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귀한 보물을 가진 자는 밤에 나다니지 말고,
중대한 임무를 맡은 자는 적을 경시하지 말라!”

 

 

◎ 敵 陣 (적진)

*원수 적(-15, 5)

*진칠 진(-10, 4)

 

박완서의 <도시의 흉년>나는 내가 지금 단신 적진 깊숙이 와 있다는 걸 자각하고 전의를 가다듬어야 했다는 구절이 있다. 이 가운데 적진? ①積陳 ②積塵 ③敵陳 ④敵陣. 답인 敵陣에 관해 속속을이 풀이해 본다.

자는 원수’(enemy)가 본뜻이니 칠 복’(=)이 의미요소로는 안성맞춤이었다. (밑둥 적)은 발음요소이다. ‘적수’(rival) ‘겨루다’(compete) ‘필적하다’(rival)는 의미로 확대 사용됐다.

자는 수레[]를 비탈진 곳[=]으로 끌고 올라가 진을 치다’(encamp)는 뜻이다. 비탈에 진을 치는 것은 적의 접근을 쉽게 파악할 수 있고 방어도 유리했기 때문이었다.

敵陣()의 진영(陣營)’, ‘적군(敵軍)의 진지(陣地)’를 이른다. 화근(禍根)이 될 일은 하질 말자. 옛 선현 왈,

진귀한 보물을 가진 자는 밤에 나다니지 말고,

중대한 임무를 맡은 자는 적을 경시하지 말라!”

懷重寶者, 不以夜行;

회중보자 불이야행

任大功者, 不以輕敵.

임대공자 불이경적

- ‘戰國策

 

전광진, 성균관대 명예교수 /

<고품격 한국어>,

<선생님 한자책> 저자.

(www.LBHedu.com).

 

[에듀인뉴스(EduinNews) = 인터넷뉴스팀 ]