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마리 개가 형체를 보고 짖으면,
백 마리 개는 소리를 듣고 짖는다.”

 

 

◎ 聲 討 (성토)

*소리 성(-17, 5)

*따질 토(-10, 4)

 

한적한 시골, 큰 마을에서 조용한 새벽녘에 어느 집 개가 짖으니 온 동네 개가 덩달아 짖어댄다. 어렸을 때를 회상해 보면 그런 일이 참 많았다. 이에 관한 명언을 찾아보았다. 먼저 聲討란 한자어를 조용조용 차근차근 차분하게 살펴본 다음에 소개해 본다.

자는 손에 막대기를 쥐고[殳․] 석경(石磬)을 쳐서 울리는 소리를 귀[耳․]로 듣고 있는 모습을 통하여 음악 소리’(sound of music)란 뜻을 나타낸 것이다. 후에 목소리’(a voice) ‘평판’(reputation; fame) 등으로 확대 사용됐다.

자는 잘못한 사람을 붙잡아[=, ‘’] 그 잘못된 점을 말[]따지다’(discriminate)는 뜻이다. 후에 논의하다’(discuss) ‘치다’(criticize) 등으로 확대 사용됐다.

聲討여러 사람이 모여서 큰 소리[]로 꾸짖어[] 비난함을 이른다. 이런 예문이 있다. ‘유생들은 조정의 정책을 성토하는 상소를 올렸다.’

한나라 왕부(王符, 85? - 163?)가 쓴 잠부론’(潛夫論, ‘산골에 은거해 사는 한 사내의 말!!!’이란 뜻임)에 이런 속담이 인용되어 있다. 주견이나 줏대 없이 덩달아 큰 소리를 내면 개 취급받기 십상이다. 자기의 주인이 자기가 되어야 한다.

한 마리 개가 형체를 보고 짖으면,

백 마리 개는 소리를 듣고 짖는다.”

一犬吠形, 일견폐형

百犬吠聲. 백견폐성

 

전광진, 성균관대 명예교수 /

<고품격 한국어>,

<선생님 한자책> 저자.

(jeonkj@skku.edu).

 

[에듀인뉴스(EduinNews) = 인터넷뉴스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