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사람의 단점으로
그의 장점을 버려서는 안 된다.”

 

 

◎ 短 篇 (단편)

*짧을 단(-12, 6)

*책 편(-15, 4)

 

사람은 누구나 약점이나 단점이 있기 마련이다. 그렇다고 해서 버리면 취할 사람이 없다. 그렇게 다 버리면 결국 외톨이 신세가 될 수밖에 없다. 이럴 때 참고가 될 만한 명언을 찾아보자. 급하지만 먼저 이 책에는 열 편의 단편 작품이 실려 있다短篇이란 두 글자를 차근차근 공부한 다음에!

자는 화살 시’()제기 두’()로 구성된 글자로, 화살의 길이나 祭器(:)의 높이만큼 길지 않다’(not long)가 본뜻인데, ‘짧다’(short) ‘모자라다’(be not enough) 등으로 확대 사용됐다.

자는 옛날에 대쪽으로 엮어 만든 ’(book)을 뜻하기 위한 것이었으니 대 죽’()이 의미요소로 쓰였다. (넓적할 편)은 발음요소다. 후에 ’(writings) ‘작품’(work)을 뜻하는 것으로 확대 사용됐다.

短篇(:)짧은[] 편폭(篇幅)의 글을 이르며, ‘단편 소설의 준말로도 많이 쓰인다. 반대말은 장편(長篇)’이다. 한자를 모르는 사람은 이것이 왜 반대말이 되는지 그 이유를 알지 못한다. 하지만, 한자를 잘 아는 사람에게는 그것이 식은 죽 먹기.

삼국지’(三國志) ()나라 편에 제갈량의 조카 제갈각(諸葛恪)의 전기(傳記)가 있다. 거기에 이런 말이 나온다. 외톨이 신세를 면하자면 남의 단점보다는 장점을 취하는 예지와 슬기가 있어야 한다.

그 사람의 단점으로

그의 장점을 버려서는 안 된다.”

不以人所短棄其所長.

불이인소단피기소장

 

전광진, 성균관대 명예교수 /

<고품격 한국어> 저자.

 

[에듀인뉴스(EduinNews) = 인터넷뉴스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