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성 들여 심은 꽃은 비실비실하고,
무심하게 자란 버들은 무성도 하네!”

 

 

活 況 (활황)

*살 활(-9, 7)

*상황 황(-8, 4)

 

세상만사! 기대한 대로 척척 잘 되면 오죽 좋으랴! 그런데 기대가 실망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훨씬 더 많다. 이와 관련된 명언이 있을까? 먼저 증권 시장이 모처럼 활황을 맞이하였다活況에 대해 차근차근 알아본 다음에 찾아보자.

자는 물이 흐르는 소리’(the sound of stream)를 뜻하기 위해 만든 글자이니 물 수’()가 의미요소로 쓰였고, (혀 설)이 발음요소였음은 (교활할 활)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생동’(liveliness) ‘활발’(lively) 등으로도 쓰인다.

자는 찬물’(cold water)이 본래 의미였으니 물 수’()가 의미요소로 쓰였고, (맏 형)이 발음요소였음은 (멍할 황)도 마찬가지다. 후에 견주다’(compare with) ‘형편’(a situation) 등으로 확대 사용됐다. 속자인 찬물이라는 본래 뜻과 더욱 잘 어울리는 편이다(= 얼음 빙).

活況활기(活氣)를 띤 상황(狀況)’을 이른다. 활기를 잃으면 안 되고, 활기가 넘치는 것은 좋은 일이다.

기대한 대로 안 되는 경우가 많음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닌 것 같다. 명나라 때 저명 소설가 풍몽룡(馮夢龍, 1574-1646)이 남긴 명언을 아래 옮겨 본다. 기대한 대로 안 되었다고 너무 실망하지는 말자! 내일이 있으니까.

 

정성 들여 심은 꽃은 비실비실하고,

무심하게 자란 버들은 무성도 하네!”

着意種花花不活, 착의종화화불활

無心栽柳柳成陰. 무심재류류성음

- 馮夢龍.

 

전광진, 성균관대 명예교수 /

<우리말 속뜻 논어> 국역인

(jeonkj@skku.edu).

 

[에듀인뉴스(EduinNews) = 인터넷뉴스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