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 국가교육회의 중장기 정책 자문위원, '2020 대국민 보고대회'서 밝혀

(사진=국가교육회의 유튜브 캡처)
(사진=국가교육회의 유튜브 캡처)

[에듀인뉴스=지성배 기자] “5년제 직업전문학교, 고1 단계의 학습성과 확인 시험, 교육과정 개편 시 교사·학부모 참여...”

김용 국가교육회의 중장기교육정책 전문위원(한국교원대 교수)은 22일 유튜브를 통해 방송된 ‘2020 대국민 보고대회’에 발제로 나서 유초중고대학에 걸쳐 학습자 삶 중심 미래 교육 체제 구축을 위한 10대 혁신 과제를 제안했다.

해당 보고대회는 지난 16~17일 사전 녹화가 진행됐으며 22일 유튜브를 통해 송출됐다.

김용 위원은 “우리나라는 정치적 민주화와 경제 성장을 이뤘지만 불확실성이 심화하고 대중 교육 사회가 동요하는 게 현실”이라며 “학습자의 삶에 중심을 둔 교육으로 전환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가 말한 학습자의 삶 중심 교육은 아동 청소년뿐만 아니라 성인을 포함한 모든 학습자가 자신의 잠재 역량을 최대한 신장해 창의력을 갖춘 시민으로서 품위 있는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는 “대중 교육사회에서는 모든 학생 청소년에게 목표의식이 존재했지만 현실적으로 상당수 학생이 학교교육에서 별다른 의미를 찾지 못해 그들의 삶에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못하고 있다”며 “교육은 그들의 목표의식에 중점을 두기 보다 현실 자체로 눈을 돌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교사가 설명하고 칠판에 판서한 것을 받아 적는 방식의 수업에서 토론이나 관찰, 실습 등으로 학습 양태가 많이 변화했다”며 “유튜브는 학생·청소년, 대학생과 성인들에게도 또 하나의 학교가 되었다. 학습 양태의 변화를 수용해 학습자의 성장을 도와야 한다”고 말했다.

이른바 교실과 학교에서 ‘보이지 않는 학생들’에 대한 관심을 높일 것도 주문했다.

김 위원은 “공부는 무엇을 알아가는 것이기도 하지만 살아가는 방법을 배워가는 것이고 사람과 자연과 공존하는 방식을 배우는 것”이라며 “이것이 교육에 들어와야 학교가 모든 아이들을 위한 공간이 될 것”이라고 했다.

(사진=국가교육회의 유튜브 캡처)
(사진=국가교육회의 유튜브 캡처)

학습자 삶 중심 교육 위한 10대 과제..."교사 학생 학부모 참여 늘리고, 의무교육 책임성 확인해야"


이러한 모습으로의 변화를 위해 ▲교육행정 체제 ▲유아교육 공공성 강화 ▲학교제도 ▲직업교육 ▲교육과정 정책 ▲학습자의 적정 학력 보장 ▲교원 양성 및 인사 ▲고등교육 지역 플랫폼 ▲실전형 고등교육 기관 운영 ▲평생학습체제 구축 등 10대 과제를 제시했다.

특히 “유초중고로 분절된 학교 제도는 창의적이고 융합적 인재를 기르는 일과 어울리지 않는다”며 “분과적 교과 교육과정과 연령 기반 학년제, 학기와 방학의 관행, 학교급간 단절적 운영 등을 다시 생각해봐야 한다. 유치원과 초등학교, 초등학교와 중학교, 중학교와 고등학교, 초등학교와 중학교 및 고등학교를 통합 운영할 수 있는 새로운 학교 출현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직업교육체제를 매력적 선택지로 바꿔야 한다는 문제 의식도 남겼다.

김용 위원은 “특성화고는 일반고에 비해 낮게 평가되고 있고 전문대학 교육의 질도 놓지 않아 직업교육이 매력적인 선택지가 되지 못하고 있다”며 “특성화고와 전문대학을 연계한 5년제 완성형 직업교육기관을 설립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고1에 의무교육 9년간 학습 평가해야...통합 운영 등 다양한 새로운 학교 출현 필요


 고1 시점에 의무교육 9년간의 학습을 평가하는 제도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의무교육의 책임성을 높이자는 취지다.

그는 “우리나라는 출구를 보장하지만 아웃풋 관리가 없다. 학교의 자율화 경향도 강화하고 있다”며 “공교육의 책임을 확인하기 위해 고1 단계에서 의무교육 9년간의 학습성과를 확인하는 시험이 필요하며 고3 졸업 전에 그 적정 수준에 도달하도록 보살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교원양성체제에 대해서도 “노량진에서 기르는 교사라는 말을 부끄럽게 생각해야 한다”며 “양질의 교원 양성 체제 개편을 위한 의견을 모아가야 한다”고 쓴소리를 남겼다.

또 “교육과정 정책 개편은 소수 전문가들의 결정으로 진행돼 국가교육과정에 걸맞는 사회적 평가를 얻기 어려운 구조”라며 “교육과정 결정 구조에 시민, 교사, 학생, 학부모들에 의한 아래로부터의 참여가 필요하다”고 설파했다.

이번 보고대회의 시청자들은 △대입 제도가 버티는 상황에서 초중등학교의 개혁은 한계가 있다 △대학 서열화가 가장 문제다 △대학 안 가도 지장 없는 사회로 가야 한다 △입시를 변별하기 위한 지금의 평가는 바뀌어야 한다 △교사 전문성 신장을 위한 고민이 필요하다 △교사를 안정된 직업 정도로 생각하는 교사 양성이 문제다 △학교 교육 역량 개선도 시급하다 △각 학년별 성취를 책임지는 게 중요하다 등 다양한 의견이 댓글로 달렸다.

한편 사전 OECD 한국교육 분석 중간보고에 나선 안드레아스 슐라이허 OECD 교육국장은 "한국 학생들은 실패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감, 초조함을 많이 보인다. 시험 점수가 괜찮아도 긴장감을 느낀다”며 “뇌조사 연구에 따르면 주인의식을 갖고 편안함을 가졌을 때가 가장 잘 배울 수 있다는 점을 참고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또 ▲한국의 수능제도 변화의 필요성과 ▲교사들의 행정업무가 과다함을 지적하고 특히 ▲학교 조직에서 기술(에듀테크)을 더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