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은 관청 일을 이룰 수 있고,
불은 돼지머리를 삶을 수 있다.”

◎ 巨 額 (거액)
*클 거(工-5, 5급). *금액 액(頁-18, 5급)
오늘은 ‘불우한 사람들을 위해 해마다 거액을 희사하였다.’라는 예문에 쓰인 ‘巨額’이란 한자어를 돼지머리 삶듯 푹푹 익혀서 잘근잘근 씹어 보자. 한자어는 고기 같아서 씹을수록 맛이 난다. 읽을 줄 알아도 뜻을 모르면 헛일이다.
巨자의 부수를 匚(상자 방) 또는 匸(감출 혜)라 오인하기 쉽다. 工(장인 공)이 부수이다(그래서 총5획임). ‘巨’자는 ‘자’(ruler)를 뜻하기 위해, 장인이 자[尺]를 들고 있는 모습을 본뜬 것이었다. 자는 크기를 재는 공구였으니 ‘크다’(big) ‘거대하다’(huge; vast) 등으로 확대 사용됐다.
額자는 머리의 ‘이마’(the forehead)를 가리키기 위한 것이었으니 ‘머리 혈’(頁)이 의미요소로 쓰였다. 客(손 객) 은 발음요소이니 뜻과는 무관하다. ‘머릿수’(head count) ‘편액’( 알약 ) 등으로 확대 사용됐다.
巨額(거:액)은 ‘많은[巨] 액수(額數)의 돈’을 이른다. 반대말은 소액(少額)이다. 기부에서는 거액이 아니라 소액이라도 큰 의미를 지닌다.
중국 청나라 때 풍자문학의 대가인 오경재(吳敬梓)가 지은 현실주의 장편 풍자소설 작품에 당시 사회가 부패한 일단을 엿볼 수 있는 명언 명구가 많다. 그 가운데 하나를 소개해 본다. 당시 돈만 있으면 벼슬아치를 쉽게 구워삶을 수 있었나 보다.
“돈은 관청 일을 이룰 수 있고,
불은 돼지머리를 삶을 수 있다.”
錢到公事辦, 전도공사판
火到猪頭爛. 화도저두란
- ‘儒林外史’
◎ 전광진, 성균관대 명예교수 /
<고품격 한국어> 편저자(jeonkj@skku.edu).
[에듀인뉴스(EduinNews) = 인터넷뉴스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