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고로 인생에 죽지 않는 이 없거니,
일편단심 남기어 청사에 길이 빛내리!”

 

 

◎ 遺 骨 (유골)

*남길 유(-16, 4)

*뼈 골(-10, 4)

 

돈이 많으나 적으나, 잘 생기나 못 생기나 누구나 언젠가는 다 이 땅을 떠난다. 무엇을 남기고 갈 것인가? 먼저, ‘선친의 유골을 외국 땅에 안치한 것이 못내 안타까웠다유골은 음만 알 뿐이니, 뜻을 알 수 있는 遺骨을 속속들이 알아본 다음에 답이 있을지 알아보자.

자의 본래 의미는 길을 가다[]가 귀()한 물건을 잃어버리다’(lose)는 것이었으니, ‘길갈 착’()귀할 귀’() 둘 다가 의미요소인 셈이다. 후에 잊다’(forget) ‘버리다’(abandon) ‘남기다’(leave behind) 등으로 확대 사용됐다.

자의 은 신체의 한 부위임을 말해주는 의미요소인 (고기 육)의 변형이고, 그 나머지는 서로 연이어져 있는 뼈대 모양을 본뜬 (뼈대 알)의 원형이다. ‘’(bone)가 본뜻이고 ‘(뼈 속까지) 깊이’(deeply)란 뜻으로도 쓰인다.

遺骨주검을 태우고 남은[] []’, ‘무덤에서 나온 뼈를 이른다. ‘죽은 뒤까지 남는 공적은 유공(遺功)이라 한다.

세상을 떠날 때 무엇을 남기고 갈 것인가? 누구에게나 다 적용되는 답은 없을 것 같다. 참고로, 중국 송나라 때 애국 시인으로 유명한 문천상이 남긴 말을 들어보자.

자고로 인생에 죽지 않는 이 없거니,

일편단심 남기어 청사에 길이 빛내리!”

人生自古誰無死, 인생자고수무사

留取丹心照汗靑. 유취단심조한청

- 文天祥(1236-1283).

 

전광진, 성균관대 명예교수 /

<고품격 한국어>,

<선생님 한자책> 저자.

(jeonkj@skku.edu).

 

[에듀인뉴스(EduinNews) = 인터넷뉴스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