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믿음! 그것은
나라의 보배이고 백성이 의지할 바다,”

 

 

◎ 依 存(의존)

*의지할 의(-8, 5). *있을 존(-6, 5)

부모에 대한 지나친 의존은 좋지 않다의존? ①衣存 ②依存 ③儀存 ④倚存. 답인 依存에 대해 차근차근 속속들이 살펴보자. 한자 속에 담긴 뜻을 찾아내면 재미가 쏠쏠하다.

자가 갑골문에서는 옷 의’() 안에 사람 인’()이 들어가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옷을) 입다’(put on)가 본래 의미였다. 사람은 털이 거의 없으니 추위를 피하기 위해서는 옷에 의지할 수밖에 없었느니 의지하다’(depend on) ‘따르다’(follow)는 뜻으로도 확대 사용됐다.

자는 + 의 구조이다. 이것이 원래는 ‘(아이를) 불쌍히 여기다’(feel pity for)는 뜻이었으니 아이 자’()가 의미요소로 쓰였다. (재주 재)는 발음요소였다고 한다. 후에 살피다’(observe) ‘있다’(exist) 등으로 확대 사용됐다.

依存남에게 의지(依支)하여 존재(存在)을 이른다. 반대는 자립(自立)이다.

중국 명나라 때 저명 소설가 풍몽룡(馮夢龍, 1574-1646)이 쓴 동주열국지에 다음과 같은 말이 나온다.

믿음! 그것은

나라의 보배이고 백성이 의지할 바다,”

, 國之寶也,

, 국지보야

民之所憑也.

민지소빙야 - ‘東周列國志’ 38

 

전광진(성균관대 명예교수 / 속뜻사전 <종이&> 편저자)

 

[에듀인뉴스(EduinNews) = 인터넷뉴스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