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리 신통한 의원이라도 다한 ○○은 구할 수 없다. 공란에 들어갈 말은?

 

 

◎ 醫 院(의원)

*치료할 의(-18, 6). *큰 집 원(-10, 5)

아무리 신통한 의원이라도 다한 ○○은 구할 수 없다. 공란에 들어갈 말은? 먼저 醫院이란 두 한자를 요모조모 차근차근 진찰해 보자. 답은 맨 뒤에 있는 명언을 보면 금방 안다.

자는 의사’(doctor)를 뜻하기 위해서 의사가 쓰던 갖가지 공구를 합쳐 놓은 글자다. 수술 도구를 넣는 상자[匚․], 살을 째는 데 쓰는 화살[矢․] 촉 같은 작은 칼, [殳․]같이 큰 칼. 마취나 소독에 쓰인 알코올을 담은 병[]으로 짜여져 있다. 모두 네 개의 힌트가 주어져 있는 셈이다.

자는 ‘(언덕처럼 높은) ’(wall)이란 뜻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었으니 언덕 부’(阜→阝)가 의미요소로 쓰였다. (완전할 완)은 발음 요소였다. 후에 ‘(높은 담장이 있는) 커다란 집’(grand house)이나 관청등으로 확대 사용됐다.

醫院진료 시설을 갖추고 의사가 의료(醫療) 행위를 하는 집[]’을 이른다. ‘최의원이 직접 왕진을 나왔다의원醫員이라 쓰며 병을 치료하는 기술이 있는 사람을 이른다.

사기(史記), 한서(漢書), 삼국지(三國志)와 더불어 전사사’(前四史)라 일컫는 후한서(後漢書)에 이런 말이 있다. 잘 음미해 보자! 자기 목숨을 의원에게 구해 달라고 하기 전에 먼저 자기에게 구해 달라고 해야 한다.

아무리 신통한 의원이라도

다한 목숨은 구할 수 없고,

아무리 강한 사람이라도

하늘과는 다툴 수 없다.”

良醫不能救無命, 양의불능구무명

彊梁不能與天爭. 강량불능여천쟁

- ‘後漢書’.

 

전광진(성균관대 명예교수 / 속뜻사전 <종이&> 편저자)

 

[에듀인뉴스(EduinNews) = 인터넷뉴스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