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체, 머리, 피부는 부모님께 받은 것이니
다치지 않는 것이 효도의 첫걸음이다.”

 

 

◎ 輕 傷(경상)

*가벼울 경(-14, 6). *다칠 상(-13, 5)

총구가 빗나갔기 때문에 비스듬히 총알이 빠져나갔고 또 아슬아슬하게 뼈는 피한 상태여서 지극히 경상이라 할 수 있었다’(박경리의 토지’)경상? ①經常 ②輕傷 ③景象 ④慶尙. 답인 輕傷에 대해 한 점도 의혹이 없도록 잘 알아보자.

자는 가벼운 수레’(輕車, light cart)란 뜻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었으니 수레 거’()가 의미요소로 쓰였고, ()은 발음요소이다. 후에 가볍다’(light)는 뜻으로 확대 사용됐다.

자는 다친 사람’(wounded person)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었으니 사람 인’()이 의미요소로 쓰였다. 그 나머지가 발음과 관련이 있는 것임은 (술잔 상)을 통하여 알 수 있다. ‘다치다’(get hurt) ‘이지러지다’(be broken) 등으로도 쓰인다.

輕傷가볍게[] 다침[]’ 또는 그런 상처를 이른다. 가벼운 상처를 입어도 걱정이 태산인 분이 계신다.

신체, 머리, 피부는 부모님께 받은 것이니

다치지 않는 것이 효도의 첫걸음이다.”

身體髮膚, 受之父母, 신체발부 수지부모

不敢毁傷, 孝之始也. 불감훼상 효지시야

- ‘孝經

 

전광진(성균관대 명예교수 / 속뜻사전 <종이&> 편저자)

 

[에듀인뉴스(EduinNews) = 인터넷뉴스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