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에 어긋나는 말은 뱉지를 말고,
도에 어긋나는 맘은 먹지를 말라!”

 

 

◎ 斷 層 (단층)

*끊을 단(-18, 5)

*층 층(-15, 5)

 

어긋나거나 어그러져서 좋을 게 없다. 어그러진 지층을 이르는 斷層에 대해 바르고 야무지게 살펴본 다음에 법도에 어긋나는 언행에 경계하는 명언을 찾아서 소개해 본다.

자의 왼쪽 부분은 어떤 물건을 실로 엮어 놓은 것인데, 그것에 낫 근’()을 덧붙여 놓아 끊다’(cut)는 뜻을 나타냈다. 참고로, ‘실 사’()가 덧붙여 있는 ()자는 잇는다는 뜻이다. 후에, ‘쪼개다’(split) ‘딱 잘라서’(resolutely; decisively) 등으로 확대 사용됐다.

자는 이층 집’(two-story house)을 뜻하기 위한 것이었는데, ‘주검 시’()가 왜 의미요소로 쓰였는지에 대하여는 정설이 없다. (일찍 증)이 발음요소임은 (비틀거릴 층)도 마찬가지다. ‘층계’(stairs) ‘’(fold) 등으로도 쓰인다.

斷層지각 변동으로 생긴 지각의 틈을 따라 지층이 아래위로 어그러져[] ()을 이룬 현상’, 또는 그런 현상으로 나타난 서로 어그러진 지층을 이른다.

중국 당나라 때 대신이자 문학가였던 양형(650-693)이 남긴 말을 아래에 옮겨본다. 법을 어기고도 큰소리치는 사람들이 더 이상 발붙일 곳이 없기를!

 

법에 어긋나는 말은 뱉지를 말고,

도에 어긋나는 맘은 먹지를 말라!”

言非法度不出於口,

언비법도불출어구

行非公道不萌於心.

행비공도불붕어심

- 나라 楊炯.

 

전광진 (성균관대 명예교수 / <고품격 한국어> 편저자)

[에듀인뉴스(EduinNews) = 인터넷뉴스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