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의 실정이 막혀서 통하지 못하면
천하의 폐단이 이로부터 쌓인다.”

 

 

◎ 上 映 (상영)

*위 상(-3, 7)

*비출 영(-9, 5)

 

상하의 실정이 통하지 않고 막히면 어떻게 될까? 먼저 이 영화의 상영시간은 2시간이다.’上映이란 한자어의 형태를 분석해 본 다음에 관련 명언을 소개해 본다.

자가 갑골문에서는 ’(upward)라는 뜻을 나타내기 위하여 하나의 긴 기준선 에 짧은 선을 하나 더 그어놓은 것이었다. 후에 ’(two)와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수직선을 세웠다. ‘꼭대기’(the top)임금’(king)을 뜻하기도 한다.

자는 햇빛이 비치다’(shine)는 뜻이니 해 일’()이 의미요소로 쓰였다. (가운데 앙)이 발음요소임은 (꽃부리 영)도 마찬가지다.

上映(:)스크린 위[]로 필름의 빛을 비춤[]’이 속뜻인데, ‘극장 따위에 영화를 영사(映寫)하여 공개함을 이른다.

맨 앞 문제와 관련된 명언을 찾아보았더니, 중국 명나라 때 저명인사였던 왕오(王鏊)가 남긴 말이 있어 아래에 옮겨 본다. 만사형통(萬事亨通)의 기초인 의사소통(意思疏通)의 중요성을 이로써 알 수 있을 것 같다.

 

상하의 실정이 막혀서 통하지 못하면

천하의 폐단이 이로부터 쌓인다.”

上下之情, 상하지정

壅而不通, 옹이불통

天下之弊, 천하지폐

由是而積. 유시이적

 

전광진, 성균관대 명예교수 /

<우리말 속뜻 논어> 편역자

(jeonkj@skku.edu).

 

[에듀인뉴스(EduinNews) = 인터넷뉴스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