뜻이다. 오른편 요소가 발음도 겸하는 것임은 (유황 류)(유리 류)의 경우를 통하여 알 수 있다. ‘흐르다’(flow)는 뜻으로 많이 쓰인다.

 

風流풍치(風致)를 찾아 즐기며 멋스럽게 노니는[] ’, ‘속되지 않고 운치가 있는 일을 이른다. ‘음악을 예스럽게 이르는 말로도 쓰인다.

 

누구나 많이 듣고 익히 잘 알고 있어 마치 우리 속담같이 느껴지는 다음 말은 일찍이 순자(荀子, BC 313-238)가 한 명언이다. 순자는 성악설(性惡說)을 주장했지만 악한 사람은 절대 아니다. 그가 남긴 명언이 참으로 많다.

 

윗물이 맑으면 아랫물도 말갛고,

윗물이 흐리면 아랫물도 흐리다.”

源淸則流淸, 원청즉류청

源濁則流濁. 원탁즉류탁

-‘荀子

 

전광진(성균관대 명예교수 / 속뜻사전<종이&> 편저자).

 
 

[에듀인뉴스(EduinNews) = 인터넷뉴스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