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망은 허함과 실함에 달렸지,
수가 많고 적음과는 무관하다.”

 

 

◎ 堅 實 (견실)

*굳을 견(-11, 5)

*참될 실(-14, 6)

그 회사는 영업방침이 견실하여 큰 손해를 입지 않았다견실? ①堅實 ②堅室 ③堅失 ④堅悉. 답인 堅實에 대해 알아보자. 한자로 쓸 줄 알아도, 각 글자의 뜻을 모르면 헛일이니, 속뜻을 하나하나 풀이해 보자.

자는 땅이 굳다’(harden)는 뜻을 타나내기 위한 것이었으니 흙 토’()가 의미요소로 쓰였고, 그 위 부분의 것이 발음요소임은 (누에 견)도 마찬가지다. 후에 굳세다’(strong) ‘튼튼하다’(solid) 등도 이것으로 나타냈다.

자는 재물’(property)이란 뜻을 나타내기 위해서 집 면’()돈 꾸러미 관’()을 합쳐 놓은 것이다. 후에 가득’(full) ‘알맹이’(substance) ‘과실’(fruit)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대 사용됐다.

堅實의지가 굳고[] 태도가 착실(着實)’, ‘튼튼하고 충실함을 이른다. 수나 양보다는 내용의 견실함이 훨씬 더 중요하다. 아득한 옛날에 한비자(韓非子)는 이런 말로 그러한 뜻을 나타냈다.

 

존망은 허함과 실함에 달렸지,

수가 많고 적음과는 무관하다.”

存亡在虛實, 존망재허실

不在於衆寡. 부재어중과

- ‘韓非子

 

전광진 (성균관대 명예교수 / 속뜻사전 <종이&> 편저자)

 

[에듀인뉴스(EduinNews) = 인터넷뉴스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